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한국의 담뱃값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35위로, 최하위권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기준 OECD 38개국 담뱃값 순위(20개비 말보로 1갑, 미국달러 기준)를 넘베오(Numbeo, 2025년 1월 기준)와 각국 공식 자료를 기초로 조사했다. 한국은 2015년 4500원으로 인상된 이후 10년간 추가 인상이 없었다. 소득 및 물가 상승률을 감안하면 실질 담뱃값은 오히려 하락했다는 분석이다. OECD 평균 담뱃값은 약 9869원(8.54달러, 2025년 기준)으로, 한국은 이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OECD 국가 중 가장 담뱃값이 비싼 나라는 호주로 나타났다. 2위~5위는 뉴질랜드, 영국, 아일랜드, 캐나다로 조사됐다. 6위~10위는 프랑스, 노르웨이, 핀란드, 덴마크, 스웨덴으로 파악됐다. 호주·뉴질랜드·영국 등 상위국은 1갑에 2만~4만원, 30위인 미국도 1만4000원대인 반면, 35위인 한국은 4500원에 10년째 동결 상태다. 미국은 주별 차이 있으나 평균 1만4500원(10달러)로 한국의 3배 수준이다. 국제적 기준에서 한국 담뱃값은 '매우 싼 편'임이 팩트로 확인된다. 한국 보다 담뱃값이 싼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지난해 국내 1000대 상장사의 매출 규모는 1997조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하지만 2008년부터 17년째 매출 1000조원대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작년 매출 1조 클럽은 248곳으로 2년 전보다 10곳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 상위 1000곳 중 재작년 대비 작년 매출 외형이 증가한 곳은 633곳으로 집계됐다. 또 삼성전자는 지난 2002년부터 2024년까지 23년 연속으로 국내 기업 매출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1996년~2024년 사이 29년 간 국내 1000대 상장사 매출 현황 분석’ 결과를 5월 26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국내 상장사 중 매출 기준 상위 1000곳(금융업·지주사 포함)에 포함되는 기업이다. 매출은 금융감독원에 제출한 사업보고서 중 개별(별도) 재무제표 금액 기준으로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지난해 국내 1000대 상장사의 전체 매출액 규모는 1997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1년 전인 지난 2023년 1863조원과 비교하면 1000대 기업 매출 외형은 1년 새 134조원(7.2%↑) 정도 상승했다. 특히 재작년 대비 작년 기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윤석열 정부 3년간 상위 4대 그룹(삼성·SK·현대차·LG)의 자산총액이 15%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당기순이익이 30.8% 급증했는데, 직원수는 정체돼 수익 확대와 고용 사이 괴리가 두드러졌다. 20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자산 기준 상위 30대 그룹과 4대 그룹의 자산총액·매출액·당기순이익 3년 추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4대 그룹의 자산총액은 2022년 1255조7050억원, 2023년 1360조454억원, 2024년 1444조7580억원으로 2년새 15% 증가했다. 2019년 1000조원을 처음 돌파한 이후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가며 지난해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것이다. 30대 그룹 전체 자산총액도 2373조7230억원에서 2721조9540억원으로 14.7% 증가했지만, 2023년(3074조3200억원)과 비교하면 11.5% 감소했다. 그 결과 2024년 기준 30대 그룹 내 4대 그룹의 자산 비중이 52.9%에서 53.1%로 소폭 상승하며 자본 집중도가 더 높아졌다. 