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2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랭킹연구소] 2025년 2분기 서울 25개구 빌딩 거래액 순위 TOP10…"강남구 1위, 종로구 추격" 강남·종로·중구·서초·영등포·송파·용산 順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2분기 서울시 상업·업무용 빌딩 시장이 코로나19 이후 최대 수준의 활황세를 보이며, 전체 거래액이 10조1372억원을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 43%나 증가한 수치로, 거래량 기준으로는 경기권이 두각을 나타냈으며, 거래액 기준으로는 서울 '강남 3구'를 중심으로 한 대규모 금액이 집계됐다.

 

거래액 10조 돌파…거래량 경기, 거래액 서울이 압도

 

국토교통부 실거래자료 및 주요 부동산 플랫폼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전국 상업·업무용 빌딩 거래액은 10조1372억원으로 집계됐다. 서울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거래액 기준 60.4%가 서울에 집중되었다.

 

경기권은 거래 ‘건수’에서 전국의 21.9%를 차지, 지방과의 격차를 벌렸다.

 

서울 25개구 중 ‘강남구 빌딩 거래액’ 1위…1.9조원으로 선두


서울 내에서는 ‘강남구 강세’가 다시 한번 입증됐다. 강남구의 2분기 빌딩 거래액은 1조9000억원에 달해 단일 자치구 중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종로구가 1조3000억원으로 2위에 올랐고, 3~5위는 중구·서초구·영등포구 등 전통적인 오피스·상권 밀집 지역이 상위권을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6~10위는 송파구, 용산구, 서대문구, 마포구, 동대문구 순으로 파악됐다.

 

11~20위는  광진구, 강서구, 성동구, 성북구, 구로구, 강동구, 동작구, 은평구, 노원구, 양천구 순으로 조사됐다.

 

강남 집중현상 두드러져…“메가딜·대형 오피스빌딩 매각 쏠림”


부동산 업계 전문가들은 강남권 초대형 자산 거래가 서울 전체 시장의 ‘거래액 편중’을 이끌었다고 분석한다. 실제로 2분기에는 강남권 내 5000억원 이상 대형 오피스·상가 복합빌딩 거래가 집중적으로 이뤄졌으며, 연말까지 대형·초고층 오피스 신규 입주, 금융기관 자산 리밸런싱에 따른 추가 매물이 나올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종로, 중구 등 ‘도심권’ 전통 상권 역시 자산 매각 및 매입 수요가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국제금융환경 변화와 함께 외국계 투자자금의 서울 핵심업무지구 유입도 최근 5년 평균(14.7%) 대비 23%까지 상승했다”며, 글로벌 자금의 서울 집중화도 주목할 포인트로 보인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사회학] 샤워공간의 사회학·심리학적 의미 "은밀·사색·창의적 공간"…외로울수록 더 자주, 더 오래, 더 뜨거운 물로 샤워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샤워공간은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가장 잘 보장되는 은밀한 공간일 뿐 아니라, 사색과 감정적 공감을 위한 심리적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양한 사회학적·심리학적 연구와 매체 보도, 커뮤니티 논의를 근거로 관련 분석 내용을 정리했다. 샤워공간은 현대인에게 단순한 위생 행위를 넘어 신체적·심리적 안정을 추구하는 장소로 자리잡고 있다. 미국 UCLA 연구진의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고립감이나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따뜻한 물로 샤워나 목욕하는 빈도와 시간, 더 높은 수온 선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일대 심리학자 John Bargh 등의 연구(The Substitutability of Physical and Social Warmth in Daily Life, 2011년)에서도 "만성적 외로움이 높은 사람들이 더 자주, 더 오래, 그리고 더 뜨거운 물로 샤워하거나 목욕하는 경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이 연구에서 외로움 정도와 샤워 빈도, 지속 시간, 선호 수온 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외로움이 클수록 따뜻한 물에서 더 오랜 시간을 보내며 물리적 온기를 통해 사회적 차가움을 보상하려는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