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연일 강추위가 계속되더니 결국 한강도 얼었다. 입춘(立春)인 지난 3일 시작한 한파가 일주일 동안 이어지면서 올 겨울 첫 한강 결빙을 기록했다. 기상청은 이번 겨울(지난해 12월∼올해 2월) 들어 한강에서 첫 결빙이 확인됐다고 9일 발표했다. 기상청은 서울 동작구와 용산구를 잇는 한강대교 두 번째와 네 번째 교각 사이 상류 100m 지점에 설정한 가상의 직사각형 구역이 완전히 얼음으로 덮여 강물이 보이지 않으면 한강이 결빙됐다고 판단한다. 보통 한강은 ‘닷새 이상 서울 최저기온이 영하 10도 이하에 머물고, 일 최고기온도 영하’인 수준의 추위가 나타나면 얼었다. 최근 닷새(4~8일) 서울 최저기온은 영하 11.8~11.5도, 최고기온은 영하 5.3~0.2도였다. 이날 서울 최저기온은 영하 9.6도다. 올해 한강 결빙일은 평년(1월 10일)보다 30일, 지난해 겨울(2023년 12월~2024년 2월)보다 14일 늦다. 올해 한강 결빙은 관측이 시작된 후 역대 두 번째로 늦게 얼었다. 가장 늦은 한강결빙은 1964년 2월 13일이었다. 반대로 가장 일찍 한강이 결빙된 해는 1934년으로 12월 4일에 얼었다. 관측이후 한강이 결빙되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세종시 소담동 '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무순위 청약에 이틀간 3가구에 120만명이 몰렸다. 최대 4억원에 달하는 시세 차익에 대한 기대때문이다. 게다가 이르면 이달 무순위 청약 자격 요건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막차 줍줍'을 타려는 수요가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8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7일 세종시 소담동 힐스테이트 세종리버파크 H4블록(7단지) 전용면적 84㎡ 1가구와 전용 105㎡ 1가구를 모집하는 데 62만8746명이 접수했다. 전용 84㎡D 1가구에 33만7709명, 전용 105㎡B에 29만1037명이 청약 통장을 썼다. 6일 진행한 힐스테이트 세종리버파크 H3블록(8단지) 전용 84㎡ 1가구 모집에는 56만8735명이 몰렸다. 무순위 청약 물량을 분양받기 위해 이틀간 몰린 청약자는 119만7481만명에 달한다. 줍줍 아파트(무순위 및 취소후 재공급 아파트) 중에서 청약자수 5만명 이상이 몰린 대박 인기 단지는 어디가 있을까? 가장 청약자가 많이 몰린 최고의 인기, 최고 경쟁률의 줍줍 아파트는 2024년 7월 경기도 화성시 오산동 동탄역 롯데캐슬 34평으로 나타났다. 분양가 4.7억원 수준으로 인근 시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우리나라 지하철역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은 어디일까?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 자료를 기초로 FLOW가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1위는 2호선과 8호선의 잠실역으로 나타났다. 일평균 승하차 인원 기준으로 잠실역은 2023년 18만5257명에서 2024년 19만3898명으로 8641명 증가하며 한국에서 가장 복잡한 지하철으로 이름을 올렸다. 2위는 홍대입구역, 3위는 서울역, 4위는 강남역, 5위는 고터(고속터미널역)으로 조사됐다. 6위~10위는 선릉·사당·신도림·가디·서면역 순으로 파악됐다. 8위를 기록한 신도림역은 지난해보다 무려 6칸 상승했다. 그 이유는 2023년 보다 2024년에 무려 일 평균 이용자수가 2만9823명 급증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이용객 수가 급증한 역은 2위 홍대입구역으로, 2023년 보다 2024년에 일 평균 이용자수가 1만2651명 증가했다. 11위~15위는 여의도역, 신림역, 구로디지털단지역, 종로3가역, 삼성역으로 나타났다. 16위~20위는 건대입구역, 시청역, 수원역, 역삼역, 합정역 순으로 파악됐다. TOP20에 서울지역 지하철 역들이 대부분 차지한 가운데, 서울을 제외한 지방 지하철역으로 단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올해 서울대 정시 합격자 중 'N수(재수 이상)생'이 10명 중 6명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3수생 이상은 5명 중 1명꼴인 21%로 최근 10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같은 현상은 올해 의과대학 정원이 늘면서 수능 고득점자와 지방대 의대 재학생들의 ‘의대 갈아타기’ 수요가 늘어난 결과로 풀이된다. 6일 서울대가 발표한 ’2025학년도 서울대 정시 모집 선발’ 자료를 종로학원이 분석한 결과, 2025학년도 서울대 정시 합격자 1570명 중 N수생은 901명(57.4%)이다. 