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반도체 공룡 엔비디아(NVIDIA)가 오픈AI에 최대 1000억 달러(약 140조원)를 투자해 10기가와트(GW) 규모의 AI 데이터센터를 공동 구축한다는 전략적 파트너십을 2025년 9월 22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이 규모는 원자력 발전소 10기 용량에 맞먹으며, AI 인프라 분야에서 전례 없는 대규모 투자로 평가받고 있다. 로이터, CNBC, 블룸버그, Yahoo Finance에 따르면, 이번 파트너십은 엔비디아가 오픈AI에 자사의 최신 AI 칩을 공급하는 동시에, 비지배 지분을 확보하는 투자 형태를 띠고 있다. 첫 투자금 100억 달러는 1기가와트 규모의 컴퓨팅 파워를 배치할 시점에 투입되며 2026년 하반기부터 ‘베라 루빈(Vera Rubin)’ 플랫폼 기반 차세대 AI 칩을 활용한 가동이 시작된다. 전체 투자금은 단계적으로 제공된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모든 것은 컴퓨팅에서 시작된다”며,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미래 경제 기반이 될 AI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혁신을 대규모로 확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도 “이번 투자는 AI 시대를 이끄는 거대한 프로젝트”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의 디자인 책임자 프란츠 폰 홀츠하우젠이 최근 블룸버그 '핫 퍼슈트' 팟캐스트에서 회사가 각진 디자인의 사이버트럭 스타일을 확대해 새로운 모델로 사이버 SUV와 소형 사이버트럭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확실히 고려한 사항들"이라면서도 "지켜보자"는 원론적인 답변으로 구체적인 출시 계획에 대한 확답을 보류했다. driveteslacanada, teslarati, notebookcheck, eletric-vehicles, motorbiscuit, gmauthority에 따르면, 이러한 발언은 테슬라가 9월 초 공개한 ‘지속 가능한 풍요로움(Sustainable Abundance)’ 영상에서 사이버트럭 디자인을 반영한 SUV 형태의 축소 모형들이 배경에 등장한 점과 맞물려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해당 모형은 사이버트럭 특유의 각진 전면 디자인과 SUV 특유의 평평한 루프 및 높은 테일게이트라는 독특한 비율을 갖추어, 테슬라가 이 디자인을 실차로 개발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편, 테슬라는 최근 가격경쟁력을 고려해 판매하던 가장 저렴한 롱 레인지 후륜구동(Long Range RWD) 사이버트럭 모델을 5개월 만에 단종시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록히드 마틴의 비밀부서 스컹크 웍스(Skunk Works)가 2025년 9월 ‘에어&스페이스 포스 어소시에이션’ 콘퍼런스 전야에 차세대 스텔스 전투 드론 ‘벡티스(Vectis)’를 전격 공개했다. 벡티스는 유인 전투기(F-22·F-35 등)와 함께 비행하도록 설계된 그룹5 자율 전투 드론으로, 미 공군 Collaborative Combat Aircraft(CCA) 프로그램과 연계해 내년 시험비행, 2027년 본격 운용을 목표로 한다. Air & Space Forces Magazine, War Wings Daily, Defence Industry Europe, Seeking Alpha, GlobeNewswire에 따르면, 스컹크 웍스 부사장이자 총괄 관리자 OJ Sanchez는 "이 드론이 2년 이내에 비행할 것"이라며 "이 드론은 상단에 장착된 공기 흡입구와 레이다 및 적외선 신호를 최소화하기 위한 S자형 엔진 덕트와 배기 가림막 등 뛰어난 스텔스 특성을 포함한 꼬리 없는 람다(λ)형 날개 디자인이 특징이다"고 강조했다. 스텔스 디자인과 다중 임무 수행능력 벡티스는 록히드(Lockheed) F-16과 Common M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알리바바 창업주 마윈(61)이 2019년 회장직 사임 이후 5년 만에 다시 경영 현장에 복귀했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그의 복귀는 공식 직책 없이도 경영의 최전선에서 전략을 진두지휘하는 ‘비공식 리더십’으로 평가된다. 5년 만에 경영 현장 복귀…내부 ‘MAGA’(Make Alibaba Great Again)로 결집 Bloomberg, Economic Times, Business Times 등에 따르면, 알리바바 사내 게시판은 최근 ‘MAGA’ 문구로 도배되며, 조직 전체가 “알리바바를 다시 위대하게 만들자”는 마윈의 메시지에 호응하고 있다. 