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글로벌 주식시장은 사상 유례없는 집중화와 인공지능(AI) 관련 투자 열풍 속에 요동치고 있다. 실제로 S&P 500의 올해 상승분 60%는 단 4곳의 AI 중심 거대기업—엔비디아(Nvidia), 메타 플랫폼스(Meta Platforms),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브로드컴(Broadcom)—이 견인했다. DataTrek Research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S&P 500의 연초 대비 10% 상승률 중 6%포인트를 책임졌고, 엔비디아 단독으로 전체 상승폭의 26%를 차지했다. Fortune, Morningstar/MarketWatch, 247WallSt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러한 초점은 주식시장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Pantheon Macroeconomics는 AI 지출이 2025년 상반기 미국 GDP 성장률에 0.5%포인트를 직접적으로 추가했다고 평가했다. AI 관련 투자가 없었다면 상반기 경제성장률은 연율 0.6%에 불과했을 것이지만, 실제로는 1.1%의 성장을 기록했다는 분석이다. Renaissance Macro Research의 Neil Dutta 애널리스트도 “최근 분기에는 AI 자본지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어느 회사에나 꼭 있다는 ‘오피스 빌런’ 중 직장인들이 가장 싫어하는 유형은 ‘갑질 및 막말’형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10명 7명은 ‘나는 오피스 빌런 아니다’라고 말해 정작 자신이 어떤 스타일인지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직장인 651명을 대상으로 ‘귀사에는 오피스 빌런이 있습니까?’라는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귀하의 직장에는 오피스 빌런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80.6%가 ▲‘있다’고 답했다. 앞선 질문을 기업 규모별로 교차 분석했다. ‘오피스 빌런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에 ▲대기업 재직자들이 87.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순서대로 ▲중견기업(81.6%), ▲중소기업(80.0%), ▲공기업 및 공공기관(77.8%) 순으로 나타났다. 오피스 빌런이 있다는 응답자들에게 귀사의 오피스 빌런이 어떤 직급에 속하는지를 물었다(복수 응답). 가장 많은 답변으로 ▲‘직속 및 타부서 상사’(50.3%)가 꼽혔다. 그 다음으로는 ▲동료 및 후배(39.4%), ▲임원진(27.2%), ▲대표 및 사장(19.8%) 순서대로 나타났다. 또 귀사의 오피스 빌런 중 가장 싫은 유형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NASA와 구글이 화성 및 심우주 장기 임무를 대비해 우주비행사의 건강을 자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의료 어시스턴트, '승무원 의무관 디지털 어시스턴트(CMO-DA)'를 공동 개발했다. TechCrunch, Ainvest, Meritalk, Stat News 등의 매체보도 종합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음성, 텍스트, 이미지 등 멀티모달 데이터를 처리하며, 구글 클라우드의 Vertex AI 플랫폼에서 구동된다. NASA가 소스 코드 소유권을 유지하며, AI 모델의 미세 조정에 직접 참여하는 이번 협력은 고정 가격의 구글 퍼블릭 섹터 구독 계약 하에 운영된다. 기존 국제우주정거장(ISS) 임무는 지구와 실시간 통신이 가능해 지상의 의료 지원과 의약품 배송, 긴급 대피가 가능했으나, 앞으로 달과 화성 등 더 먼 우주 탐사는 20분 이상 통신 지연과 통신 두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기존 의료 지원 체계가 통하지 않는다. 이에 NASA와 구글은 자율 의료 솔루션 개발이 필수적임을 인식, CMO-DA를 개발해 우주비행사들이 지구 지원 없이도 의료 증상 진단과 치료 권고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초기 임상 시뮬레이션에서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2025년 7월, 테슬라가 다시 한 번 국내 수입차 시장 1위에 오르며 BMW, 메르세데스-벤츠와 함께 수입차 ‘빅3’ 체제를 굳혔다. 