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 CEO의 테슬라 주식 매입 소식에 힘입어 주가가 9월 15일(현지시간) 월요일 프리마켓 거래에서 8% 이상 급등했다. Reuters, CNN, Bloomberg, CNBC에 따르면, 15일(현지시간) 아침에 공개된 SEC(미 증권거래위원회) 공시에서 머스크는 주당 $372.37에서 $396.54 사이의 가격으로 테슬라 주식 257만주를 매입했다. Verity 자료에 따르면 이번 거래는 금액 기준으로 머스크의 역대 최대 내부자 주식 매입이며, 2020년 2월 마지막 공개 시장 매입(대략 20만주, 약 1000만 달러 상당) 이후 처음이다. 이번 조치는 테슬라 이사회가 머스크를 향후 10년간 회사가 야심찬 목표를 달성할 경우 세계 최초의 트릴리어네어(1조 달러 부자)로 만들 수 있는 전례 없는 보상 패키지를 제안한 가운데 나왔다. 이 패키지는 머스크가 테슬라의 시가총액을 현재 1.3조 달러에서 8.5조 달러까지 확장하고, 자율주행 택시와 로봇 등 야심찬 사업 목표를 달성할 경우 최고 1조 달러 가치의 주식을 단계적으로 지급하는 내용이다. 이 계획은 11월 6일 주주총회에서 표결 예정이다. 보상안의 세부목표는 매우 도전적이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8월, 이더리움(ETH)이 중앙화 거래소 현물 거래량에서 비트코인(BTC)을 처음으로 앞서며 암호화폐 시장에서 7년 만에 중요한 변곡점을 맞았다. Cointribune, Binance, Bloomingbit, Panewslab, Coindesk, BeInCrypto 등 복수 해외 매체와 시장 데이터에 따르면, 8월 한 달간 이더리움의 거래량은 약 4800억 달러로 비트코인 4010억 달러를 20% 이상 상회했다. 이는 과거 비트코인이 압도적 우위를 점해온 현물 거래 부문에서의 극적인 판도 변화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러한 변화는 비트코인이 역사적으로 거래 활동에서 우위를 유지해왔던 점에도 불구하며, 암호화폐 시장의 역학 구조에 잠재적인 전환점을 암시한다. 특히 이번 거래량 급증은 공격적인 기업 재무 축적과 ETF를 중심으로 한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매수세가 주도했다. Fundstrat의 Tom Lee가 이끄는 BitMine Immersion Technologies(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는 약 81억 달러 규모, 187만 ETH를 보유해 단일 기업 최대 이더리움 보유자로 떠올랐다. SharpLink Gaming 역시 8월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미국 조지아주에서 건설 중인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이 미국 당국의 대규모 이민 단속에 휘말려 약 297명의 한국인 근로자가 구금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했다. 9월 4일(현지시간)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은 HL-GA 배터리회사 건설 현장을 급습해 총 475명을 체포했으며, 이 중 300여명이 한국인으로 파악됐다. 이번 단속은 단일 현장 기준 역대 최대 규모로, 다개월의 수사를 거쳐 법원에서 수색 영장을 받아 집행된 것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 측은 구금된 인원 중 약 47명(한국인 46명·인도네시아인 1명)이 자사 소속이며, 나머지는 HL-GA 배터리회사 및 여러 설비 협력사 소속 250여명으로 대부분이 한국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 협력사 소속 168명 중 약 60명도 한국인이다. 그러나 현대차 미국법인의 직접 고용 임직원은 이번 단속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미국 당국은 이번 단속을 “단일 현장 최대 규모”의 형사 수사로 발표하며, 불법 고용과 비자 위반 혐의를 근거로 한 계획적 단속이라고 밝혔다. 구금된 한국인 상당수는 단기 방문 또는 상용 목적 비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맥주 한 잔의 매력은 청량감과 함께 올라오는 풍성한 거품에도 있다. 그런데 왜 어떤 맥주는 거품이 오래가고, 어떤 맥주는 순식간에 사라질까? 최근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ETH) 연구팀이 7년에 걸친 연구 끝에 이 의문에 과학적 해답을 내놨다. 2025년 8월 국제 학술지 'Physics of Fluids'에 발표된 이 연구는 발효 횟수가 맥주 거품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임을 밝히며, 맥주 제조는 물론 다양한 산업 분야에 새로운 통찰을 제시했다. 