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가장 ‘실질적 영향력’을 갖는 기업인은 단연 엔비디아(Nvidia)의 젠슨 황 CEO로 떠올랐다. 미 경제 전문채널 CNBC를 비롯해 Reuters, Bloomberg 등 주요 외신들은 최근 “AI 칩 시장의 절대강자 엔비디아와 젠슨 황이 트럼프 집권 하 권력 핵심에 섰다”고 집중 분석했다. ‘쿡을 넘어선 황’…美 가장 가치 있는 기업, 엔비디아로 교체 트럼프 1기 시절에는 애플의 팀 쿡 CEO가 미국 행정부와 중국 간 무역전쟁 속에서 거미줄 외교를 통해 양국 관계를 조율, 애플의 관세 면제 및 글로벌 성장세를 이끌어냈다는 평판을 얻었다. 하지만 2025년 기준 애플은 시가총액 1위 자리를 엔비디아에 내줬고, 엔비디아는 시총 4조달러(약 5700조원) 고지를 세계 최초로 돌파했다. 이는 글로벌 AI혁명의 ‘심장’에 엔비디아 칩이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젠슨 황, ‘AI 정치’의 설계자…트럼프와 최다 회동, 美中 양국 정책 주도 황 CEO는 2025년 들어 트럼프 대통령과 수차례 회동하며, 전략적으로 중동 방문을 동행해 수십만 개 AI칩을 아랍에미리트(UAE)에 공급하는 등 글로벌 AI 생태계 확장에
[News Space=Reporter seungwon lee] Daemyung Sono Group, which was pushing for a company name change after acquiring T'way Air, is facing an unexpected 'cybersquatting' incident. As it was revealed that the major domains related to the new company name 'Sono Air' and 'Sono Airlines' applied for by the group have already been monopolized by third parties, the poor prior preparation during the corporate merger and acquisition (M&A) process has come under fire. Major domains, one after another, immediately after the announcement of acquisition 'sonoair.com' was first registered by a Chinese do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7월 24일, 인공지능(AI) 패러다임을 이끌고 있는 오픈AI가 “이르면 내달 초 차세대 언어모델 ‘GPT-5’를 공식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샘 올트먼 CEO는 워싱턴에서 열린 대형 은행 포럼에서 “GPT-5는 내가 모르는 질문에 완벽한 답을 내놓았다. 그 순간 내 자신이 쓸모없게 느껴질 정도였다”며 연구팀 내부에서조차 놀라움을 표했다고 The Verge가 전했다. ‘하나의 GPT-5로 통합’…더 빨라진 뇌, 더 유연한 활용 기존 GPT-4 플러스와 3.5처럼 각각 선택해 쓰던 고급형·경량형 모델 구분이 GPT-5에서는 사라진다. 단일 모델 구조에 고품질 텍스트 창작·복잡한 질의 처리·실시간 대화 등 모든 기능이 통합되어 ‘한 번에 똑똑한 모델’로 거듭난다. 사용자들은 GPT-5만으로 고도의 글쓰기, 난해한 계산, 질의응답까지 실시간으로 가능해진다. 실제 오픈AI는 내부 데모와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추론·문해·암시해결 등 인간 사고의 여러 영역을 GPT-4 대비 크게 앞질렀다”고 강조했다. 경량 버전 ‘미니’와 ‘나노’도 동시 출격 이번에는 ‘미니(Mini)’와 '나노(Nano)'도 동시에 출격한다. 미니는 중간급 성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7월 18일(현지시간), 미니애폴리스발 스카이웨스트 운항 델타 커넥션 3788편(Embraer E175)이 노스다코타주 마이놋 국제공항(MOT) 접근 도중 미 공군 B-52 스트라토포트리스 폭격기와의 근접 충돌을 피하기 위해 갑작스럽고 과감한 회피 기동(고 어라운드)을 실시했다. 비행기의 승객과 승무원들은 격렬한 선회에 놀랐고, 착륙 후 조종사 역시 "이런 상황은 상상도 못했다"며 승객들에게 솔직하게 사과했다. 현장 목격과 조종사의 육성…"아무도 우리에게 말하지 않았다" 승무원 모니카 그린이 촬영한 녹음 영상과 CNN, Times of India, Bloomberg, AInvest 등의 보도에 따르면, 조종사는 "비행기 오른쪽에 무언가 다가오는 걸 봤을 승객들이 있을 것"이라며, “관제탑에서는 우회전을 지시했다가, 갑자기 좌회전 명령으로 바뀌었다. 그제야 우리보다 훨씬 빠른 B-52임을 인지하고 곧장 그 뒤로 우회하는 것이 최선이라 판단했다”고 전했다. 조종사는 "아무런 경고도 못 받았다. 군 비행장에서는 분명 레이더가 있는데 말이다"라며, 미흡한 민·군 정보 공유에 아쉬움을 드러냈다. 비행 중 기내는 짧은 침묵과 긴장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청년 실업 문제가 새 정부의 주요 정책 과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주요 대기업의 청년 고용이 해마다 크게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주요 대기업 67곳 중 절반 이상이 최근 2년 새 20대 청년 고용을 약 5만명 줄이면서 사회 진출을 준비 중인 20대 청년들의 대기업 취업문이 점점 더 좁아지는 모양새다. 특히 재계 맏형격인 4대 그룹 대표 기업의 20대 청년 고용을 조사한 결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매년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현대자동차와 LG전자는 계속 증가해 업체별로 온도차가 큰 것으로 파악됐다. 주요 기업 대부분이 신입 공채보다는 경력직 채용으로 전환하고 있는 데다, 경기 둔화로 기업들이 인력 채용을 줄이면서 20대 사회 초년생의 취업 기회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1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매출액 기준 국내 100대 기업 중 2025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공시한 67곳을 대상으로 2022~2024년 연령대별 임직원 수 및 비중을 조사한 결과, 사회 초년생인 20대 임직원 수는 2022년 29만1235명, 2023년 26만4091명, 지난해 24만3737명
