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대기업이 들어선 도시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지역내총생산(GRDP)이 5년 전과 비교해 크게 오르는 등 내수 경제를 탄탄히 다지며 인기 주거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다. 실제 위축된 부동산 시장에도 동탄 등 대기업이 다수 입주한 기업도시는 아파트 매매가가 크게 뛰고 거래량이 급증하는 양상을 띠며 수요가 꾸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7월 16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자료를 보면, 경기도 화성시 오산동 일원에 위치한 ‘동탄역롯데캐슬(‘21년 6월 입주)’ 전용면적 84㎡는 지난 5월 15억7000만원에 거래됐다. 1월 매매가(14억7000만원) 대비 1억원이 오른 가격이다. 또한, 경기도 화성시 청계동 일원에 위치한 ‘더샵센트럴시티(‘15년 8월 입주)’ 동일 평형도 지난 6월 13억4000만원에 거래됐다. 앞서 5월 12억5000만원에 손바뀜한 후 불과 한 달 만에 9000만원이 오른 셈이다. 이 같은 가격 상승의 이유로는 기업도시의 자족성이 우선 꼽힌다. 동탄신도시는 삼성전자 화성캠퍼스를 비롯해 ASML 화성 뉴 캠퍼스, 한미약품 등 주요 기업들이 다수 위치해 있는 수요권 주요 기업도시다. 지역 내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전기차 기업 테슬라와 인공지능 스타트업 xAI의 합병에 대해 “나는 지지하지 않는다”며 직접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CNBC, Business Insider 등의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머스크는 7월 14일(현지시간) X(구 트위터)를 통해 “만약 내 결정이었다면 테슬라는 오래전에 xAI에 투자했을 것”이라며, “이 문제는 주주 투표로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투표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 발언은 최근 테슬라 주주들 사이에서 xAI와의 합병 혹은 투자 필요성에 대한 논쟁이 뜨거워진 가운데 나왔다. 머스크는 “내 결정이 아니라 주주와 이사회가 정할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실제로 지난해 머스크는 X에서 “테슬라가 xAI에 50억 달러를 투자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설문을 올려 다수의 찬성을 이끌어냈지만, 공식 결정은 이뤄지지 않았다. 스페이스X, xAI에 20억 달러 투자…AI 생태계 통합 가속 머스크의 또 다른 기업 스페이스X는 최근 xAI에 2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모건스탠리가 주도한 50억 달러 자본 조달의 일환으로, 머스크의 사업체 간 시너지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챗GPT의 아버지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으로 인한 '사기 위기'(fraud crisis)를 강력 경고했다. 7월 22일(현지시간) 미국 CNN 보도에 따르면, 오픈AI의 샘 올트만 CEO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회의에서 "AI가 인간의 목소리를 완벽하게 복제해 구식 인증 방식을 무력화시키고 있어, 은행권은 사상 초유의 사기 위기를 맞고 있다"고 경고했다고 전했다. 그는 "여전히 음성 프린트를 인증 수단으로 받아들이는 금융기관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두렵다"며, "AI가 이 인증법을 완전히 무너뜨렸다"고 일갈했다. AI 음성인증, 99% 무력화…금융 보안 혁신 '촉구' 최근 캐나다 워털루 대학교 연구진은 AI 딥페이크 기술로 기존 음성 인증 시스템을 6회 시도만에 최대 99% 확률로 뚫을 수 있음을 입증했다. 심지어 3초 미만의 음성 샘플만 있어도 정교한 목소리 복제가 가능해졌다는 점이 본질적인 위험으로 지적받고 있다. 실제로 AI 음성 복제 기술은 이미 원격은행, 콜센터 등에서 쓰이던 1세대 음성 인증 방식을 빠르게 시대착오적으로 만들고 있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AI 목소리는 현실과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국내 30대 그룹이 최근 10년간 5000억원 이상 규모로 인수합병(M&A)한 기업들의 경영성적이 주주가치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수 전후를 매출액, 당기순이익, 자기자본이익률(ROE), 자기자본, 시가총액 등 5개 주요 지표로 분석한 결과, 한화그룹이 인수한 한화오션의 성적이 가장 뛰어났다. 7월 22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30대 그룹이 2015년 이후 10년간 인수한 기업 중 5000억원 이상 규모이면서 전후 4년간의 경영성적을 비교할 수 있는 20개사의 성과를 주주가치 측면에서 평가한 결과, 이들 기업은 당기순이익에서 가장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자기자본성장률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전반적으로 대기업집단 인수 이후 경영성적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수 2년 전 이들 기업의 매출액은 33조9550억원이었으나, 인수 2년 후에는 47조6249억원으로 40.3%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2조4100억원에서 1조4455억원으로 흑자 전환했고, 자기자본이익률도 -11.8%에서 5.1%로 플러스로 돌아섰다. 자기자본은 20조3641억원에서 28조4644억원으로 39.8% 늘었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NASA의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 화성 로버가 자율주행 기술로 ‘마성 질주’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다. 험준한 “스노우드리프트 피크(Snowdrift Peak)” 바위 지대를 단 6일 만에 자율주행으로 돌파, 크고 작은 바위가 빽빽한 759미터(2490피트) 구간을 인류 탐사차량 사상 유례없는 속도로 주파한 사실이 스페이스닷컴과 인디아투데이 등 과학 매체와 NASA 공식 자료를 통해 확인됐다. 스노우드리프트 피크, 속도의 신화 쓰다 2023년 6월 26일~7월 31일, 퍼서비어런스는 고밀도 암석 지대인 “스노우드리프트 피크”를 동쪽에서 서쪽으로 관통하며 총 759미터를 이동했다. 과학 데이터 수집 일정을 제외하면 실제 운행일수는 단 6솔(Sol, 화성일)에 불과하다. 