수익성 면에서도 4대 그룹 중심의 성장세가 뚜렷했다. 4대 그룹 매출은 2년간 0.53% 증가(1032조3860억원→1037조8870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종합몰 앱은 ‘쿠팡’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배달 앱 분야에서는 ‘배달의민족’이 선두 자리를 지켰고, 전문몰 앱 분야에서는 ‘에이블리’가 1위에 올랐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이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Android+iOS)를 표본 조사한 결과, 2025년 4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종합몰 앱은 ‘쿠팡’으로, 월간 사용자 수 3339만명을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배달 앱 분야에서는 ‘배달의민족’이 2169만명, 전문몰 앱 분야에서는 ‘에이블리’가 929만명으로 1위에 올랐다. 식음료 앱 분야에서는 ‘스타벅스’가 736만명으로 가장 많은 사용자를 확보했으며, 편의점/SSM 앱에서는 ‘우리동네GS’가 405만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 생활용품/잡화 앱 분야에서는 ‘다이소몰’이 380만명으로 선두를 달렸다. 홈쇼핑 앱 분야에서는 ‘GS SHOP’이 346만명의 사용자로 1위를 기록했으며, 대형마트 앱 중에서는 ‘이마트’가 292만명으로 선두에 올랐다. 백화점 앱 분야에서는 ‘롯데ON’이 255만명의 사용자를 보유하며 1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상장사 중 시가총액(시총)이 2조원 넘는 주식종목에서 5월 2일 기준 주식재산이 100억원 넘는 비(非)오너 주식부자는 30명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식부자 100억 클럽에 포함된 30명 중 크래프톤 그룹 계열사에서만 8명이나 이름을 올렸는데, 이 중 3명은 비오너 주식부자 1~3위를 싹쓸이했다. 또 이번 조사에서 주식평가액이 1000억원 넘는 오너 부럽지 않은 주식갑부도 4명이나 나왔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25년 국내 주식종목 중 비(非)오너 임원 및 주주 주식평가액 현황’ 분석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이달 2일 기준 시총 규모가 2조원이 넘는 151개 주식종목 중 오너가(家)를 제외한 비오너 출신 임원과 주요 주주이다. 보유 주식은 5월 15일까지 금융감독원에 보고된 현황을 참고했고, 주식평가액은 보유 주식수에 이달 2일 종가(終價)를 곱한 금액으로 산출했다. 보유 주식은 해당 주식종목 1곳에서 보유한 보통주로 제한해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시총이 2조원이 넘는 151개 주식종목에서 비오너 출신 임원 및 주주가 1주(株) 이상 주식을 보유한 경우는 3430명으로 집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이 아시아 국가들의 쟁쟁한 도시들을 제치고 명실상부한 아시아 최고 여행지로 뽑혔다. 2025년 미국 여행 전문 매체 ‘글로벌 트래블러(Global Traveler)’가 주관하는 ‘2025 레저 라이프스타일 어워즈(Leisure Lifestyle Awards)’에서 아시아 최고의 레저 목적지로 서울이 3년 연속 선정됐으며, 지난해 빼앗긴 1위 자리를 다시 탈환했다. 서울은 2023년 1위, 2024년 2위, 그리고 2025년 다시 1위로 복귀하며 3년 연속 아시아 최고 레저 목적지로 인정받았다. 서울의 뒤를 이어 경쟁 도시인 대만 타이베이(2위), 일본 도쿄(3위), 태국 푸껫(4위), 싱가포르(5위)가 2~5위를 차지했다. 서울관광재단은 이번 수상이 한류 콘텐츠, 쇼핑과 미식, 등산 관광, 야간 관광, 축제 등 다양한 레저 콘텐츠가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블레저(Bleisure, Business+Leisure)’ 도시로서 서울은 비즈니스 여행과 여가를 결합한 관광지로서의 매력을 강화하고 있다. 서울은 2025년 1월 트립어드바이저가 선정한 ‘나 홀로 여행하기 좋은 도시’ 1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들어 서울 초고가 아파트 시장이 다시 한 번 ‘역대급’ 기록을 경신했다. 2025년 1월 1일부터 5월 14일까지 실거래가 100억원을 넘긴 아파트만 12건에 달한다. 서울의 대표 부촌인 용산구, 강남구, 서초구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가장 높은 거래가는 용산구 한남동의 ‘나인원한남’(101평형)으로, 지난 2월 10일 250억원에 손바뀜됐다. 이는 비트코인 시세(1BTC=1억4608만원) 기준 171.1 BTC에 해당한다. 이어 같은 용산구 ‘한남더힐’(100평형)이 3월 14일 175억원(119.8 BTC)에 거래돼 2위를 기록했다. 3위는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원베일리’(95평형)가 2월 26일 165억원(113 BTC)에 실거래됐다. 