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3년 기준 한국의 무주택가구가 961만8474가구로 집계되며 ‘1000만 시대’ 진입을 눈앞에 뒀다. 이는 전년보다 약 7만7374가구 늘어난 수치로 전체 일반가구(2207만가구)의 43.6%에 해당한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무주택가구란 가구원 중 누구도 주택을 소유하지 않아 전세나 월세 거주만 택하는 가구를 뜻한다. 서울 무주택 가구 절반 돌파…2년 연속 ‘나홀로’ 증가 특히 서울의 변화가 두드러진다. 2023년 서울 무주택가구는 전체 414만1659가구 가운데 51.7%인 214만3249가구에 달했다. 서울은 전국 17개 시·도 중 유일하게 무주택가구 비율이 50%를 넘겼으며, 2021년 51.2%, 2022년 51.4%, 2023년 51.7%로 2년 연속 비율이 상승했다. 나머지 16개 시·도는 대부분 50% 미만이며, 서울만 ‘나홀로 상승세’가 두드러진다. 수도권 무주택가구 집중…경기·인천까지 절반 넘어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무주택가구는 506만804가구로 전국의 52.6%에 달한다. 경기가 238만2,950가구로 수도권 내 최다를, 서울이 그 뒤를 잇는다. 세입자 집중 현상은 집값 격차,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인공지능(AI) 분야의 지배자를 예측하는 금융 베팅 시장에서 구글의 AI 모델 제미나이가 선두를 달리고 있다. 미국의 예측 시장 플랫폼인 칼시(Kalshi)에서 최근 발표된 데이터와 Cointribune, Cointelegraph, Ainvest, Binance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참가자의 57%에서 59%가 제미나이(Gemini)가 연말까지 최고의 AI 텍스트 모델이 될 것으로 베팅했다. 제미나이가 오픈AI의 챗GPT(ChatGPT)와 일론 머스크의 xAI 그록(Grok)을 크게 앞서고 있는 셈이다. 이번 시장은 2025년 12월 31일 LM Arena 리더보드 평가 결과에 따라 최종 판정될 예정이다. 칼시(Kalshi)는 미국 뉴욕시에 기반을 둔 규제된 금융 거래소이자 예측 시장 플랫폼으로, 사용자들이 다양한 사건이 발생할 확률에 대해 실제 돈을 걸고 거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사용자는 이벤트 계약(event contracts)을 사고파는데, 각 계약은 특정 사건이 '예' 혹은 '아니오'로 끝날지에 대한 이진 결과에 맞춰 거래되며, 계약 가격은 시장에서 해당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계약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한국소비자원과 특허청이 공동으로 실시한 온라인 주방용품 지식재산권 허위·과장 표시 점검에서 약 1만건의 판매 게시글 중 444건이 불법 허위광고로 적발됐다. 이 가운데 ‘특허권’과 ‘디자인권’ 관련 허위표시가 전체의 97.3%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2025년 6월부터 7월 초까지 약 한 달여 동안 진행됐다. 제품별로는 ‘조리도구류’가 301건(67.8%)으로 지식재산권 허위표시가 가장 많았고, ‘주방잡화’가 127건(28.6%)으로 뒤를 이었다. ‘조리용기류’와 ‘주방 수납용품’은 각각 11건(2.5%), 5건(1.1%)에 불과했다. 허위표시 유형별로 보면 소멸된 권리를 존재하는 것처럼 표시한 사례가 228건(51.4%)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이어 지식재산권 명칭을 잘못 기재한 경우가 108건(24.3%), 등록 거절된 권리를 표시한 경우가 54건(12.2%), 출원조차 하지 않은 제품에 ‘출원 중’이라고 표시한 경우가 37건(8.3%), 제품에 적용되지 않은 지식재산권을 표시한 경우가 17건(3.8%)으로 확인됐다. 특허권 허위표시는 소비자를 오도해 신뢰를 저해하고 시장 질서를 교란하는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특히 주방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9월 1일(현지시간), 미국 비즈니스 인사이더와 CNBC 등의 주요 글로벌 언론들은 앤트로픽(Anthropic) 다리오 아모데이(Dario Amodei) CEO가 인공지능(AI)이 불러올 고용 충격을 공개 경고하면서, 실리콘밸리 내 AI 패권가들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모데이는 악시오스, CNN 등 미국매체와 5월 인터뷰에서 “향후 1~5년 내 AI가 신입 화이트칼라 직업의 절반을 대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미국 실업률이 10~20%까지 치솟을 수 있다”고 밝혀 파장을 일으켰다. 