테슬라 특유의 강력한 신형 모델 Y 돌풍과 전기차(EV) 붐에 힘입어, 전년 동월 대비 수입차 시장 자체도 23% 이상 성장한 것이 특징이다. 7월 수입차 2만7090대…테슬라 1위(7357대), BMW(6490대), 벤츠(4472대)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2025년 7월 국내에 신규 등록된 수입 승용차는 총 2만7,090대로 전년 동월(2만1,977대) 대비 23.3% 급증했다. 테슬라는 총 7,357대를 기록, 6월 대비 2달 만에 1위 자리를 탈환했다. 2위 BMW(6,490대), 3위 벤츠(4,472대)가 그 뒤를 이었다. 이로써 친환경차와 독일 프리미엄 브랜드가 중심이 된 빅3 체제가 견고해지는 양상이다. 모델 Y ‘베스트셀러’ 등극, 상위 10위 중 테슬라·BMW만 2종 포진 7월에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테슬라 모델 Y로 6,559대가 판매됐다. 이어 BMW 520이 1,292대, 테슬라 모델 3가 798대로 집계됐다. 상위 10위권 브랜드로는 렉서스(1,369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호주의 우주 개발사에 한 획을 긋는 동시에 쓰라린 교훈을 남긴 사건이 2025년 7월 30일(현지시간), 북퀸즐랜드의 보웬 궤도 우주항(Bowen Orbital Spaceport)에서 발생했다. 호주 퀸즐랜드 기반 우주 스타트업인 길모어 스페이스 테크놀로지스(Gilmour Space Technologies)가 자국 최초로 순수 국내 개발한 궤도 로켓 '에리스(Eris)'의 발사가 이륙 14초 만에 추락과 폭발로 마무리됐다고 Aviation Week, 7NEWS, Australian Government, Satnews 등의 매체들이 전했다. 이로써 호주는 50여 년 만에 처음 시도된 자국발 궤도 발사에서 동시에 이정표와 한계를 경험하게 됐다. 14초의 드라마, 그리고 엄격한 기술적 분석 발사 당일 오전 8시 34분(현지시각), 높이 23미터, 무게 30톤에 달하는 에리스 로켓은 최초 상업 우주항 시설을 떠올랐다. Space.gov.au, Gilmour Space Technologies 등의 호주 우주항공 관계기관들의 초기 데이터에 따르면 4기의 하이브리드 시리우스(Sirius) 엔진이 모두 정상 점화돼 23초간 엔진 연소가 이어졌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이 들어선 도시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지역내총생산(GRDP)이 5년 전과 비교해 크게 오르는 등 내수 경제를 탄탄히 다지며 인기 주거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실제 위축된 부동산 시장에도 동탄 등 대기업이 다수 입주한 기업도시는 아파트 매매가가 크게 뛰고 거래량이 급증하는 양상을 띠며 수요가 꾸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7월 1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를 보면, 경기도 화성시 오산동 일원에 위치한 ‘동탄역롯데캐슬(‘21년 6월 입주)’ 전용면적 84㎡는 지난 5월 15억7000만원에 거래됐다. 1월 매매가(14억7000만원) 대비 1억원이 오른 가격이다. 또한, 경기도 화성시 청계동 일원에 위치한 ‘더샵센트럴시티(‘15년 8월 입주)’ 동일 평형도 지난 6월 13억4000만원에 거래됐다. 앞서 5월 12억5000만원에 손바뀜한 후 불과 한 달 만에 9000만원이 오른 셈이다. 이 같은 가격 상승의 이유로는 기업도시의 자족성이 우선 꼽힌다. 동탄신도시는 삼성전자 화성캠퍼스를 비롯해 ASML 화성 뉴 캠퍼스, 한미약품 등 주요 기업들이 다수 위치해 있는 수요권 주요 기업도시다. 지역 내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중국이 자국 상업 우주 부문에서 획기적인 진전으로 평가받는 재사용 로켓 회수용 첫 드론 선박을 공식 발사하며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이 첨단 기술을 구현한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South China Morning Post, The News International, Marine Insight 등의 보도에 따르면, 베이징 기반의 민간 우주기업 아이스페이스(iSpace)가 개발한 ‘성제귀항’ 선박은 약 2400제곱미터에 달하는 회수 갑판을 갖추고, 해상에서 하강하는 로켓 부스터를 정확히 포획하기 위해 스페이스X의 자동 드론 선박 기술을 모방한 동적 위치 제어 시스템을 탑재했다. 