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바다 위 군사기지" 트럼프 2기 들어 美항공모함 '칼빈슨함' 첫 방한…"철통같은 확장억제 이행"

美 해군 항공모함 '칼빈슨함' 부산 입항,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처음
지난해 6월 루즈벨트함 이후 약 8개월 만
미국 정부 재확인 '항구적이고 철통같은 확장억제 공약' 이행 차원
軍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강력하게 응징할 것"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바다위의 군사기자"라는 닉네임을 가진 미국 해군의 항공모함이 2일 한국을 찾았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후 첫 입항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한미 동맹의 약화에 따른 한반도 안보 위협 문제가 제기되는 가운데, 양국간 흔들림 없는 연합방위태세를 보여주기 위한 것이란 평가다.

 

2일 해군에 따르면 미국 해군 제1항모강습단 소속 항공모함인 칼빈슨함(CVN)과 순양함 프린스턴(Princeton), 이지스구축함 스터렛(Sterett)은 이날 오후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입항했다. 

 

미국 항공모함의 입항은 지난해 6월 루즈벨트함 이후 약 8개월 만이다. 칼빈슨함은 2023년 11월에도 부산 해군작전기지에 입항한 바 있다.

 

칼빈슨함은 미국의 세번째 니미츠급(10t급) 항공모함으로 길이 333m, 폭 77m, 비행갑판 76.4m 규모로 2기의 원자로로 운행한다. 

 

특히 이 항모에는 미 해군 최초로 5세대 스텔스 전투기인 F-35C 스텔스 전투기가 배치돼 있으며, F/A-18 슈퍼호넷 전투기, E-2C 호크아이 조기경보기, EA-18G 그라울러 전자전기, MH-60S 시호크 해상작전헬기 등 80여 대의 항공기를 탑재하고 있다. 승조원은 6000여명이다. 

 

해군은 "이번 방한은 최근 미국 정부가 재확인한 항구적이고 철통같은 확장억제 공약을 실질적으로 이행하기 위한 차원"이라며 "지속되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해 한미동맹의 굳건한 연합방위태세를 현시하고, 한미 연합전력의 상호운용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인 훈련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한반도 근해에서 이달 중 실시될 것으로 보이는 한·미·일 해상훈련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해군은 칼빈슨함(CVN) 정박기간 중 양국 해군 간 우호증진을 위한 함정 상호방문, 유엔기념공원 참배 등 다양한 교류협력 활동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남규 해군작전사 해양작전본부장 준장은 "우리 군은 북한의 어떠한 도발도 강력하게 응징할 것이며, 한미동맹은 긴밀한 공조체계를 바탕으로 한반도 및 역내 평화와 안정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한국, 유럽연합 245조원 ‘세이프’ 무기 공동구매 프로그램 참여 추진…K-방산 유럽시장 진출 가속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국이 유럽연합(EU)의 1500억 유로(약 245조원) 규모 무기 공동구매 프로그램 ‘세이프’(SAFE)에 공식 참여 의향서를 제출하며 유럽 방산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 13일 EU 집행위원회와 한국 외교부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최근 이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를 공식 표명하는 공식 서한을 제출했다. 외교부는 “한국 방산기업의 유럽시장 확대와 한-EU 방산 협력 강화가 목표”라고 밝혔다. 이 의향서는 참여 절차의 첫 단계로 실제 참여 조건과 범위는 추후 EU와의 협상을 통해 확정될 예정이다. 세이프 프로그램은 EU가 2025년 5월 제정한 재무장 지원 정책으로, 회원국들이 공동으로 무기를 구매할 때 저리 장기 대출을 제공한다. 2026년 초부터 본격 시행된다. 예산 규모는 1500억 유로에 달하며, EU의 높은 신용등급을 기반으로 장기 대출을 유리한 조건으로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대출 자금은 포탄, 미사일, 정밀타격무기, 보병장비, 드론, 사이버 방어, 군사 이동성, 우주자산 보호, 인공지능 및 전자전 등 다양한 최첨단 방위산업 분야에 투입된다. 원칙적으로 대출금은 구매 무기의 제3국산 부품 비율이 35%를 넘어서는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