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가사노동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로봇청소기를 찾는 소비자들이 꾸준히 늘고 있지만, 최근 들어 제품 하자와 관련된 소비자 불만이 매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이 12일 발표한 최신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22년~2025년 6월) 로봇청소기 관련 소비자 피해구제 신청은 연평균 90% 이상 대폭 증가했고, 올해 상반기에만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늘어난 77건이 접수됐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 누적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총 274건에 달한다.
"제품 하자 피해 74.5%…환급·수리 합의율은 절반 수준"
접수된 피해 중 압도적 비중은 ‘제품 하자’ 탓이었다. 전체 피해의 74.5%(204건)가 센서, 카메라, 모터, 바퀴, 브러시 등 주요 부품에서 발생한 각종 결함에 기인했다. 반면 계약이나 거래 관련 피해는 25.5%(70건)였다. 하자 유형별로는 맵핑기능·공간·사물 인식 오류 등 ‘센서 기능 하자’(24.9%, 42건)가 가장 많았고, 작동불가·멈춤(17.8%, 30건), 자동 급수 및 먼지통 비움 등 ‘부가기능 하자’(17.2%, 29건), 누수(10.7%, 18건) 등도 다수에 달했다.
그러나 피해 회복 비율에서는 실망스러운 수준에 머물렀다. ‘제품 하자’ 피해 접수 건 가운데 실제 환급·수리 등 해결까지 이뤄진 사례는 56.5%에 불과한 반면, ‘계약 및 거래’ 관련 피해는 84.1%로 회복 비율 차이가 극명했다.
전문가들은 “사업자가 제품 하자를 인정하지 않거나 소비자 과실을 주장하며 책임 소재를 두고 이견이 계속돼 합의율이 낮아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구매대행 피해·반품 거부 등 계약 분쟁도 잇따라"
제품 자체의 하자뿐만 아니라 해외 구매대행을 통한 높은 반환 비용 청구, 포장박스 개봉을 이유로 한 반품 거부, 배송 지연 같은 ‘계약·거래’ 관련 분쟁도 잇달았다. 계약 관련 피해 70건 중 41.4%(29건)가 반품·청약철회 거부 사례였고, 37.1%(26건)는 수급 지연 등에 따른 미배송 건이었다.
"세계 시장·업계 동향: 품질 논란과 해법 모색"
글로벌 시장에서도 로봇청소기 피해 유형은 유사하다. 미국·유럽 등 선진국 소비자 리뷰에서는 ‘제품 결함’과 더불어 네비게이션 오작동, 실내 사물 인식 누락 문제가 계속 언급되고 있다. The New York Times, Consumer Reports 등 주요 외신 테스트에서도 독립실험 결과 문턱, 모서리 청소 부족, 센서 인식 오류 등 구조적 한계가 반복 지적된다.
중국시장에서는 로보락(Roborock), 에코백스(Ecovacs) 등 주요 제조사들이 판매량은 급증했지만, 원가 상승 및 품질 이슈 등으로 실질 수익성 하락과 신뢰 하락에 직면했다는 평가다. 로봇청소기 업계는 원가상승, 가격경쟁·과다 마케팅, 사후서비스 미흡 등 다양한 구조적 위기를 마주하고 있다.
소비자 안전 및 관리, 무엇을 주의해야 하나
일부 로봇청소기 제품에서는 리튬이온 배터리 과열로 인한 화재(2024년 미국 사례) 등 안전 문제도 보고된 바 있으니, 충전 시 회사 지침을 꼭 따르고, 미사용 시 전원 단자를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국소비자원은 피해 예방책으로 ▲생활 공간 구조(문턱, 바닥 재질 등)에 맞는 제품 선택 ▲청소 전 음식물 및 장애물 제거 ▲센서와 먼지통 등 주요 부품 청결 유지 등을 권고했다.
해외 전문매체들도 꾸준한 유지·관리와 공식 AS 이용, 인식 오류·소음 등 단점에 대한 구입 전 비교 확인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