이 구호는 미국 트럼프식 모티브를 차용, 실적 반전과 조직 재결집의 상징으로 확산 중이다. AI·전자상거래 전쟁·보조금 전략 직접 챙겨 마윈은 JD닷컴, 메이퇀 등 신흥 경쟁업체의 도전을 정면돌파하기 위해 최대 500억 위안(약 10조원) 규모의 보조금 투입안을 주도했다. 또 3800억 위안(약 70조원) 이상의 AI·클라우드 인프라 투자 계획을 챙기고, 하루 세 차례 이상 최고 경영진에게 직접 보고를 요청하는 등 강한 실무 집중형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 실적과 시장 반응: 침체 딛고 주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데이터 분석 기업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alantir Technologies Inc.)가 2025년 10월 초 중대한 보안 취약점 논란에 휩싸이며 주요 로펌들로부터 증권 사기 혐의 조사를 받고 있다. 여러 저명한 주주 권리 로펌들은 팔란티어가 중요한 군용 전장 통신 시스템인 NGC2 플랫폼의 보안 문제를 투자자들에게 은폐하거나 오도했는지 여부를 집중 조사 중이다. 로이터, Bloomberg, Business Wire, Morningstar, Breaking Defense에 따르면, 로펌 Pomerantz LLP, Schall Law Firm, DJS Law Group 등 최소 다섯 곳이 10월 초 미국 로이터 보도 직후 조사에 착수했으며, 이달 10월 3일 팔란티어 주가는 해당 보도로 7.5% 하락하며 $173.07에 마감했다. 이 주가 급락으로 인해 해당 기간 이전에 주식을 매수한 투자자들이 손실을 입은 상태다. 팔란티어와 미 육군 합동 개발 중인 NGC2 전장 통신 시스템은 실시간 전장 데이터 공유를 목적으로 하나, 9월 육군 최고기술책임자 가브리엘 치울리가 작성한 메모에서는 "기본적 보안 통제와 프로세스, 거버넌스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중국 북동임업대학교 연구진이 기존 석유 기반 플라스틱에 견줄 만한 뛰어난 강도와 빠른 생분해성을 모두 갖춘 혁신적인 대나무 분자 플라스틱을 개발했다다. 이 신소재는 무독성 알코올 용매를 통해 대나무 셀룰로오스를 분자 단위로 용해한 뒤, 셀룰로오스 사슬을 촘촘하게 재조립하여 높은 강도와 안정적인 형성성을 확보했다. 이 연구결과는 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됐다. Nature Communications, Phys.org, New Scientist, New Atlas, China Development Brief, Ministry of Development and Reform Commission policy details, CGTN에 따르면, 이 대나무 플라스틱은 인장 강도 110MPa, 워크 오브 프랙처(work of fracture) 80kJ/m³를 기록해 기존 폴리락틱애시드(PLA), 고충격 폴리스타이렌(HIPS) 등 상용 바이오플라스틱과 비교해도 우위에 있다. 또한 자동차 내장재, 가전제품, 인프라 부품 등 강도가 요구되는 산업 분야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물리·기계적 안정성이 뛰어나다. 더욱 주목할 점은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한국의 실업급여 지급액이 최저임금보다 높아지면서 구직자의 취업 의욕을 저하시킨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2025년 9월 25일 발표한 ‘고용보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보고서를 통해 현행 실업급여 제도가 ‘일하는 것보다 놀면서 받는 게 더 유리한’ 구조적 모순을 안고 있으며, 이로 인해 노동시장 왜곡과 재정 부담이 심각하다고 지적했다. 세후 최저임금 보다 실업급여가 더 많아…월 193만원 현실화 2025년 기준 구직급여 하한액은 월 193만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이는 세후 실수령액 기준 최저임금(약 187만원)보다 높으며, 실제 최저임금 월급(약 188만원, 세전 기준)과 맞먹거나 오히려 더 많은 수준이다. 최저임금의 80%에 해당하는 구직급여 하한액이 현실에서는 오히려 이를 초과하며 일한 대가보다 실업급여가 많아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경총은 OECD 회원국 중 한국의 구직급여 하한액이 평균임금 대비 41.9%로 가장 높다고 분석했다. 이 같은 상황은 구직자들이 일하는 것보다 실업급여에 의존하는 유인이 크다는 문제를 낳고 있다. 