지난해 922명(59.7%)보다 21명(2.3%) 소폭 하락했다. 3수 이상 합격자는 330명으로 합격자 중 21%를 차지하며 2016학년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앞서 서울대 삼수 이상 합격자의 비율은 2022학년도 20.5%, 2023학년도 17.6%, 2024학년도 19.3% 등이었다. 입시 업계 전문가들은 수능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반수생’(재학 중 다시 수능을 치른 학생)과 지방대 의대에 진학했던 학생들 중 올해 다시 상위권 의대 입학을 노리며 재도전에 나선 이들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입시를 겨냥한 삼수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매달 1000만원 이상을 월세로 내는 ‘고가 월세’ 거래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신규 계약이 체결된 월세 거래 중 최고가 거래는 성동구 성수동1가 아크로서울포레스트 전용 200㎡는 보증금 3500만원, 월세 3500만원에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 7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2024년 서울 아파트 월세 신규 계약에서 매달 납부하는 월세를 1000만원 이상 내는 거래 건수는 161건(갱신 건수 포함시 181건)으로 집계됐다. 작년 전체 월세 거래 건수가 6만9110건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고가 월세 거래 비중은 전체의 0.23%를 차지했다. 용산구 ‘나인원한남’ 전용 244㎡는 보증금 15억원, 월세 2659만원에, ‘한남더힐’ 월세 계약은 보증금 4억원, 월세 2500만원이었다. 500만원 이상 고액 월세 계약 건수도 총 1395건으로, 전년보다 5%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와 갱신 계약을 모두 합산한 전체 건수는 전년(1408건) 대비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신규 계약 기준으로는 1142건을 기록해 전년(1091건) 대비 4.67%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지역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미래학자이자 엔지니어인 피터 다이아맨디스(Peter Diamandis) 미국 엑스프라이즈(XPRIZE) 창업자는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선도 기업 16곳을 선정했다. 포브스誌는 2025년 1월 25일(현지시간) 현재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을 보이고 있는 전세계 주요 기업 16개를 공개했다. 세계적인 미래학자다이아맨디스는 비영리기관 ‘X(엑스)프라이즈 재단’을 창립했으며 우주항공,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엑스프라이즈는 주로 인류의 미래를 위한 기술 개발 및 장려를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재단이다. 피터 다이아맨디스는 중국 로봇 기업의 기술을 높게 평가했다. 16개 기업 중 중국 기업이 8개, 미국 기업이 6개, 영국 기업이 1개, 캐나다 기업이 1개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최근 딥시크로 대변되는 중국 AI(인공지능)의 기술수준을 보여주듯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역시 미국 기업과 양강 구도를 형성하면서 글로벌 로봇 시장 영역을 주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가 꼽은 중국 로봇 기업과 로봇 브랜드는 유니트리(UNITREE)의 'H1'과 'G1', 애지봇(AGIBOT)의 '위안정(远征) A2',