단일 발효 라거 맥주에서는 보리 맥아 속 단백질, 특히 '지질 전달 단백질 1(LTP1)'이 원형으로 거품 표면에 촘촘히 모여 점성 있는 얇은 막을 형성한다. 이 점성 막은 거품이 빨리 줄어들지 않고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돕는다. 반면, 벨기에의 삼중 발효 맥주(트라피스트 스타일)는 발효를 거듭할수록 LTP1 단백질이 변형돼 가느다란 그물망이나 여러 조각으로 분해된다. 이 단백질 조각들은 물과 기름을 동시에 사랑하는 양면성을 갖고 있어 계면에서 마랑고니 응력(Marangoni stresses)을 만들어내며, 거품 안의 미세한 순환 흐름을 유도해 거품이 스스로 무너지지 않고 더욱 오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슬라가 중국에서 판매되는 차량에 중국산 인공지능을 슬그머니 통합, 중국 현지 시장공략에 승부수를 띄웠다. 테슬라가 중국에서 판매되는 차량에 중국 기업 딥시크(DeepSeek)와 바이트댄스(ByteDance)의 두바오(Doubao) 인공지능(AI) 모델을 통합하며 중국 시장 현지화에 본격 나선 것. 이는 지난 2025년 7월까지 중국 내 차량 인도량이 전년 대비 8.4% 감소하는 등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중국의 엄격한 데이터 현지화 규제를 극복하고 현지 고객과의 접점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Bloomberg, SCMP, Electrek, Caixin, TeslaNorth, CnEVPost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AI 통합은 테슬라가 공식 웹사이트에 게시한 최신 서비스 약관을 통해 확인됐으며, 두바오는 내비게이션 설정, 공조 제어, 미디어 재생 등 일상적인 음성 명령을 처리하는 반면, 딥시크는 보다 정교한 대화형 상호작용을 담당한다. 두 AI 모두 바이트댄스의 클라우드 서비스 'Volcano Engine'을 통해 중국 내에서만 데이터를 처리해 엄격한 사이버보안 법을 준수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 운용 중인 일론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이스라엘 신경 인터페이스 신생 기업인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s Ltd.)의 주가가 2025년 9월 11일(현지시간) 하루 만에 978% 폭등했다. 미국 특허청(USPTO)이 음성 및 제스처, 생체 인증을 결합한 ‘제스처 및 음성 제어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획기적인 특허를 승인한 직후 벌어진 급등으로, 주가는 $1.01에서 인트라데이 최고가 $10.89까지 치솟았고, 마감가는 $5.18을 기록했다. 거래량은 평소의 85만5610주에 비해 2억5000만주에 육박해 역사적 기록을 세웠다. Yahoo Finance, Benzinga, Proactive Investors, aithority.com, Data Insights Market, IDC 및 기타 증권 분석 및 산업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특허는 음성과 제스처를 통합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에 있어 기존 한계를 극복하는 혁신적 솔루션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고도의 음성 명령과 정밀한 제스처 인식이 결합된 동작 제어는 터치 없는 스마트 기기 환경에서 보안과 개인화가 강화된 최초의 시도로, 신경 및 음성 서명 기반 생체 인증 기술이 보안 수준을 한층 끌어올린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남극 대륙이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기후 변화의 임계점에 진입했으며, 이로 인한 급격하고 상호 연결된 변화들이 전 세계에 치명적인 파장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최근 발표된 네이처(Nature)지의 발표를 비롯해 CBS News, UNSW Sites, ioes.ucla.edu(Institute of the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at UCLA), intellinews, JournalPolar의 연구와 보도에 따르면, 남극 빙상의 붕괴 가능성은 전 지구 해수면 상승을 3미터 이상 초래할 수 있어, 세계 주요 연안 도시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호주 남극청의 수석 과학자 네릴리 아브람 박사는 “다음 세대를 위해서라도 이 위기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례 없는 해빙 손실, 남극 시스템의 근본적 붕괴 신호 남극의 해빙은 이제까지 경험한 적 없는 정도의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다. 