실제 사례로 한 40대 회사원은 “계약직으로 근무하던 직원이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오픈AI가 2025년 10월 6일(현지시각) 샌프란시스코 포트메이슨에서 ‘DevDay 2025’를 개최하고, 챗GPT 내에서 스포티파이·질로우·부킹닷컴·콜세라 등 외부 앱을 별도 이동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획기적 신기능을 발표했다. TechCrunch, OpenAI 공식발표, Reuters, WSJ, Masterofcode에 따르면, 이번 행사에는 업계 관계자와 개발자 등 1500여명이 참석했으며, 오픈AI 샘 올트먼 CEO는 “챗GPT 주간 활성 사용자가 1억명, 개발자는 200만명을 돌파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챗GPT, 글로벌 플랫폼으로 진화…“앱 연동으로 대화가 곧 실행” 이번 업그레이드 핵심은 사용자가 챗GPT 창에 “‘부킹닷컴에서 3박4일 도쿄 호텔 예매해줘, 1박 10만원 이하’” 또는 “‘질로우에서 피츠버그 3베드룸 집 찾아줘’”라고 입력만 하면, 챗GPT가 해당 서비스를 호출해 직접적인 검색·결제·추천 등 실제 실행까지 가능해진다는 점이다. 추가 대화에서는 상세 조건 설정, 후속정보 탐색, 결제까지 한 번에 이어진다. 이로써 별도 앱 실행이나 웹사이트 방문 없이도 챗GPT 내에서 원하는 기능을 모두 이용할 수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SK그룹이 오는 11월 3일부터 4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SK AI 서밋 2025'를 개최한다. 'AI Now & Next(오늘의 혁신 실행과 내일의 도약 준비)'를 주제로, 올해는 AI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진단하고 전망하는 국내 최대 AI 행사로 자리 잡았다. 지난해 온·오프라인 통틀어 3만명 이상이 참여한 바 있다. 이번 서밋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비롯해 벤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 팀 코스타 엔비디아 반도체엔지니어링총괄, 정신아 카카오 대표 등 국내외 핵심 빅테크 인사들이 총출동한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과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도 AI 인프라 및 AI 메모리 분야 비전을 공유한다. 최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SK가 지난 1년간 추진해온 AI 생태계 구축 성과와 향후 성장 전략을 직접 소개하고, ‘제조 AI’를 한국형 AI 발전 방향으로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둔다. 행사 전시 규모 역시 크게 확대됐다. 지난해에는 SK그룹 계열사 중심이었지만, 올해는 AI 스타트업, 학계, 해외 기업 등 참여 범위가 대폭 넓어지며 AI 인프라, AI 모델, AI 전환(AIX) 기술을 선보인다. SK텔레콤, SK하이닉스,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금 가격이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4000달러를 돌파하며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드는 가운데, 유럽 전역의 박물관들이 금값 급등에 따른 황금 유물 절도 범죄로 몸살을 앓고 있다. 최근 잇따른 대형 절도 사건들은 금값 급등이 단순한 금융 이슈를 넘어 문화재 보존과 국제 외교 문제까지 촉발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로이터, CNN, 골드만삭스,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내셔널 박물관의 일원인 세인트 페이건스 국립역사박물관은 지난 10월 6일, 2인조 절도범들의 침입으로 청동기 시대의 금 장신구들이 도난당하는 큰 피해를 입었다. 범인들은 절단기와 가스 토치 등 고도의 전문 장비를 사용해 방탄유리를 뚫고 침입하는 등 조직적이고 치밀한 수법을 보였다. 이는 조직폭력조직 수준의 계획적 범행이라는 점에서 현지 경찰과 박물관 관계자 모두를 놀라게 했다. 프랑스 파리의 국립자연사박물관에서는 지난 9월 16일 60만 유로(한화 약 10억원) 상당의 금 원석 표본 4점이 도난당했다. 범인들이 방탄유리를 절단하는 데 사용한 고급 장비는 범행의 치밀함을 극명하게 드러낸다. 이 사건은 프랑스 내에서도 큰 충격파를 일으켰으며, 해당 금 원석은 전문 암시장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