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정부가 2025년 8월 4일, 대한민국을 대표할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팀 5곳(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AI연구원)을 공식 선정하며 ‘K-AI 기업’ 시대의 서막을 알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5개 팀이 참가한 서면 및 발표 평가를 거쳐 이들 5개 팀을 선발, 글로벌 최고 수준 성능의 AI 모델 개발을 위한 본격 지원에 나설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선정된 각 컨소시엄은 독자적인 AI 모델 개발 전략과 차별화된 목표를 내세웠다. 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은 네이버, 트웰브랩스, 서울대, KAIST 등과 협력해 텍스트, 음성, 이미지, 영상 등 다양한 이종 데이터를 통합 처리할 수 있는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을 자체 개발하는 데 집중한다. 이를 통해 국민 누구나 체험 가능한 대규모 AI 플랫폼을 구축하며, AI 분야에서 풀스택 역량을 갖춘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모델 개발에 자부심을 보이고 있다.
업스테이지는 노타, 래블업, 플리토, 뷰노 등과 함께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솔라 WBL(World Best LLM)’을 개발하며 3년 내 1000만명 이상의 대국민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목표를 뒀다. 이들은 국내외 우수 인재 영입과 진화형 AI 생태계 조성을 통해 기술 선도를 이어가려 한다.
통신사 SK텔레콤은 크래프톤, 리벨리온, 서울대, KAIST 등과 협업해 포스트-트랜스포머 기술 기반의 대규모 초거대·멀티모달 AI 모델을 개발 중이다. 이들은 제조, 자동차, 게임, 로봇 등 산업 분야뿐 아니라 국민 대상 B2B·B2C 서비스 확산을 목표로 하며, 국산 AI 반도체를 활용해 산업 및 국민 AI 대전환(AX)을 선도한다.
NC AI는 서울대, 연세대, 포스코DX, ETRI, KAIST 등 국내 최고의 산학연 협력 네트워크와 함께 2000억 개 파라미터 규모(200B)의 초거대 언어 모델과 멀티모달 및 산업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54개 기관이 참여하는 그랜드 컨소시엄을 통해 ‘도메인옵스’라는 특화 플랫폼을 제공하며 산업 현장에 특화된 자동화와 최적화를 지원 중이다.
LG AI연구원은 LG유플러스, LG CNS, 슈퍼브AI, 한글과컴퓨터 등과 연합해 오픈소스 프런티어 모델 ‘K-엑사원’을 개발하며 글로벌 최고 성능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엑사원4.0’은 국내 인공지능 모델 중 1위, 글로벌 오픈소스 부문 4위, 전체 AI 모델 중 11위로 평가받고 있으며 산업 생산성 및 AI 전환 가속화를 이끌고 있다.

정부는 2025년 한 해 동안 총 1936억원의 예산과 GPU 최대 1000장 규모의 컴퓨팅 자원, 데이터 처리비 최대 50억원, 해외 인재 매칭펀드 등을 지원한다. 또한 국가기록원, 특허청, 통계청 등 주요 기관 데이터의 공동구매 및 개별 구축을 가능케 하여 AI 모델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 주권을 확보하는 데 힘쓰고 있다.
해외 우수 연구자 유치에 따른 인건비와 연구비도 정부가 매칭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해, 특히 업스테이지 컨소시엄 등에서 적극적으로 해외 인재 영입을 시도하고 있다.
6개월 단위로 기술과 성과에 대한 단계별 평가를 실시하고, 올해 12월말 1차 평가에서 4개 팀으로 압축, 2027년까지 최종 2개 팀을 국가대표 AI 개발자로 선발할 계획이다. 선정된 팀들은 ‘K-AI 기업’ 및 ‘K-AI 모델’ 공식 명칭을 사용하며, 개방형 플랫폼과 API를 통해 국민 누구나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등 AI 생태계 확대에도 중점을 둔다.
객관적 수치로는 SK텔레콤 컨소시엄이 산업 핵심 분야에서 B2B·B2C 대규모 확산을 추진하며 80% 이상이 석박사급 인력으로 구성된 점, LG AI연구원의 ‘엑사원4.0’이 국내 1위 및 글로벌 오픈소스 4위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점, 그리고 NC AI의 54개 협력기관과 함께하는 200B 모델 ‘바르코 LLM’이 대표적이다.
정부가 지원하는 데이터와 컴퓨팅 자원 규모는 200억원 상당의 방송영상 데이터 포함해 총 1936억원에 이른다. 5개 정예 팀 모두 향후 6개월 내 글로벌 빅테크 최신 AI 모델 대비 95% 이상의 성능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K-AI 프로젝트’는 단순한 기술 개발을 넘어 한국 AI 기술의 주권을 확립하고 글로벌 AI 생태계에서 독자적 경쟁력을 갖추는 데 중점을 둔다. 각 팀은 기존 모델 일부를 수정하는 단계를 벗어나 완전한 자체 개발(From scratch)에 도전하며, 산업 적용 및 공공 활용, 국민 생활 혁신에 이르기까지 AI의 전방위적 확산에 나서는 혁신적인 도약이다.
정부와 민간이 ‘K-AI’라는 새로운 브랜드 아래 협력하여, 전방위적 지원을 통해 한국형 AI 시대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