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3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우주에서 최초 성장한 심장·뇌 오가노이드…질병 연구의 새 지평 연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시애틀의 앨런 세포 과학 연구소가 줄기세포를 스페이스X 팰컨 9 로켓을 통해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보내 우주에서 최초로 심장 및 뇌 오가노이드를 성장시키는 역사적인 실험에 돌입한다.

 

NASA의 33번째 ISS 상업 보급 임무의 일환으로 2025년 8월 24일(미국 동부시간)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NASASpaceFlight, Allen Institute, Nature, GeekWire, Cedars-Sinai Medical Center, OUP Academic, PubMed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로스앤젤레스 시더스-시나이 메디컬 센터가 주도하며,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파킨슨병, 심혈관 질환 등 난치성 질병 연구에 획기적인 진전을 기대하고 있다.

 

오가노이드는 1mm 미만의 크기지만 실제 장기의 기능을 모방하는 3차원 세포 집합체로, 지구 중력의 영향을 받아 성장에 한계가 있지만 미세중력 환경에서는 보다 복잡하고 성숙한 구조로 발달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번 실험에 사용된 동결 줄기세포는 콜로라도 바이오서브 스페이스 테크놀로지스(BioServe Space Technologies)가 개발한 특수 ‘플레이트 서식지’에 담겨 ISS에 전달된다. 우주비행사들은 약 한 달간 이 샘플을 돌보면서 성장 과정을 면밀히 기록하며, 실험 종료 후 지구로 되돌려 분석한다.

 

시더스-시나이의 우주 의학 연구 센터 아룬 샤르마 박사는 “지구 중력은 오가노이드의 3차원 구조 형성을 압축하는데, 미세중력 환경에서는 오가노이드가 더 잘 성장할 것”이라 밝혔다.

 

이 실험은 우주에서의 줄기세포 연구 가능성을 보여준 과거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ISS에 보내진 뇌 오가노이드가 지상에서 자란 것보다 빠른 성숙 속도와 세포 증식 관련 유전자의 감소, 성숙 관련 유전자의 증가 등 미세중력 환경의 긍정적 효과를 시사하는 결과도 나와 있다.

 

신경생물학자 진 로링(Scripps Research)은 “유전자 수준에서 미세중력이 세포의 조숙화를 촉진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향후 우주에서 조직과 장기를 바이오프린팅하는 길을 여는 시발점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샤르마 박사는 “우주에 지구 실험실과 동등한 수준의 연구실을 갖추는 것이 꿈”이라고 말했다.

 

국제우주정거장은, 우주 미세중력 환경을 활용한 신경 및 심장 오가노이드 연구를 통해 지구의 중력 한계를 넘어선 질병 모델링과 약물 치료법 개발에 큰 전환점을 만들 전망이다. ALS, 파킨슨병 등의 난치 신경계질환과 심혈관계 연구에 적용, 질병 연구의 정밀성과 신속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어 의학계의 기대가 크다.

 

한편, 팰컨 9 로켓은 2025년 6월까지 500회 이상 발사를 달성하는 등 재사용 로켓 기술의 진전을 보여주며 이번 실험을 실어나를 예정이다. NASA와 스페이스X는 발사 당일 오전 2시 25분부터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이번 임무를 중계한다.

 

