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JP모건 체이스는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Money 20/20 컨퍼런스에서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분야를 선도하는 ‘거물급’ 기술 기업 중 하나로 리플(Ripple)을 공식 인정하며, 디지털 금융 시대의 중추적 역할을 강조했다. disruptafrica.com, timestabloid.com, williamfry.com에 따르면, 이번 발표는 Juniper Research가 15개 글로벌 CBDC 플랫폼 중 리플의 XRP 기반 솔루션을 1위로 평가한 데 이어 나온 것으로, 리플이 전세계 금융 인프라 혁신의 중심에 있음을 입증한다. 리플의 CBDC 플랫폼은 XRP Ledger를 바탕으로 개발돼 중앙은행이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고 관리하며 안전하고 즉각적인 결제를 가능케 하며, 이미 부탄, 콜롬비아, 조지아 등 여러 국가의 CBDC 파일럿 프로그램에 활용되고 있다. 중국, 인도, 러시아와 같은 대형 경제권도 CBDC 고도화 단계에 접어들며 리플 기술에 대한 국제적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JP모건은 이번 컨퍼런스 자료에서 리플을 블록체인 기반 국경 간 결제 및 CBDC 영역을 혁신하는 핵심 기업으로 소개했다. 한편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2025년 11월 6일(현지 시간) 열린 연례 주주총회에서 차세대 테슬라 로드스터 공개를 2026년 4월 1일로 공식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생산 개시는 공개일로부터 12~18개월 이후, 즉 2027년 중반에서 후반 사이에 시작될 전망이다. 최초 공개가 2017년이었음을 고려하면 약 10년 만에 모습을 드러내게 되는 셈이다. 머스크는 만우절을 공개 시점으로 잡은 이유에 대해 “일정이 다시 늦어진다면 농담이었다고 말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일정 지연 가능성을 솔직히 인정했다. TechCrunch, Electrek, Drive Tesla Canada, Benzinga, The Verge에 따르면, 로드스터의 생산 지연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2017년 첫 발표 당시에는 2020년 생산을 목표로 했으나 이후 수차례 일정이 밀리며 현재는 2027년 또는 2028년까지 미뤄진 상황이다. 머스크는 "양산 모델은 이전 공개된 시제품과는 매우 다를 것이며, 스페이스X가 개발한 냉가스 추진기를 포함해 공중 부양 또는 비행 기능도 고려되고 있다"고 밝혀 기존 예상에서 한걸음 더 진화된 모델이 될 것을 암시했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사상 최대 규모의 보상안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다. 2025년 11월 6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 본사에서 열린 연례 주주총회에서, 시가총액 8조5000억 달러 등 초고난도 경영목표 달성 시 머스크에게 1조 달러, 한화로 약 1400조원 상당의 스톡옵션을 지급하는 안이 주주 과반의 압도적 찬성으로 가결됐다. 75% 압도적 찬성…노르웨이국부펀드 등 반대 의견 묵살 테슬라 이사회가 상정한 이번 보상안은 주주 약 75%의 찬성을 얻었다. 머스크 본인도 약 13~15%의 보유 지분을 바탕으로 투표에 참여했다. 노르웨이 국부펀드와 일부 글로벌 연기금, 대형 자문사 등이 ‘과도한 특혜’라며 반대 의견을 제시했지만, 개인 투자자와 대다수 전략적 주주들의 지지가 결과를 뒤집었다. 12단계 목표 고리…“세계 기업 역사상 최강의 인센티브” 보상안은 머스크가 테슬라 경영 목표를 단계별로 차례차례 달성할 때마다, 2035년까지 12단계에 걸쳐 총 4억2300만주(보통주 12% 상당) 스톡옵션을 순차 지급받는 구조다. 경영목표에는 ①시가총액 2조~8조5000억 달러 돌파, ②매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발표된 2025년 란셋 카운트다운 보고서는 극심한 폭염으로 매분 한 명씩 사망하는 충격적인 현실을 경고하며, 기후변화가 인류 건강과 경제 시스템에 미치는 파괴적 영향을 상세히 밝혔다. Business Standard, Le Monde, Deutsche Welle, ClimaHealth, Green Queen, in-cyprus.philenews 보도와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와 협력한 128명의 국제 전문가들이 집필한 이 보고서에 따르면, 열 관련 사망자는 연간 약 54만6000명으로 1990년대 대비 63% 증가했다. 2024년 한 해 동안 전 세계 평균 16일의 초과 폭염일수가 관측됐고, 특히 영아와 65세 이상 고령층은 각각 20일 이상의 위험 폭염을 경험했다. 