[News Space=Reporter seungwon lee] French luxury brand Louis Vuitton has officially acknowledged a customer personal information leak. Following the successive hacking incidents at major luxury brands under LVMH (Louis Vuitton Moet Hennessy), including Dior, Tiffany, and Cartier, earlier this year, a sense of security crisis is growing throughout the industry. Accident Summary and Leakage Information Louis Vuitton Korea announced on its website and via text message on July 4 that “on June 8, an unauthorized third party temporarily accessed our system, causing some customers’ names, genders, co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6월 27일 정부가 ‘가계부채관리강화방안(이하 6.27 부동산대책)’을 발표한 지 2주가 지났다. 직방(대표 안성우)이 국토교통부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6.27부동산 대책 발표 후 2주간의 최고가 거래량은 발표 전 2주 간보다 7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은 그야말로 불장(불타는 장)이었다. 강남권에서 시작된 집값 상승세는 마포·용산·성동 등으로 빠르게 확산됐고 이 과정에서 투자 수요 및 실수요자들의 매수세가 급격히 몰렸다. 통상적으로 매수 심리가 고조되면 최고가 거래도 함께 증가하는데, 대책 발표 전 2주 동안(6월 13일~6월 26일) 총 4693건의 거래 중 1141건이 최고가 거래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거래량의 24.3%에 해당한다. 특히 '지금 사지 않으면 더 오른다'는 불안심리가 마포, 성동, 강동 등으로 확산되며 최고가 거래가 더욱 집중됐다. 이에 정부는 주택담보대출 6억 원 제한, 소유권이전 전 전세대출 금지 등의 고강도 대출 규제를 담은 대책을 내놨고, 발표 익일부터 즉시 적용되면서 시장은 빠르게 냉각됐다. 그 여파로 거래량 및 최고가 거래 또한 크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세네갈 정부가 미국-세네갈 출신 팝스타 에이콘(Akon)의 60억 달러(약 8조원) 규모 '와칸다 스타일' 미래도시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BBC, Le Monde, Newsweek, Times of India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세네갈 관광개발공사(Sapco)의 세린 마마두 음부프(Sérigne Mamadou Mboup) 대표는 "에이콘 시티 프로젝트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며, "이제는 훨씬 현실적인 대안을 에이콘과 함께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6년간의 지연, 남은 것은 미완성 건물 하나 2018년 야심차게 발표된 '에이콘 시티'는 세네갈 수도 다카르 남쪽 100km, 대서양 연안 800헥타르(약 240만평) 부지에 병원, 쇼핑몰, 학교, 태양광 발전소, 첨단 곡선형 마천루 등으로 구성된 친환경 스마트시티를 건설한다는 계획이었다. 1단계만 해도 60억 달러가 투입될 예정이었으며, 이는 세네갈 2020년 국가 예산(약 75억 달러)에 맞먹는 규모였다. 하지만 2024년까지 현장에 남은 것은 미완성 웰컴센터 건물 한 채뿐이다. 도로, 주택, 전력망 등 핵심 인프라는 전혀 착공되지 않았다. 지역 주민들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유플러스가 국내 최초로 다양한 AI 서비스를 결합해 이용할 수 있는 구독 서비스 ‘유독픽(Pick) AI’를 출시한다. 국내 AI 서비스 시장 성장에 맞춰 신개념 구독 서비스를 선보임으로써,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AI 경험을 제공하겠다는 전략이다. 7월 22일 출시 예정인 ‘유독픽(Pick) AI’는 고객이 원하는 AI 서비스만 골라 할인을 받고, 매달 필요한 AI 서비스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구독형 상품이다. 기존 AI 서비스 이용 고객들의 가장 큰 불편 사항인 비용 부담과 번거로운 서비스 해지 절차 등을 개선한 것이 유독픽 AI의 강점이다. 국내 고객들의 AI 서비스에 대한 관심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4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AI 서비스를 경험해 봤다고 답한 응답자는 2021년 32.4%에서 2024년 60.3%로 크게 증가했다. 생성형 AI를 경험해봤다는 응답은 2023년 17.6%에서 2024년 33.3%로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맞춰 LG유플러스는 누구나 비용 부담없이 필요한 AI 서비스만 골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AI 사업자들과 협업해 유독픽 AI를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정부의 대규모 인공지능(AI) 활용에 심각한 보안 허점을 드러낸 충격 사건이 벌어졌다. 테크크런치와 포춘의 보도에 따르면, 정부 효율성 부서(DOGE, 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소속 직원 마르코 엘레즈(Marko Elez)가 2025년 7월 13일(현지시간), GitHub 퍼블릭 저장소에 실수로 xAI API 키를 노출한 것이 결정적으로 밝혀지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agent.py"에 담긴 금단의 열쇠…52개 LLM까지 사각지대 드러나 엘레즈는 'agent.py'라는 파이썬 스크립트를 GitHub에 커밋하면서, xAI가 개발한 그로크(Grok) 최신 버전(grok-4-0709, 2025년 7월 9일 생성 포함)을 비롯해 최소 52개의 대형 언어 모델(LLM)에 접근 가능한 비공개 API 키를 코드에 포함시켰다. 해당 유출은 공개 저장소의 비밀정보 노출 감지에 특화된 GitGuardian에 의해 실시간으로 포착되어 경고가 전해졌지만, 이미 키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였다. 더욱이, 저장소 삭제 후에도 API 키는 비활성화되지 않아 수일간 접근이 가능했다. '반복되는' xAI 보안 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