이 연구가 성공하면, 우주 기반의 3D 오가노이드 연구가 질병 치료 가능성을 혁신적으로 높이고, 미래 우주 거주와 의료기술 발전에도 새로운 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일본·폴란드 하늘에 '번쩍' 두 개의 불덩어리 정체는?… 자연과 인공물체 속 공존과 위협사이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본 남부와 폴란드 동부의 밤하늘을 각각 수초 간격으로 환하게 밝힌 두 개의 거대한 불덩어리가 전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NZ Herald, NHK World, 폴란드 현지 경찰 발표, 글래스고 대학교 루크 데일리 교수 인터뷰 등의 자료와 보도에 따르면, 8월 19일 밤 11시 8분경 일본 가고시마 지역 상공에서 발생한 화구는 약 1.6킬로톤의 에너지를 방출하며 폭발해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간사이공항 근처까지 눈부신 빛을 던졌다. 동일한 시기, 폴란드 루블린주의 작은 마을 오시니에서는 정체를 알 수 없는 물체가 옥수수밭에 떨어져 폭발을 일으켰고, 인근 주택의 유리창을 깨뜨리는 등 충격을 남겼다. 이번 일본 화구의 에너지는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약 1/40 수준인 1.6킬로톤에 달하는 것으로, 실제로 발생하는 소행성 충돌의 위험성을 상기시키며, 폴란드의 미확인 폭발은 군사용 드론 또는 우주 쓰레기가 갈수록 복잡해지는 글로벌 안보 환경과도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일본 현장의 목격자들은 "공기가 달처럼 진동하고, 빛이 너무 밝아 마치 낮처럼 느껴졌다"고 증언했다. 센다이 우주 박물관장 마에다 토시히사는 이 사건을 “하늘에서 펼쳐진 아

K-방산, 유럽·중동 교두보 확보 잰걸음…"현지법인 설립 통한 글로벌 수주 경쟁력 강화"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K-방산이 유럽과 중동 시장에서 현지 영업망을 강화하기 위해 최근 현지법인과 사무소를 잇따라 설립하며 해외 진출 교두보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글로벌 안보 위기 심화에 따른 무기 수요 급증에 대응해 현지 밀착 전략으로 대규모 추가 수주를 노리는 모습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2025년 6월 폴란드에 유럽법인을 설립했다. 이 법인은 KAI의 전략 자산 수출 지원과 품질 보증 업무를 전담하며, 폴란드뿐 아니라 프랑스, 영국 등 유럽 전역에 대한 마케팅과 현지 고객 대응을 강화하는 역할을 맡았다. KAI는 기존에도 폴란드와 프랑스에 별도 사무소를 운영해오며 유럽 시장 공략을 확대 중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5년 하반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 중동 및 북아프리카(MENA) 지역을 총괄하는 법인을 본격 가동한다. 이 법인은 기존에 이집트, 아랍에미리트(UAE), 사우디아라비아에 둔 사무소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며, 연구개발(R&D), 전략 및 정부 협력 분야 인력을 채용하고 있다. 한화는 폴란드에서는 약 6000억원을 투자해 현지 방산업체 WB그룹과 조인트벤처(JV)를 설립, 다연장 로켓 ‘천무’에 탑재되는

대한항공, LIG넥스원과 손잡고 1.8조원 규모 한국형 전자전기 사업 ‘출사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대한항공이 LIG넥스원과 손잡고 대한민국 공군의 전자기 스펙트럼(EMS) 전력 확보를 위한 ‘전자전기(Block-I) 체계개발 사업’ 수주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제안서는 9월 초에 최종 제출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정부가 1조7775억원을 투자하고 국내 업체가 연구·개발하는 형태로 추진된다. 대한항공-LIG넥스원 컨소시엄이 해당 사업의 체계종합업체로 최종 선정되면, 대한항공이 체계통합 및 기체 개조·제작을 맡고, LIG넥스원이 체계개발 및 전자전 장비 개발·탑재를 담당할 계획이다. 중형 민항기 개조한 전자전기 개발…대한항공-LIG넥스원 전략적 기술 협력 전자전기(Block-I) 체계개발 사업은 항공기에 임무 장비를 탑재해 주변국의 위협 신호를 수집·분석하고 전시에 전자공격(jamming)을 통해 적의 방공망과 무선지휘통신체계를 마비·교란하는 대형 특수임무기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전자전기는 적 항공기와 지상 레이더 등 전자장비를 무력화시키고 통신체계까지 마비시킬 수 있어 현대 전장에 필수 장비로 꼽힌다. 이번 사업은 외국산 중형 민항기를 개조해 전자기전 임무장비를 탑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공군이 요구하는 고도·속도·작전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