지난해 여름, 한 지하 커피숍에 들어섰을 때의 경험이 생생하다. 들어서자마자 펼쳐진 초록빛 벽면의 수직정원, 자연광이 스며드는 창가의 나무 의자, 그리고 공간 곳곳에 배치된 자연 소재의 가구들. 그 순간 실내 지하에 있으면서도 숲 속에 있는 듯한 착각에 빠졌다. 2025년 상업용 시설 인테리어의 변화를 예고하는 징후다. 공간은 단순한 기능적 구조물이 아니다. 살아있는 유기체이자 사용자 감성을 자극하는 예술 작품이다. 알스퀘어디자인의 최근 연구는 이러한 변화의 핵심을 'NATURE+'라는 키워드로 집약한다. 여기서 'NATURE+'는 단순한 자연 모방을 넘어 기술과 자연의 융합, 지속가능성, 감성적 경험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자연친화적 디자인과 첨단 기술의 결합을 통해 인간과 환경, 기술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공간 혁신을 의미한다. 현대백화점 여의도점의 '사운드포레스트'는 이러한 트렌드의 대표적 사례다. 실내 수직 정원과 자연광을 통해 도심 속 휴식 공간을 구현했다. SK디앤디 을지로 타워는 대형 그린 오피스로 업무 공간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특히 이곳은 옥상 정원과 실내 정원을 연계해 직원들의 웰빙을 고려한 공간 설계를 선보였다. 주목할 변화는 기술과 자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지난 2024년 한해동안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매수하고 매도한 서울의 아파트는 서울 송파구 가락동의 ‘헬리오시티’ 아파트인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송파구 파크리오, 3위는 강동구 고덕그라시움으로 조사됐다. 5일 부동산 빅데이터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2024년 1월 1일부터 2025년 2월 5일까지 가장 많이 거래된 서울 아파트는 헬리오시티(2018년식, 9510세대)로 나타났다. 총 380건 거래가 이뤄져 수치상으로만 따질 경우 하루에 1건은 거래가 된 셈이다. 2위는 330건 거래된 송파구 신천동 파크리오(2008년식, 6864세대)로 조사됐다. 3위는 강동구 고덕동의 고덕그라시움(2019년식, 4932세대)로 지난해만 246건 거래됐다. 4위는 한진 해모로, 5위는 올림픽선수기자촌, 6위는 마포래미안푸르지오(2014년식, 3885세대), 7위는 올림픽훼밀리, 8위는 목동센트럴아이파크위브로 나타났다. 전세 거래가 가장 많이 된 아파트 역시 1위는 헬리오시티(868건)였고, 2위도 파크리오(753건), 3위는 2024년 11월 입주를 시작한 올림픽 파크포레온(737)이었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2025년 1월 수입차 판매량이 전년 동월 대비 16.4% 증가했다. 설 연휴에도 불구하고 일부 브랜드의 적극적인 프로모션으로 판매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판매왕 BMW가 메르세데스-벤츠를 누르고 새해 첫 달 판매량 1위 자리에 올랐다. 3위는 렉서스가 차지했다. 5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지난 1월 수입 승용차 신규 등록대수는 1만5229대로 집계됐다. 1위는 5960대를 판매한 BMW다. BMW는 2024년 12월 메르세데스-벤츠와 단 335대의 차이로 2위였다. 하지만 한달만에 1위 자리를 찾아오며 2170대의 격차로 벌렸다. 2위 벤츠 판매량은 3790대를 기록했다. 3위 렉서스(1126대), 4위는 볼보(1033대)가 차지했다. 이어 5위~10위는 포르쉐 644대, 토요타 430대, 포드 366대, 랜드로버 325대, 아우디 320대, 미니 234대 순이었다. 그 뒤를 이어 혼다 177대, 쉐보레 134대, 링컨 134대, 폭스바겐 129대, 지프 120대, 폴스타 103대, 람보르기니 58대, 푸조 38대, 페라리 32대, 캐딜락 26대, GMC 14대, 마세라티 14대, 벤틀리 10대, 롤스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이종화 기자] 지구에서만 사는 우리 인류에게 우주라는 공간은 항상 새롭고 미지의 영역, 동경의 대상이다. 하지만 인간이 생존하기에 극도로 적대적인 환경이다. 만약 우주복 없이 진공 상태의 우주에 노출될 경우, 엄청난 생리적, 물리적 변화가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이는 이미 학적 연구와 시뮬레이션에 기반을 둔 사실이다. 그래서 우주전문 과학자들이 더욱 더 최첨단 기술이 반영된 우주복 개발에 적극 나서는 이유이기도 하다. 우주복 없이 인간이 우주에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현상을 알아봤다.(NASA, "Human Exposure to Vacuum," NASA Technical Reports) 우선 지구의 대기압은 약 101.3 kPa(1기압)이다. 그러나 우주는 진공 상태로 기압이 0에 가깝다. 즉 갑작스러운 기압 상실로 폐에 남아 있는 공기가 팽창하며 폐가 손상될 수 있다. 호흡을 멈추고 있더라도 폐 내 산소는 진공 상태로 인해 빠르게 빠져나가게 된다. 또 6.3 kPa 이하의 기압에서는 체액이 끓기 시작한다. 이를 '임계압(Critical Pressure)'이라고 한다. 혈관 내 액체였던 혈액이 용해되며 기체에서 빠르게 기포로 변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