이밖에 용산 ‘나인원한남’(89평형)이 158억원, 성동구 ‘아크로서울포레스트’(60평형)가 135억원, 용산 ‘나인원한남’(75평형)이 130억원 등 초고가 거래가 연이어 이어졌다. 특히 용산구는 나인원한남, 한남더힐 등 단일 단지에서만 7건의 100억원 이상 거래가 이뤄져, 서울 고급 주택시장의 ‘대장’임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강남권에서는 압구정동 ‘현대2차’(64평형)가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K-드라마의 효시 '겨울연가'의 신화가 일본에서 여전히 현재진행형이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23 K-콘텐츠 해외진출 현황조사'에 따르면, 일본에서 가장 자주 시청되는 한국 드라마 1위는 놀랍게도 2002년작 '겨울연가'였다. 20년이 훌쩍 넘은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일본 내 한류 붐의 원조답게 지금도 변함없는 인기를 자랑한다. 최근 야후재팬이 실시한 '인생에서 가장 재밌었던 최고의 한국드라마' 설문에서도 '겨울연가'가 1위를 차지해 그 저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2위는 2019년 방영된 '사랑의 불시착'이다. 이 작품은 넷플릭스와 일본 TV 채널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며, 4차 한류 붐을 이끈 주역으로 꼽힌다. 2020년 일본 넷플릭스 TV쇼 랭킹 1위에 오르기도 했고, 여전히 일본 시청자들에게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다. 3위에는 2003년작 '대장금'이 올랐다. 대장금은 일본에서 방영 당시 최고 시청률 45.8%를 기록하며 한류 드라마의 대표작으로 자리 잡았다. 4위는 '미남이시네요'(2009), 5위는 '천국의 계단'(2003)이 차지했다. 이 두 작품 모두 일본에서 리메이크되거나 꾸준히 재방영될 정도로 현지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세계적으로 저출산이 심화되는 가운데, 세계 각국의 ‘셋째 이상 자녀’ 비율이 출산율과 밀접한 연관을 보이고 있다. OECD Family Database(각국의 출산율 및 출생순위별(첫째, 둘째, 셋째 이상) 출생아 비율 공식 통계), 각국 통계청, CIA World Factbook(세계 각국의 최신 총출산율(TFR) 순위) 등 공식 자료를 종합하면, 셋째 이상 자녀 비율이 높은 국가는 대체로 출산율도 높다는 공통점이 드러난다. 이스라엘, 셋째 이상 자녀 비율 30% 넘어 'OECD 1위'…멕시코·프랑스·일본 등도 다자녀 비율 높아 OECD 회원국 중 셋째 이상 자녀 비율이 가장 높은 나라는 이스라엘이다. 이스라엘은 전체 출생아 중 셋째 이상 자녀가 차지하는 비율이 약 30%를 상회한다. 2022년 기준 OECD 국가 중 압도적으로 높은 총출산율 2.9명에 달하는 이스라엘은 초정통파(Haredi) 유대인과 아랍계 등 다자녀를 선호하는 문화가 강하게 작용하고 있다. 멕시코와 프랑스 역시 셋째 이상 자녀 비율이 각각 20%와 17~20% 수준으로 세계 2, 3위를 차지하며 높게 나타났다. 멕시코의 출산율은 1.8명, 프랑스는 1.8~1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33곳이 교체됐다. 하나캐피탈, OCI, 우아한청년들, 동국씨엠 등이 신규로 진입한 반면 폭스바겐그룹코리아와 SGC E&C 등은 제외됐다. 삼성전자는 매출 300조원대를 회복하며 부동의 1위 자리를 유지했고, 기아는 처음으로 100조원대를 돌파했다. 한국산업은행과 SK하이닉스는 매출 ‘톱10’에 신규 진입했고, LG화학과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은 탈락했다. 500대 기업의 지난해 총 매출은 4100조원을 넘어섰고, 총 영업이익은 280조원에 달했다. 11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금융통계정보시스템·공공기관‧지방공공기관 경영정보공개시스템에 재무정보를 공개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2024년 매출액(연결기준, 지주사‧지배기업은 개별기준) 기준 국내 500대 기업을 선정했다. 올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에 진입하기 위한 매출 하한선은 1조3293억원으로 전년(1조2969억원)보다 324억원(2.5%)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선정된 500대 기업의 지난해 매출은 총 4110조8281억원으로 전년(3902조6278억원)보다 208조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