산불 연기로 인한 사망자도 15만4000명에 달해 전년 대비 36% 증가한 기록적 수치다. 경제적 손실도 막대하다. 폭염으로 인한 근로 시간 손실은 약 6400억 시간에 이르며, 이는 글로벌 GDP의 거의 1%에 해당하는 1조900억 달러의 손실로 평가된다. 고령층 폭염 관련 사망 비용만 2610억 달러에 이르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의 절대강자 엔비디아가 2025년 3분기(2026 회계연도 3분기) 실적과 4분기 매출 전망을 발표하며 시장의 기대를 모두 뛰어넘는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시간외 거래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4% 가까이 급등하며, AI 버블 논란을 잠재우는 계기가 됐다. 3분기 실적: 월가 예상치 대폭 상회 엔비디아의 3분기 매출은 570억1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했다. 이는 LSEG 등 주요 금융정보기관이 집계한 월가 예상치(549억2000만 달러)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순이익은 319억1000만 달러로, 시장 컨센서스(300억 달러)와 전년 동기(193억 달러) 모두를 상회했다.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1.30달러로, 월가 예상치(1.25달러)를 넘겼다. 분기 총마진율은 73.4%를 기록했으며, 4분기에는 75% 수준까지 개선될 것으로 회사 측은 밝혔다. 데이터센터·AI 가속기 수요 견인 핵심 성장엔진인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512억 달러로, 시장 예상치(490억9000만 달러)를 뛰어넘고 전년 동기 대비 66% 급증했다. 이 중 GPU 매출이 430억 달러, 네트워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슬라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게 최대 1조 달러 규모의 주식 보상안을 두고 곧 열릴 주주총회를 앞둔 가운데, 부정적인 소식들이 이어지면서 주가가 급락했다. 11월 4일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는 전일 대비 5.15% 하락한 444.26달러에 마감하며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가 반영됐다. 로이터, 뉴욕타임스, 포브스, CNB, Electrek에 따르면, 이날 주가 하락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머스크 보상안에 반대 의사를 공식화한 영향이 컸다. 노르웨이 국부펀드는 테슬라 지분 약 1.14%를 보유한 10대 주주 중 한 곳으로, 이번 주총에서 머스크 CEO 보상안에 반대표를 던질 예정이다. 펀드 측은 머스크의 혁신성과 가치 창출을 인정하면서도, 지나치게 큰 보상 규모와 경영진에 대한 집중 위험(key person risk)에 우려를 나타냈다. 이번 보상안은 머스크가 미리 설정한 12단계 경영 목표를 달성할 경우, 2035년까지 총 4억2000만주의 테슬라 보통주를 지급받는 내용이다. 이로 인해 그의 지분율은 현재 약 13%에서 25% 이상으로 확대될 수 있다. 주요 목표로는 테슬라 시가총액 8조 5000억 달러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이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혁신을 통해 단순하고 반복적인 창고 업무를 대폭 줄이고, 향후 10년 내 미국 내 60만명 이상의 근로자 신규 채용 필요성을 없앨 계획을 공식화했다. The New York Times, Fox Business, CNBC, Amazon 공식 발표, Fortune, India Today에 따르면, 아마존 로보틱스 책임자 타이 브래디(Tye Brady)는 지난 11월 리스본에서 열린 웹 서밋 2025 현장에서 “모든 허드렛일, 단순 작업, 반복적인 직무를 없애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며 회사 내부 운영 과정에서 AI와 로봇 기술로 이들 직무를 자동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번 전략은 2027년 중반 개장 예정인 플로리다주 포트마이어스의 65만 평방피트 규모 로봇 물류센터 확장 사업에도 반영됐다. 