이 수치는 미국 대공황 이후 최대의 일자리 충격이라는 분석이다. 이후 실제로 현장감 있는 수치가 쏟아졌다. 영국 『AI매거진』과 CNN은 2025년 6월 기준으로 앤트로픽 CEO의 경고가 “기술, 금융, 법률, 컨설팅 등 지식노동 전 영역의 신입 인력이 가장 먼저 타격받을 것”이라 예측했다고 보도했다. 포드 CEO 짐 팔리(Jim Farley)도 “AI 충격으로 단순 사무직은 줄겠지만, 데이터센터 구축·유지 등 현장 기술 인력에 대한 수요는 오히려 폭증한다”고 강조했다. 2025년 4월 미국 Pew Research Center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NASA의 프시케(Psyche) 우주선이 2025년 7월 지구로부터 약 1억8000만 마일(약 2억9000만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지구와 달의 이미지를 성공적으로 촬영하며 탐사 임무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이번 이미지는 우주선의 다중분광 이미저(multispectral imager) 장비를 보정하기 위한 정기 점검 중에 확보됐으며, 2029년 목표인 금속이 풍부한 소행성 16 프시케를 연구하기 위한 카메라 준비 과정의 핵심 단계로 평가된다. NASA(nasa.gov) 공식발표와 NASA jpl, NASA Psyche, NASA Science, Psyche Mission의 자료를 비롯해 Mashable, Gizmodo의 보도에 따르면, 촬영은 7월 20일과 23일에 이루어졌으며, 쌍둥이 카메라가 10초까지의 장노출 사진을 여러 장 촬영해 양자리 별자리 배경에 반짝이는 지구와 달을 포착했다. 이 카메라들은 다양한 파장의 빛을 필터링하는 망원 렌즈를 갖춘 동일한 쌍으로 구성돼, 소행성 표면 특성을 다각도로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천체의 색상과 스펙트럼 형태는 그 구성 물질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프시케 임무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올해 상법 1차 개정의 ‘합산 3%룰’에 이어, 2차 개정안에는 ‘집중투표제’와 ‘감사위원 분리선출 확대’가 포함된 가운데, 이 안이 적용될 경우 50대 그룹 중 오너일가 지분이 있는 계열사 지분의 약 38%가 감사위원 선출시 의결권을 상실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민연금은 감사위원 분리선출에서 오너일가 우호지분과 동일한 의결권을 갖게 돼, 향후 주주총회에서 중요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전망이다. 8월 19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오너가 있는 자산 상위 50대 그룹의 상장사 중 오너일가 지분이 존재하는 계열사 130곳을 분석한 결과, 평균 5.8명의 오너일가와 1.1개 계열사, 0.6개 공익재단이 포함된 이들의 우호지분율은 40.8%였다. 2차 개정안은 자산규모 2조원 이상 기업에 적용되며, 전체 130개사 중 94곳이 이에 해당한다. 1차 상법 개정에서 이미 통과된 합산 3%룰(감사위원 선임시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의결권을 합산해 발행주식 총수의 3%로 제한)과 이번 2차 개정안에 담긴 집중투표제·감사위원 분리선출 확대가 모두 적용되면, 40.8% 중 37.8%는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게 된다. 우호지분을 보유한 평균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LG전자는 2024년 남미 국가에서 총 6건의 공공기관 제재를 받으며 현지 사업 운영 이슈가 부각되고 있다. 이는 LG전자 2024년 전체 해외 제재 16건 중 약 37.5%에 달하는 수치다. 남미 제재건은 글로벌 제도 및 내부통제 수준이 한층 강화된 환경에서, LG전자 등 대형 글로벌 전자업체가 현지법·제품규정의 촘촘한 준수와 신속한 이슈관리 역량을 더욱 요구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성장세와 동시에 기업 신뢰, 지속가능경영 관점에서 투명공시 및 컴플라이언스 투자가 더욱 중시되는 시대임이 명확히 드러났다. LG전자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사업보고서를 비롯해 GrandViewResearch, GoodJobsFirst, Violation Tracker 등에 따르면, 주요 국가는 파나마, 아르헨티나, 페루, 브라질 등이며, 각국에서 발생한 