최근 6년간 3차례나 기록적인 최저치를 경신하며 체제 전환(regime shift)이 현실화됐다. UCLA 연구진은 20세기 중반까지 이런 급격한 해빙 손실은 0.1% 미만의, 즉 1000번 중 한 번도 발생하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최근 미국 대표 대형주 지수인 S&P 500이 닷컴 버블 정점을 넘어서는 사상 최고 수준의 밸류에이션(기업가치 평가)을 기록하며 시장의 경계심을 키우고 있다. S&P 500 지수는 최근 3.23배의 주가매출비율(PSR)과 22.5배의 예상 주가수익비율(PER)을 나타내며, 2000년 초 IT 버블 당시를 뛰어넘는 수준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월스트리트 저널, 뱅크오브아메리카, 오스본파트너스, 인터랙티브 브로커스, 바라 한리 글로벌 인베스터스, CNBC, 비즈니스 인사이더 등 주요 금융기관 보고서와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투자자들은 지수 내 기업이 올린 매출 1달러당 역대 최대 금액을 지급하는 상황으로, 과거 어느 때보다 신중한 투자 전략이 요구된다. 시장 집중도, 역사적 기록 경신 이 같은 고평가는 소수 대형주에 대한 극심한 집중 현상에서 비롯됐다. Osborne Partners 분석에 따르면, 2025년 7월 말 기준 상위 10개 기업이 S&P 500 시가총액의 39.5%를 차지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 중 9개 기업은 시가총액 1조 달러를 넘는 ‘슈퍼캡’이다. 기술주 중심의 ‘매그니피센트 세븐’(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대기업에서 덜 뽑고 덜 나가는 고용 경직성이 심화됐다. 경기 침체와 업황 부진 속에 신규 채용은 크게 줄고, 기존 인력은 이직이나 퇴사 대신 자리를 지키면서 나타난 결과다. 이에 따라 조직 내 인력 순환이 더뎌지는 ‘고용 정체’ 현상이 더 뚜렷해졌다. 8월 26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500대 기업 가운데 올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제출한 152개사 중 신규 채용 및 퇴직 인원을 공개한 기업의 고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4년 기준 전체 신규 채용 인원은 15만4266명으로 전년보다 12.0%(2만998명) 줄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29.9%(6만5784명) 감소한 수치다. 같은해 퇴직자는 6만9354명으로 전년 대비 12.0%, 2년 전과 비교하면 8.7% 줄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지난해보다 53곳이 채용을 늘렸고 그보다 훨씬 많은 95곳이 줄였으며, 1곳은 변동이 없었다. 삼성전자·삼성전기·삼성SDI 등의 삼성 계열사는 고용 현황을 공시하지 않아 조사에서 제외됐다. 신규 채용과 퇴직 간 격차는 2년 새 좁혀졌다. 2022년만 해도 신규 채용이 퇴직자의 2.9배에 달했으나, 2023년와 지난해는 2.2~2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카카오페이 주가가 2025년 9월 3일 장중 9.69% 급락하며 5만2200원에 마감, 2개월 전 최고점(11만4000원) 대비 54.82% 급락해 반토막 수준으로 추락했다. 이번 급락은 2대 주주인 중국 핀테크 기업 알리페이의 6266억원 규모 교환사채(EB) 발행 소식에 따른 오버행(대량 매도 물량 출회) 우려가 주된 원인으로 지목된다. 알리페이는 2025년 10월 2일 교환사채 발행을 공시했으며, 대상 주식은 카카오페이 보통주 1144만5638주(지분 8.47%)다. 교환가액은 주당 5만4744원이며, 만기는 12월 29일로 3개월짜리 초단기 물이다. 이는 7월에 이어 벌써 두 번째 교환사채 발행으로, 시장에서는 알리페이가 지분 매각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관측이 확산 중이다. 앞서 2022년과 2024년에도 각각 3.8%, 2.2% 지분을 블록딜로 처분해 투자금을 회수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알리페이의 잇따른 교환사채 발행을 사실상 장내 매도를 위한 사전 작업으로 보고 있으며, 이로 인한 대규모 잠재 매물이 시장에 부담을 주며 주가 급락을 촉발했다고 분석한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알리페이의 지분 정리가 지속되면서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