이 시설은 아마존이 도입하는 최신 로봇 기술과 AI를 활용해 피킹, 포장, 배송 작업의 자동화를 가속할 예정이다. 이는 리 카운티 내 아마존의 세 번째 물류센터이자 처음 선보이는 로봇 물류센터다. 아마존 내부 전략 문서에 따르면 회사는 조만간 전체 작업의 75%를 자동화할 것으로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글로벌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가 미국 시장에서 최대 60% 가격 인하를 단행하며 비만 치료제 시장 점유율 회복에 나섰다. CNN, 월스트리트저널, CNBC에 따르면, 노보 노디스크는 2025년 11월 17일, 현금 자가 부담 환자 대상 블록버스터 당뇨병 및 비만 치료제인 Wegovy(웨고비)와 Ozempic(오젬픽)의 최저 용량 제품 가격을 월 $199로 대폭 낮췄다고 발표했다. 이는 원래 월 $499였던 표준 가격을 30% 인하한 $349 수준으로 지속 적용되며, 도입 초기 두 달간 기간 한정으로 더 큰 폭의 할인이 제공된다. 이 가격 정책은 7만 개 이상의 소매 약국과 Costco, GoodRx, WeightWatchers, 일부 원격 의료 플랫폼을 통해 적용된다. 이번 가격 인하는 노보 노디스크가 미국 내 시장 1위 자리를 경쟁사 일라이 릴리(Eli Lilly)에 내준 상황에서 나왔다. 2025년 9월 기준, IQVIA 조사에 따르면, Eli Lilly의 Zepbound(제프바운드)는 미국 전체 GLP-1 처방의 58%를 차지하며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노보 노디스크는 42%에 머물고 있다. Zepb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베이징인공지능연구원(BAAI, Beijing Academy of Artificial Intelligence)이 개발한 35킬로그램 무게의 Unitree G1 휴머노이드 로봇이 자기 몸무게의 40배에 달하는 1400킬로그램(약 3086파운드) 자동차를 견인하는 데 성공했다. 132cm의 키를 가진 이 로봇은 지난 10월 28일 소셜 미디어에 시연 영상이 공개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Digital Trends , Interesting Engineering, CCTV Finance 보고서, BAAI 공식 트위터 계정, South China Morning Post에 따르면, 이번 성과의 핵심은 로봇의 단순 근력보다 고도화된 ‘균형 제어 알고리즘’에 있다. 평평하고 마찰이 거의 없는 표면에서 자동차를 끌었음에도, 로봇은 급격히 뒤로 기울이는 동시에 미끄러운 바닥 위에서 발과 다리를 빠르게 움직여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견인을 수행했다. 즉, 1400kg이라는 무게보다도 이를 견디며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동적 평형 제어’ 기술이 기술적 돌파구로 평가된다. BAAI는 시연 하루 전 ‘THOR 시스템(Towards Human-lev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스페이스X가 2025년에만 총 146회의 우주 발사를 기록하며 또 한 차례 연간 발사 횟수 신기록을 세웠다. 이 중 141회는 Falcon 9 로켓을 활용한 발사였으며, 최근 24시간 이내 두 차례의 스타링크 위성 발사를 통해 57개의 위성을 추가로 저궤도에 배치했다. Space.com, Spaceflight Now, Moneycontrol, SpaceExplored에 따르면, 지난 11월 5일 플로리다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된 Falcon 9 로켓은 29개의 Starlink V2 Mini 위성을 성공적으로 궤도에 올렸다. 이어 11월 6일 캘리포니아 밴든버그 우주군 기지에서는 또 다른 Falcon 9이 28개의 위성을 투입하며, 이틀 연속 두 건의 발사가 24시간 내에 완료됐다. 스타링크 네트워크는 현재 8800개 이상의 활성 위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활성 위성의 약 65%에 달하는 규모다. 2025년에만 2600개 이상의 위성이 추가되는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전 세계 500만명 이상의 가입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스타링크 임무는 2025년 스페이스X 발사 활동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