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호텔신라가 인천공항 DF1 구역 면세점 사업권을 반납하기로 결정했다. 임대료 조정 협상이 결렬되고 영업 손실이 과도하게 커질 것으로 판단하면서다. 18일 호텔신라는 이사회를 열고 신라면세점의 인천공항 면세점 DF1권역 사업권 반납을 최종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회사 측은 "2023년 계약 이후 주 고객군의 소비 패턴 변화와 구매력 감소 등 시장 환경이 급격히 변했다"며 "이에 따라 인천공항공사에 임대료 조정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앞서 인천지방법원은 지난 5일 신라면세점의 DF1 구역 임대료를 25% 인하(객당 8987원에서 6717원으로)하라는 강제조정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인천공항공사는 16일 법원에 이의신청서를 제출하며 조정안을 거부했다. 이에 따라 강제조정은 효력을 잃었고, 신라면세점은 소송과 철수 중 철수를 택했다. 본안소송까지 갈 경우 수십억원의 인지세를 선납하고 3-5년간 소송을 이어가야 하는 데다, 해당 기간에도 매월 수십억원의 적자와 임대료를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신라면세점은 인천공항공사에 납부했던 약 1900억원 규모의 임대보증금을 위약금으로 전환하고 계약 해지를 추진한다. 2026년 3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양자 컴퓨팅 선두기업 아이온큐(IonQ)가 2025년 10월 7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소재 양자 센싱 전문기업 벡터 아토믹(Vector Atomic)의 인수를 공식 완료하며 업계에서 가장 포괄적인 양자 기술 플랫폼으로 도약했다. 이번 인수는 전액 주식 거래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벡터 아토믹의 첨단 원자시계, 관성 센서, 동기화 하드웨어가 아이온큐의 기존 양자 컴퓨팅 및 네트워킹 역량에 통합됐다. investors.ionq, Quantum Computing Report, finance.yahoo, MarketChameleon.com, GovCon Wire, MarketBeat에 따르면, 벡터 아토믹은 75명 이상의 세계적 수준의 과학자와 엔지니어를 보유하고 있으며, 우주선, 잠수함, 항공기 등 극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초정밀 양자 위치 측정, 내비게이션, 타이밍(PNT; Position, Navigation, Timing) 시스템 전문 기업이다. 이 회사의 센싱 기술은 피코초 단위의 정밀 타이밍을 구현해 기존 GPS 정확도를 1000배 수준으로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이번 인수로 아이온큐는 미국 국방부의 X-37B 우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시의 25개 자치구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구는 송파구로 조사됐다.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및 각종 통계자료를 기초로 2025년 7월 기준, 서울특별시의 25개 자치구 인구 순위를 집계해 본 결과, 송파구는 약 64만8000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강남구로 55만7000명, 3위는 강서구로 55만4000명으로 나타나 ‘3강 구도’가 굳건한 모습을 보였다. 4, 5위는 강동구(49만5000명), 노원구(49만명)가 뒤를 잇고, 6~10위는 관악구(47만9000명), 은평구(46만명), 성북구(42만9000명), 서초구(42만명), 양천구(40만8000명)가 차지해 거주 인구 40만명대를 기록했다. 서울 동남권과 강남권을 중심으로 인구 밀집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1~13위는 구로구, 중랑구, 동작구로 조사됐다. 14~20위는 영등포구, 마포구, 동대문구, 광진구, 도봉구, 서대문구, 강북구 순이었다. 21위는 성동구, 22위는 금천구로 파악됐다. 인구수 하위권에는 25위 중구(12만명), 24위 종로구(13만8000명), 23위 용산구(20만3000명) 등 도심 지역이 차지했다. 특히 사무·상업시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고배당기업에 대한 배당소득세 감면 혜택 등이 포함된 정부의 ‘2025년 세제개편안(이하 세제개편안)’에 따라 오너일가의 배당소득세 부담이 12% 정도 줄어들 전망이다. 