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1 (금)

  • 구름많음동두천 9.8℃
  • 맑음강릉 12.7℃
  • 구름많음서울 11.4℃
  • 맑음대전 12.1℃
  • 맑음대구 12.9℃
  • 맑음울산 12.8℃
  • 맑음광주 12.0℃
  • 맑음부산 13.9℃
  • 맑음고창 11.5℃
  • 맑음제주 15.0℃
  • 흐림강화 10.2℃
  • 맑음보은 11.0℃
  • 맑음금산 11.1℃
  • 맑음강진군 12.6℃
  • 맑음경주시 12.5℃
  • 맑음거제 11.4℃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베이조스·올트먼發 ‘빅테크 항노화' 패권경쟁…세포리프로그래밍·세놀리틱스·AI신약·에피제네틱스·바이오마커 '후끈'

세포 리프로그래밍·AI 신약개발…항노화 패권경쟁, 실리콘밸리에서 불붙다”
2031년 24.7억달러 시장 열린다…노화 정복의 시대 여는 빅테크 혁신
노화, 정복의 시대…빅테크와 정부, ‘회춘 신약’ 글로벌 각축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고령화와 건강수명 연장이 전 세계적 화두로 부상하면서, 빅테크와 실리콘밸리 자본이 항노화(anti-aging)·장수(longevity) 산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이 시장은 단순한 미용·화장품을 넘어, 세포·유전자·AI 기반의 근본적 노화 역전 기술 개발로 패러다임이 이동 중이다.
 

제프 베이조스(아마존 창업자), 샘 올트먼(오픈AI CEO) 등 빅테크와 글로벌 투자자들이 수조 원대 투자를 단행하고, 미국·영국·중국 등 주요국 정부도 대규모 연구비를 투입하면서 항노화 시장은 기술·자본·규제 삼박자가 맞물린 ‘초격차’ 신산업으로 급부상 중이다.

 

 

베이조스·올트먼의 ‘노화 정복’ 베팅…빅테크 “노화는 숙명 아닌, 정복의 대상”


제프 베이조스는 2021년 설립된 항노화 스타트업 ‘알토스 랩스(Altos Labs)’에 총 30억 달러(약 4조원)를 투자하며 항노화 바이오 혁신에 불을 지폈다.

 

알토스 랩스는 야마나카 인자(Yamanaka factors)를 활용한 세포 리프로그래밍(젊은 상태로 되돌리는 기술)에 집중하며, 2025년 기준 신경퇴행성·면역계 노화 질환을 겨냥한 임상시험에 돌입했다. 노벨상 수상자 야마나카 신야, ‘생물학적 시계’ 개발자 스티브 호바스 등 세계적 석학들이 대거 합류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샘 올트먼(오픈AI)은 건강수명 10년 연장을 목표로 ‘레트로 바이오사이언스(Retro Biosciences)’에 1억8000만 달러(약 2500억원)를 투자했다. 이 회사는 혈장 교환, 노화세포 제거, 세포 리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기전으로 건강수명을 10년 연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올트먼은 “자신의 전 재산을 항노화와 핵융합에 걸겠다”고 밝힐 정도로 장수 연구에 깊이 몰입해 있다.

 

브라이언 존슨 등 실리콘밸리 억만장자들도 유니티 바이오테크놀로지(Unity Biotechnology), 인실리코 메디슨(Insilico Medicine), 바이오에이지 랩스(BioAge Labs), 턴 바이오테크놀로지(Turn Biotechnologies), 루베도 라이프사이언스(Rubedo Life Sciences), 라이프 바이오사이언스(Life Biosciences), 젠플로우 바이오사이언스(Genflow Biosciences), 뉴리밋(NewLimit) 등 항노화·장수 스타트업에 대규모 자금을 집행 중이다.

 

2023~2025년 사이 벤처캐피탈의 항노화 바이오 투자액은 80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들은 연간 수십억원을 노화 역전 실험에 투입하며, “선견지명 있는 투자”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현재 IPO(기업공개), 빅파마와의 전략적 제휴, M&A가 활발하다.

 

 

글로벌 항노화 시장 “2031년 24.7억 달러, 연평균 17.5% 성장”


시장조사기관 인사이트에이스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글로벌 항노화 치료제 시장은 2023년 6억8000만 달러에서 2031년 24억7000만 달러로 연평균 17.5% 성장할 전망이다. 아시아-태평양(17.8%), 유럽(16.6%), 북미(16.4%) 등 주요 대륙 모두 고성장세가 예상된다.

