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1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빅테크

美, 대만 TSMC에 15.7조 지원...삼성 보조금 규모 '관심'

보조금 66억달러, 저리대출 50억달러…총 116억달러
TSMC, 250억달러 추가 투자 '화답'…총 650억달러
외신 “삼성 지원도 다음 주 발표될 듯”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인 TSMC가 대만 중부 타이중 지역에 최첨단 공정인 1나노 공장 신설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TSMC]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미국 바이든 행정부가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 )업체인 대만 TSMC에 116억달러(약 15조70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한다.

 

8일(현지시간)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반도체법에 따라 이날 TSMC에 반도체 공장 설립 보조금 66억달러(약 8조9000억원)을 지원하고, 50억달러(약 6조8000억원) 규모 저리 대출을 제공, 총 116억달러(15조7000억원) 규모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지나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전날 백악관 출입기자단 브리핑을 통해 미국 정부와 TSMC가 이 같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미국이 지급하기로 한 보조금 액수는 당초 반도체 업계에서 예상한 규모인 50억달러를 30% 이상 상회한다.

 

TSMC에 대한 지원은 바이든 행정부가 2022년 8월 제정한 반도체 지원법(CHIPS and Science Act)에 따른 것이다. 이 법은 기업에 반도체 분야의 보조금과 연구·개발(R&D) 비용 등 약 530억달러를 지원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성명에서 "미국이 반도체를 발명했지만 우리 반도체 생산량은 전 세계 40%에서 10%까지 줄었다"라며 "게다가 최첨단 반도체는 생산하지 못해 경제와 국가 안보에 심각한 취약성을 드러냈다"고 말했다. 이어 "TSMC와의 투자 합의를 통해 미국이 2030년까지 전 세계 최첨단 반도체의 20%를 생산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화답하듯 TSMC는 미국 투자를 400억달러(54조2000억원)에서 650억달러(88조1000억원)로 확대하기로 했다. TSMC는 현재 애리조나주(州)에 반도체 공장 두 개를 짓고 있다. 여기에 더해 2030년까지 애리조나주에 2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공정이 활용될 세 번째 팹(fab·반도체 생산공장)을 건설한다고 밝혔다.

 

TSMC측은 "첫 번째 팹은 2025년 상반기에 4나노 기술을 활용한 생산을 시작할 예정이고, 앞서 발표한 3나노 기술에 더해 차세대 나노시트 트랜지스터를 활용해 세계 최첨단 2나노 공정 기술로 생산하는 두 번째 팹은 2028년 조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에 대한 지원 규모도 이르면 다음주 발표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로이터는 소식통을 인용해 "이르면 다음 주 중으로 한국의 삼성전자에 대한 보조금 지원도 발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블룸버그는 최근 보도에서 삼성전자는 60억달러(8조2000억원) 이상의 보조금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MIT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 예측 틀렸다" 확인…아인슈타인-보어 ‘빛의 이중성’ 논란, 100년 만에 마침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자들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 닐스 보어 사이에서 거의 한 세기 동안 이어져 온 빛의 근본적 성질에 관한 논쟁을 해결했으며, 양자역학에 관한 아인슈타인의 예측이 잘못되었음을 확인했다. 2025년 7월, MIT 물리학자들이 발표한 역사적인 연구가 100년 가까이 이어진 ‘빛의 양자 이중성’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이 연구는 Physical Review Letters에 게재됐다. 또 빛의 파동성과 입자성에 관한 아인슈타인과 보어의 논쟁에 결정적인 해답을 제시했다. 1927년 아인슈타인은 “광자가 슬릿을 통과하며 나뭇가지를 스치는 새처럼 미세한 흔적을 남길 수 있다면, 우리는 빛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닐스 보어는 하이젠베르크 불확정성 원리에 근거해 “광자의 경로를 측정하려는 모든 시도는 파동 간섭 무늬 자체를 파괴한다”고 반박했다. MIT 연구진의 실험은 보어의 주장이 옳았음을 현대 양자역학의 가장 정밀한 방식으로 증명했다. MIT는 1만개 이상의 초저온 원자를(섭씨 -273.15도 바로 위인 마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