중국 장쑤성 양저우에서 건조된 이 선박은 1만7000톤의 배수량, 길이 100m, 폭 42m 규모이며, 조수간만과 파도 등 해상 상태가 비교적 거친 조건에서도 선박이 제 위치를 유지하며 자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자체 무인 운행 모드는 회수 작업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이 드론 선박은 2025년 말 예정된 아이스페이스의 SQX-3 로켓 시험 발사를 시작으로 중국 내 다수의 민간 및 국영 우주기업들이 개발 중인 중형 및 대형 재사용 로켓들의 해상 회수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8월 6일(현지시간), 수단 공군이 서부 다르푸르주 니알라 국제공항에 착륙하던 아랍에미리트(UAE) 소속 항공기를 격추해 탑승하고 있던 콜롬비아 용병 40명이 전원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AFP, 알자지라 등 해외 주요 언론과 수단 정부 및 UAE 공식 발표 내용에 따르면, 이 공격은 수단 군부 주도 국영 방송과 군사 소식통을 통해 확인됐으며, 해당 항공기는 걸프 지역의 한 공군기지에서 출발해 반군 신속지원군(RSF)에 지원될 외국 용병과 군사 장비를 싣고 있었다고 전해졌다. 수단 군부는 이번 작전을 RSF를 지원하는 외국 세력과 군사 물자의 반입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라고 규정하며, UAE가 RSF에 병력과 무기를 지원한다는 주장을 지속해왔다. 그러나 UAE 정부는 이에 대해 “근거 없는 주장”이자 “완전한 거짓”이라며 강력히 부인하고, 수단 정부의 허위 정보 캠페인 일환이라고 반박했다. RSF 측은 이번 사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콜롬비아 정부는 이번 공격으로 희생된 자국민 규모를 파악 중이며, 대통령 구스타보 페트로는 희생자 시신 회수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수단 내전은 2023년 4월부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패스트푸드 업계의 상징인 맥도날드가 2027년까지 인공지능(AI) 역량 강화에 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를 예고하며, 인도를 데이터 거버넌스 및 엔지니어링 운영의 글로벌 핵심 허브로 삼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Channel News Asia, Times of India, Fidelity, DigitalDefynd 등의 매체들에 따르면, 2025년 8월 1일(현지시간) 인도 하이데라바드에서 열린 행사에서 맥도날드 글로벌 비즈니스 서비스 운영 책임자 데샨트 카일라(Deshant Kaila)는 "AI 투자 규모의 정확한 수치는 아직 초기 단계라 산정하기 어렵지만, 향후 2년간 투자를 두 배로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직원 수 확대보다는 기술 개발과 AI 관련 도구 인프라 구축에 방점이 찍혔다. 인도 현지화 AI 모델, 전 세계 패스트푸드의 미래 제시 현재 맥도날드는 인도 400개 매장에서 AI 기반 주문 검증 기술을 시범 도입 중이며, 2년 내 전 세계 4만3000개 매장으로 확산될 전망이다. 해당 AI 시스템은 고객에게 전달되기 전 주문 품목이 정확히 맞는지 컴퓨터 비전으로 점검해 오류를 최소화하고, 서비스 속도 및 고객 만족도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플로리다 연방 배심원단이 테슬라의 자율주행차 '오토파일럿' 시스템을 둘러싼 2019년 치명적 사고와 관련해, 테슬라에 3400억원의 배상을 명령했다. BBC, CNBC, CNN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미국 연방법원에서 반자동(부분 자율) 운전자 보조기술 관련해 테슬라가 배상 책임을 공식적으로 진 첫 사례로, 자율주행차 산업과 교통안전법, 테슬라의 미래까지 미칠 파장이 상당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외신들은 최초 배상액을 3억2900만 달러(약 4580억원)로 보도했다가, 원고 측 변호사의 설명을 인용해 테슬라가 배심원단이 판단한 손해 금액 1억2900만 달러 중 33%인 4300만 달러를 부담하고, 징벌적 배상금 2억 달러를 더해 총 2억4300만 달러(약 3376억원)를 지급해야 한다고 정정했다. 사고 경위 및 법원의 판단 2019년 4월 25일, 플로리다 키 라르고에서 조지 맥기가 운전하던 테슬라 모델S는 오토파일럿 모드로 주행 중 휴대폰을 줍기 위해 한눈을 판 사이 교차로를 시속 62마일(약 100km)로 진입해 정지 신호와 빨간 점멸등을 무시, 주차된 SUV(쉐보레 타호)를 들이받았다. 이 사고로 당시 22세였던 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