 

2025년 기준 글로벌 항노화·장수 바이오 시장은 6000억 달러로 추산된다. 항노화 화장품·의료기기 등 전체 시장은 2024년 757억 달러, 2033년 1229억 달러(연평균 5.5% 성장), 2035년 1689억 달러(연평균 7% 성장)로 전망된다.


미국은 국립노화연구소(NIA), 국립보건연구원(NIH) 등 공공연구기관이 수천억원대 연구비를 투입하고, 영국·중국도 각각 5000만 파운드(약 921억원), 2억5816만 위안(약 475억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가동 중이다.

 

미국이 항노화 시장의 전체 투자·기업 수의 57%, 거래량의 84%를 차지하며 독보적 1위를 달리고 있다.

 

 

항노화 바이오의 기술 트렌드


세포 리프로그래밍 분야는 알토스 랩스, 라이프 바이오사이언스(Life Biosciences), 턴 바이오 등이 주도하고 있다. 야마나카 인자를 활용해 노화된 세포를 젊은 상태로 되돌리는 기술로, 신경계·면역계·피부 등 다양한 조직에 적용 중이다.

 

노화세포 제거(세놀리틱스) 분야는 유니티 바이오테크놀로지, 루베도 라이프사이언스(Rubedo Life Sciences) 등이 연구중이다. 노화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해 염증, 조직 손상, 암 등 노화 관련 질환을 예방·치료하는 신약을 개발 중이다.

 

AI 기반 신약개발 분야는 인실리코 메디슨, 바이오에이지 랩스 등이 연구하고 있다.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로 노화 관련 바이오마커,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한다. 2025년 기준 인실리코는 1억10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E 투자를 유치하며, AI 신약개발의 대표주자로 부상했다.

 

유전자 치료·에피제네틱스 분야는 젠플로우 바이오사이언스(Genflow Biosciences), 뉴리밋(NewLimit) 등이 연구중이다. 이들 기업들은 SIRT6 등 장수 유전자 변이, mRNA 기반 에피제네틱 리프로그래밍 등 차세대 유전자 치료법을 연구한다.

 

바이오마커 기반 맞춤의학 분야는 펑션 헬스(Function Health), 오우라(ŌURA) 등은 웨어러블·디지털 헬스 기기로 건강상태와 노화 진행도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맞춤형 예방·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

 

 

국내외 기술·산업 동향 “오리지널 기술·글로벌 파트너십이 관건”

 

국내에서도 항노화 스타트업(하플사이언스, ANL 바이오, 메디스팬 등)이 시리즈 A·B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생태계가 확장되고 있다. 2021년 기준 항노화 제품 생산 업체는 1985개에 달한다. 하지만 글로벌 특허 소송 리스크와 기술 경쟁력 확보가 최대 과제로 지목된다.


전문가들은 “해외 오리지널 장비·기술을 참고해 개발하는 관행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신약·치료제 개발과 전략적 파트너십(R&D, 라이선싱, 마케팅, 생산 등) 확보가 필수”라고 강조한다.

 

미래전망 “노화는 치료 대상…패권경쟁은 이제 시작”

 

항노화·장수 바이오 시장은 빅테크와 글로벌 자본, 바이오 혁신기업이 주도하는 신성장 산업으로 급부상 중이다. 세포 리프로그래밍, 노화세포 제거, AI 신약개발 등 첨단기술이 융합되며, 노화는 ‘치료 불가한 자연현상’에서 ‘치료 가능한 질병’으로 인식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노화는 더 이상 숙명이 아닌 ‘정복의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는 셈.