고배당기업이란 전년 대비 현금배당이 감소하지 않은 상장법인으로, 배당성향 40% 이상 또는 배당성향 25% 이상 및 직전 3년 대비 5% 이상 배당이 증가한 기업을 말한다. 고배당기업으로부터 받은 배당소득은 종합소득 과세(15.4%~49.5%) 대상에서 제외되며, 2000만원 이하의 배당소득에는 15.4%, 3억원 이하는 22.0%, 3억원 초과는 38.5%의 세율(지방세 10% 포함)로 분리과세 된다. 1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2025년 공시대상기업집단 계열사 중 상장사의 2024년 배당 및 고배당기업과 오너일가의 절세효과를 분석한 결과, 대기업집단 80곳의 상장사 371곳 중 고배당기업 조건을 충족하는 기업은 87곳(23.5%)으로 집계됐다. 대기업집단 중 고배당기업 상장사를 가장 많이 보유한 곳은 삼성이었다. 총 17개 상장 계열사 중 고배당기업에 해당하는 기업이 8곳으로 집계됐다. 반면에 10대그룹 중에서는 유일하게 한화가 12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세계 인공지능(AI) 산업의 중심에 선 오픈AI(OpenAI)가 최근 5000억 달러(약 700조원) 평가를 받으며 글로벌 비상장 기업 중 최대 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폭등한 밸류에이션을 두고 월가에서는 ‘AI 거품론’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오픈AI 기업가치, 1년 새 3배 급등…직원 지분매각 통해 실질 검증 블룸버그(Bloomberg), 로이터(Reuters), CNBC, 월스트리트저널(WSJ), Investing.com, Sacra, VisualCapitalis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오픈AI는 최근 진행한 현·전직 직원 지분 매각으로 기업가치가 5000억 달러(약 700조원)까지 상승했다. 이번 매각에서 투자사들은 Thrive Capital, 소프트뱅크(SoftBank), 아부다비의 MGX, T. Rowe Price 등이 포함됐고, 전체 매각 규모는 약 66억 달러에 달했다. 작년 10월 1570억 달러, 올해 3월 3000억 달러였던 가치가 1년 만에 3배 넘게 폭등한 셈이다. 이번 거래는 신규 투자 유치가 아닌, 직원 보유지분의 유동화(secondary 거래) 성격이었다는 점에서 “내부 신뢰 신호”와 함께, 여전히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롯데카드가 2025년 8월 발생한 대규모 해킹 사태로 인해 전체 회원 960만명 중 약 3분의 1에 달하는 297만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가운데 약 28만명은 카드번호, 유효기간, CVC 번호까지 해킹당해 부정 결제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는 9월 18일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고, 문제의 심각성을 인정하며 “본인을 포함한 임원진 사임을 포함한 인적 쇄신을 연말까지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해킹 경위와 피해 규모 해킹은 지난 8월 14일 온라인 결제 서버(WAS 서버)를 통해 발생했으며, 원래 알려진 유출 데이터 용량은 1.7GB였으나 금융감독원과 보안당국의 조사 결과 약 200GB 분량의 데이터가 유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주민등록번호, 카드번호, 유효기간, 카드 뒷면 3자리 카드보안코드(CVC), 내부식별번호, 가상 결제코드, 간편결제 서비스 연계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7월 22일부터 8월 27일 사이에 신규 등록된 결제 정보가 대거 유출된 점이 부정결제 위험을 높이고 있다. 부정 사용 가능성과 대응책 롯데카드 측은 부정 결제 가능성은 있으나 현재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9월 12일 밤 중국 산둥성 웨이팡과 르자오 인근에서는 하늘을 가로지르는 밝은 빛과 두 차례의 ‘쾅’ 소리, 격렬한 섬광이 목격됐다. 이번 산둥성 UFO·불덩이 논란은 영상이 1억뷰를 넘으며 세계적으로 화제가 됐다. 이 현장은 수많은 현지 주민의 영상과 SNS로 공유됐으며, 무언가에 부딪혀 폭발하는 모습이 CCTV 및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되었다. 중화망·웨이보 영상, Newsweek, NDTV, The Economic Times등의 매체들은 "UFO가 미사일에 요격됐다"는 주장과 함께 정체를 둘러싼 논란을 확대했다. 