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AI 브라우저는 인터넷의 새로운 관문이자, 구글 왕국을 위협하는 혁신의 서막이다.”
2025년 7월, AI 기반 웹 브라우저 ‘코멧(Comet)’의 등장은 인터넷 사용 패러다임의 대변혁을 예고한다.
퍼플렉시티 AI가 선보인 코멧은 단순한 검색을 넘어, 사용자의 질문에 실시간으로 답변하고, 콘텐츠 요약·분석, 일정 관리, 심지어 미팅 예약이나 구매 대행까지 수행하는 AI 어시스턴트를 핵심에 통합했다. 이 브라우저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과 완벽히 호환되며, 북마크·설정도 원클릭으로 이전 가능하다.
기본 광고 차단 기능과, 로컬·클라우드 하이브리드 AI 아키텍처를 통한 프라이버시 보호도 차별점이다.
시장 현황: 크롬의 압도적 점유율, 그러나 AI 혁신에 ‘균열’
2025년 3월 기준, 구글 크롬은 전 세계 브라우저 시장에서 64.86%의 점유율(3.45억명 사용자)로 독보적 1위를 지키고 있다. 사파리(18.59%), 엣지(5.4%), 파이어폭스(2.9%) 등은 한참 뒤처진 상황이다. 하지만 최근 5년간 성장세는 둔화됐고, AI 기반 브라우저의 부상과 프라이버시 이슈, 지역별 경쟁 심화 등으로 ‘철옹성’에 균열이 감지된다.
퍼플렉시티·오픈AI, AI 브라우저로 ‘질문 중심’ 인터넷 시대 견인
퍼플렉시티는 2025년 5월 한 달간 7억8000만건의 쿼리를 처리하며 월 20% 이상 성장세를 기록했다. CEO 아라빈드 스리니바스는 “1년 내 주당 10억 쿼리”를 목표로 내세웠다. 퍼플렉시티 AI의 활성 사용자는 1500만명으로, 2024년 대비 50% 이상 증가했다. 하루 방문자는 200만명, 월간 웹사이트 트래픽은 5000만건을 상회한다.
오픈AI 역시 수주 내 자체 AI 브라우저 출시를 예고했다. 오픈AI 브라우저는 챗GPT 스타일의 대화형 인터페이스와 ‘Operator’ AI 에이전트가 내장될 전망이며, 예약·양식 작성 등도 AI가 직접 처리한다. 크롬 개발 핵심 인력을 영입하고, 크롬의 오픈소스 엔진(크로미움) 기반으로 개발 중이다.

AI 브라우저의 경제적·전략적 파장: 구글 매출 구조 ‘직격탄’ 우려
구글의 연간 광고 매출은 약 2500억 달러로, 이 중 75%가 크롬을 통한 데이터 수집과 검색 광고에서 나온다. AI 브라우저가 사용자의 질문·작업을 자체적으로 처리하면, 구글이 수집할 수 있는 데이터와 검색 광고 노출 기회가 줄어든다.
실제로 크롬 점유율은 2020년 69%에서 2025년 65%로 하락했다. AI 브라우저가 본격적으로 확산될 경우, 구글의 광고 매출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
AI 브라우저는 기존의 키워드 검색 기반 광고가 아닌, AI가 추천하는 ‘대화형 광고’나 ‘스폰서드 응답’ 등 새로운 광고 모델로의 전환을 촉진할 전망이다. 이는 광고주, 콘텐츠 플랫폼, 미디어 산업 전체에 파괴적 변화를 예고한다.
글로벌 IT 공룡들의 ‘브라우저 전쟁’…구글, 혁신 없인 생존 어렵다
퍼플렉시티는 모토로라·삼성 등과의 파트너십, 해외 통신사와의 협력, 심지어 구글이 크롬 매각을 강제당할 경우 인수 의향까지 내비치며 공격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오픈AI 역시 5억 달러 투자 유치, 140억 달러 기업가치 등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브라우저 시장 진입을 준비 중이다.
이제 브라우저 시장은 단순한 ‘탐색 도구’가 아닌, AI가 사용자의 일상과 업무 전반을 지원하는 ‘인지적 운영체제’로 진화하고 있다. 구글이 AI 혁신에 뒤처진다면, “검색의 제국”은 AI 네이티브 브라우저 혁명 앞에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