위반 내용과 벌금 액수는 다음과 같다. LG전자의 남미 국가 위반 및 제재 내용 먼저 파나마에서는 LG전자 파나마법인(LGEPS)이 가정용 에어컨 제품에 대해 효율 라벨을 부착하지 않아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파나마 소비자보호원으로부터 150달러의 벌금을 부과받았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소비자원과 경범죄 법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두 명의 두바이 출신 공학도들이 6월 241명이 사망한 인도 에어 인디아 171편 추락 사고 이후, AI 기반의 혁신적 항공기 생존 안전 시스템 '프로젝트 리버스(REBIRTH)'를 개발해 항공 재난 대응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추락이 불가피할 경우 자동으로 항공기 외부에 초고속으로 에어백을 전개, 충격을 최대 60% 이상 흡수해 치명적인 사고를 생존 가능한 착륙으로 바꾸는 기술이다. NBC News, theconversation, bbc, designboom, Hindustan Times의 보도와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자료에 따르면, 프로젝트 리버스는 버르라 공과대학 두바이 캠퍼스의 Eshel Wasim과 Dharsan Srinivasan 두 학생이 개발했으며, 2025년 6월 인도 아흐메다바드에서 발생한 보잉 787-8 드림라이너 추락 사고가 직접적 계기다. 이 사고는 이륙 32초 만에 이뤄졌으며, 242명 탑승객 중 241명이 사망하고 지상 인명 피해도 19명에 달하는 참사였다. 단 한 명의 영국인 승객만이 파손된 비상구를 통해 탈출해 기적적 생존을 이뤘다. 프로젝트 리버스는 고도, 속도, 엔진 상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파운드리 반도체 시장의 최강자 대만 반도체 제조사 TSMC(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가 2024년 직원 평균 연간 보상 및 복리후생을 44.5% 인상했다. 한국에서는 SK하이닉스가 최대 1000% 한도였던 ‘초과이익분배금(PS)’ 상한을 폐지하고, 연간 영업이익의 10% 전액을 초과이익성과급(OPI)으로 직원들에게 지급하는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으며, 이를 계기로 삼성그룹 초기업노조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게 성과급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공식 공문을 전달한 가운데 들려온 소식이라 더욱 의미가 크다. Focus Taiwan, Taiwan News, Global Taiwan Institute에 따르면, 이는 2020년과 비교해 대폭 오른 수치로, 치열해지는 글로벌 반도체 인재 확보 경쟁에 적극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이다. 이로써 사상 최고 수준인 NT$3,570,000(357만 신대만달러(New Taiwan Dollar), 미화 약 11만6800달러, 한화 1억6300만원)에 도달한 것이라고 밝혔다. TSMC의 2024 지속가능성 보고서에 따르면 직원 보상 및 복리후생 총 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중국은 2025년 8월 26일 새벽 3시 8분(베이징 시간) 하이난 국제 상업 항공우주 발사 센터에서 창정(롱마치) 8A 로켓을 이용해 10번째 저궤도 인터넷 위성군 9기를 성공적으로 궤도에 올리며 위성 인터넷 구축 사업에 박차를 가했다. 이 발사는 단 한 달 동안 여섯 번째로 진행된 위성 발사 임무로, 중국이 우주 기반 인터넷망 구축에서 세계적 경쟁자인 스페이스X 스타링크에 맞서 빠르게 추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의 국가 통신망인 궈왕(Guowang) 위성군은 2021년 설립된 국영기업 차이나 샛넷이 관리하며, 약 1만3000기의 저궤도 위성을 배치해 글로벌 인터넷 접속망을 구축하는 목표를 세웠다. 이는 현재 운영 중인 스타링크 위성 약 8100기와 직접 경쟁하는 규모다. Space.com, India Today, Bastillepost, TechNode등의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이 시스템에 대해 중국 매체들은 “국경을 초월하고 주권을 관통하며 전 세계를 무조건적으로 덮을 수 있는 국가 전략 자산”이라고 표현한다. 궈왕 위성군은 고도 500km 이하의 GW-A59 하위군 6080기와, 고도 1145km의 GW-A2 하위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