목격자들은 "밤하늘을 가로지르는 밝은 물체와 그 직후의 큰 폭발음, 그리고 창문이 흔들릴 정도의 충격파를 경험했다"고 증언했다. 영상 속에서는 곡선 형태로 하강하는 물체와 그 방향을 따라 날아온 또 다른 광원이 교차하면서 일순간 대낮 같은 섬광이 일어나고 두 번의 뚜렷한 폭발음이 포착됐다. 네티즌과 UFO 연구자들은 “미사일 요격 실험에 가까운 패턴”이라며, 방어 시스템 혹은 행성 방어 실험 가능성을 제기했다. 중국 웨이팡시 비상관리국은 “해당일 항공기 요격 또는 격추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애플은 2025년 9월 20일(현지시각) 차세대 운영체제 iOS 26과 macOS 타호를 동시 출시하며, ‘리퀴드 글라스(Liquid Glass)’라는 야심 찬 디자인 전면 도입으로 기술업계와 이용자 사이에서 뜨거운 논쟁에 불을 지폈다. The Verge, Gadget Hacks, Letsdev, RS Web Solutions, developer.apple, MacRumors에 따르면, 애플은 이를 “유리의 광학적 특성과 오직 애플만이 구현할 수 있는 유동성의 결합”이라 홍보하지만, 실제 현장 반응은 극도로 양분되고 있다. 혁신과 혼란의 상반된 시선…“가장 매혹적, 동시에 불편” iOS 26과 macOS 타호의 핵심은 단연 리퀴드 글라스 UI다. 해당 디자인은 인터페이스 전반에 실시간 블러(blur)·굴절효과와 색상 동기화를 적용해, 화면 움직임과 터치에 따라 메뉴와 버튼이 유동적으로 변화한다. 12년 전 iOS7이 스큐어모피즘을 버린 이래 최대 혁신임을 자처한다. 특히 애플은 2개월 넘는 베타 테스팅 기간 동안 투명도와 콘트라스트 등을 반복적으로 조정하며 완성도를 높였다고 설명한다. 스큐어모피즘(Skeuomorphism)은 디자인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본 홋카이도에 거주하는 80대 여성이 SNS에서 만난 가짜 ‘우주인’에게 속아 100만엔(약 941만원)을 송금한 사건이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퓨쳐리즘 등의 외신 보도와 미국 FTC 2023년 로맨스 스캠 피해 보고서, 2025년 AI 딥페이크 및 사이버 사기 통계에 따르면, 이 ‘우주인’은 우주선에서 지구로 귀환 도중 산소 부족 상황이라며 돈을 요구했고, 여성은 연인 관계로 발전한 사이에 안타깝게도 속은 것으로 밝혀졌다. 사건이 경찰에 신고되면서 사회적 경각심이 확산되고 있다. 일본은 세계은행 기준으로 고령화율 2위 국가로 노인층이 조직적인 사기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과 SNS를 기반으로 하는 ‘로맨스 스캠’이 진화해 AI 기술을 활용한 딥페이크 얼굴과 음성 모방, AI 챗봇을 통한 자연스러운 대화까지 가능해져 피해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다. 실제로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에 따르면 2023년 미국 내 로맨스 스캠 피해액은 약 11억4000만 달러(약 1조5800억원)에 이르며, 1인당 평균 손실액은 2000달러(약 277만원)를 넘어 모든 사기 유형 중 가장 피해액이 크다. 이는 전년 대비 피해 규모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9월 23일(현지시간),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부친인 에롤 머스크(79세)가 1993년 이후 자신의 친자녀와 의붓자녀 5명을 상대로 성폭력과 학대를 저질렀다는 의혹을 보도했다. 이 가족 내 불미스러운 사건들은 30년 이상 이어져 왔으며, 피해자 가족들은 여러 차례 일론 머스크에게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The New York Times, NDTV, The Independent, People, The Times Of India에 따르면, 첫 번째 성폭력 의혹은 1993년 당시 4세였던 에롤 머스크의 의붓딸이 친척에게 “아버지가 집에서 나를 만졌다”고 고백하면서 불거졌다. 이후 해당 여성은 20대가 된 후 에롤과 사이에서 아이를 낳았다고 밝혔고, 10년 뒤에는 아버지가 자신의 더러운 속옷을 냄새 맡는 행위까지 목격했다고 증언했다. 그 외에도 에롤 머스크는 두 딸과 의붓아들 1명을 성적으로 학대했다는 추가 고발도 있었다. 2023년에는 당시 5세였던 아들이 아버지가 자신의 엉덩이를 만졌다고 알려 가족과 사회복지사가 개입을 시도하는 상황도 있었다. 뉴욕타임스 조사에 따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