 

항노화 시장은 아직 절대 강자가 없는 ‘미개척지’로, 성공시 막대한 수익과 글로벌 기술이전·M&A 기회가 열려 있다. 2030년대 중반, 일부 항노화 신약의 상용화와 맞춤형 장수 솔루션의 대중화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인구 고령화, 건강수명 연장 욕구, 빅테크의 대규모 투자, 정부의 정책지원이 맞물리며, 향후 10년간 항노화 산업은 바이오·의료 신성장동력의 한 축이 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빅테크칼럼] 소프트뱅크, AI 데이터센터 장비공장에 4.4조원 투자…오픈AI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가속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 그룹이 미국 오하이오주 로드스타운에 위치한 전기차 공장을 제너럴모터스와 폭스콘으로부터 인수, 약 30억 달러(한화 약 4조4000억원)를 투자해 AI 데이터센터용 장비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전환한다. 이 장비들은 텍사스 밀럼 카운티에 건설 중인 오픈AI 데이터센터와 향후 공개될 추가 데이터센터에 공급될 예정이다. OpenAI 공식 발표, The Information, CNBC에 따르면, 이번에 생산될 장비들은 모듈식 구조로 설계되어 현장에서의 설치가 신속하고 용이하며, 데이터센터의 용량 확장도 점진적으로 가능해 기존 현장 건설 대비 가동 일정을 10~20% 단축할 수 있다. 모듈형 방식은 데이터센터 건설 기간을 약 12개월에서 7~8개월로 단축시키는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짐 시모넬리 슈나이더 일렉트릭 최고기술책임자는 이 같은 모듈식 건설이 데이터센터 조기 가동에 결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소프트뱅크는 지난 8월 이 공장을 3억7500만 달러에 인수했으며, 내년 1분기부터 생산에 착수할 계획이다. 이 공장 생산 장비는 AI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한 핵심 인프라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투자는 오픈AI가

[빅테크칼럼] 구글 '나노 바나나 프로', 이미지 AI 분야 패러다임 혁신 ‘업그레이드 돌풍'…미드저니·달리·파이어플라이와 '선두경쟁'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이미지 생성 AI의 혁신적 진보를 알리는 신제품이 등장했다. 구글은 2025년 11월 20일(현지시간) 인공지능(AI) 이미지 생성 및 편집 도구 ‘나노 바나나 프로(Nano Banana Pro)’를 공식 출시하며, 최신 AI 모델 ‘제미나이3 프로(Gemini 3 Pro)’ 기반의 최첨단 서비스를 본격 제공한다고 밝혔다. 핵심 기능 및 기술적 특징 구글 발표 자료, 더버지, Statista에 따르면, 나노 바나나 프로는 구글의 이전 모델인 ‘나노 바나나(Nano Banana)’와 달리 최신 제미나이3 프로 엔진을 적용, 추론 능력과 디자인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최대 14개의 이미지를 입력해 이들을 조합, 새로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사진의 초점, 각도, 조명 변경은 물론, 낮 사진을 밤 사진으로 바꾸는 등 다양한 편집 옵션까지 지원한다. 해상도는 4K 초고화질까지 가능하며, 배경·구도·제시어(프롬프트) 기반 이미지 생성의 정확성·일관성을 크게 끌어올렸다. 특히 기존 AI 이미지 생성 모델의 고질적 문제였던 ‘글자 표현’ 영역이 전격 개선됐다. 새 버전은 캘리그라피와 디자인 요소가 포함된 이미지에서도 한국어·영어 등

[빅테크칼럼] 트럼프와 화해한 머스크, 워싱턴 정치무대 복귀…백악관 만찬 참석·2025 중간선거 지원 '신호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6개월간의 불화를 끝내고 2025년 11월 중순 워싱턴 정치 무대에 복귀했다. 머스크는 2025년 11월 18일 트럼프가 주최한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환영 백악관 만찬에 참석하며 공개석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번 만찬 참석은 양측 관계가 완화됐음을 상징하며, 머스크가 정치적 영향력을 다시 행사할 준비를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머스크는 2025년 5월 워싱턴을 떠나면서 트럼프에 대한 비판과 함께 제3정당 창당을 언급하는 등 갈등을 겪었으나, 이후 한랭해진 관계를 해빙하고 트럼프와 간헐적 대화를 재개했다. 특히 2025년 9월 보수 활동가 찰리 커크 추도식에서 두 사람의 화해 장면이 TV에 포착되기도 했다. 머스크는 제3정당 구상에서 후퇴한 상태이며, 자신 측근 인사의 정부 고위직 재지명으로 휴전 상태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적 지원도 이어지고 있다. 머스크는 2024년 대선에 약 3억 달러를 투입해 트럼프를 지원했으며, 2025년 중간선거에서도 공화당 후보를 위한 기부를 재개할 예정이라고 측근들이 전했다. 이는 2025년 6월 이후 공화당 입법안에 반대하며 갈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