이는 같은 거리를 큐리오시티(Curiosity)가 통과할 때보다 12일이나 단축된 기록이다. 본래 520미터가 계획된 직선 코스였지만, 오토내브(AutoNav) 덕분에 현장에서 위험 요소를 감지해 경로를 자율 조정하며 추가 239미터를 우회 주행했다. 오토내브의 ‘주행 중 사고(생각)’, 전례 없는 속도 구현 AutoNav는 3D 지형맵을 실시간 생성,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인공지능(AI) 도입을 통해 지난해 콜센터에서만 5억 달러(약 6800억원) 이상의 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I가 기업 경영의 효율성 향상과 비용 절감의 ‘게임 체인저’로 자리매김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동시에 MS는 9000명, 전체 인력의 약 4%에 해당하는 대규모 감원을 단행하며, 800억 달러(약 108조원) 규모의 AI 인프라 투자에 자원을 집중하고 있다rh Reuters, Economic Times 등의 매체들이 보고했다. 콜센터 AI 도입, 비용 절감과 만족도 동시 달성 MS는 AI 기반 챗봇과 자동화 시스템을 콜센터에 전면 도입해 2024년 한 해 동안 5억 달러 이상을 절감했다. 이는 고객 문의 대응의 자동화와 효율화 덕분이며, 단순 비용 절감뿐 아니라 직원과 고객 만족도 지표도 모두 개선된 것으로 전해진다. AI는 소규모 고객 계정 관리 등 기존에 인력이 투입되던 영역까지 자동화해, 신규 매출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 실제로 AI 기반 시스템이 이미 수천만 달러의 추가 매출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내부 평가도 나왔다. MS는 AI가 신규 제품 코드의 35%를 자동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항공기 제조업체 보잉이 연이은 사고와 생산 중단, 무역 전쟁 등 복합 위기를 딛고 2025년 6월 60대의 항공기를 인도하며 18개월 만에 월간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고 CNBC, BBC, Forecast International 등이 일제히 보도했다. 이는 2023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지난해 1월 알래스카항공 737 맥스9 사고 이후 처음으로 본격적인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평가다. 2분기 실적, 2018년 이후 최고치 2025년 2분기(4~6월) 보잉은 총 150대의 항공기를 인도했다. 이는 2018년 이후 동기 기준 최대 실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수치다. 2025년 상반기 누적 인도량은 280대로, 2018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6월 한 달간 737 맥스가 42대 인도되며 주력 기종의 생산도 본격적으로 회복됐다. 신규 수주·중국 인도 재개 6월 한 달간 신규 주문은 116대에 달했다. 이는 5월(303대)보다는 감소했으나, 여전히 회복세를 반영한다. 2025년 6월 말 기준 보잉의 수주 잔량(Backlog)은 약 6590대에 달한다. 미·중 관세 휴전으로 6월에만 중국 항공사에 8대가 인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7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성범죄로 악명 높은 억만장자 제프리 엡스타인의 과거 관계가 다시 한 번 미 대중과 정치권을 뒤흔들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한 ‘음란 생일 축하 편지’ 논란은 단순한 구설에 그치지 않고, 트럼프의 지지층까지 흔들고 있다고 Wall Street Journal, New York Times, CNN, BBC, NPR, Axios 등의 매체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WSJ, “트럼프, 음란 생일카드 보냈다”…핵심 내용 공개 WSJ는 2003년 엡스타인의 50번째 생일을 맞아 그의 지인들이 보낸 편지와 사진 등을 모아 엡스타인 전 여자친구 길레인 맥스웰이 앨범으로 제작했고, 그 중 한 장에 트럼프의 서명과 음란한 스케치, “생일 축하해. 하루하루가 또 하나의 멋진 비밀이 되길”이라는 내용이 포함됐다고 보도했다. 특히 이 편지는 여성의 나체 윤곽과 함께 트럼프의 서명이 하체 부분에 있다며 세부 묘사까지 덧붙였다. 트럼프 즉각 반격, 10조원대 소송전 예고 보도 직후 트럼프는 “완전히 가짜 뉴스”라며 강하게 부인했고, WSJ와 루퍼트 머독 뉴스코프 회장 등을 상대로 100억 달러(약 13
[News Space=Reporter seungwon lee] An unprecedented situation has occurred in which Chairman Jeonggyu Kim of Tire Bank, the number one domestic tire distribution company, and Chairman Hyunbeom Cho of Hankook Tire & Technology, the number one tire manufacturer, were sentenced to three years in prison and detained in court. The mid-sized business of two giant owners representing the Korean tire industry goes beyond simple personal deviations and exposes the problems in the management structure of the Korean tire industry and the true face of systemic risks. Kim Jeong-gyu, Chairman of Tire Ba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대한민국의 독자 우주발사체 ‘누리호(KSLV-II)’가 오는 11월로 예정된 4차 정기 발사를 앞두고 본격적인 준비에 착수했다. 우주항공청은 7월 23일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관련 착수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4차 발사는 단순한 기술 검증을 넘어, 우주항공청의 첫 공식 발사임과 동시에 민간 우주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 전담 제작을 맡은 첫 비행이라는 점에서도 산업적·기술적으로 큰 전환점을 의미한다. 체계종합기업 등장: 한화의 첫 주도 발사 1~3차 발사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제작·운영을 총괄했으나, 이번 4차 발사부터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기업(System Prime Contractor)으로서 발사체의 설계부터 조립, 통합관리까지 총괄 책임을 맡는다. 이는 국내 우주산업이 연구기관 중심 체제에서 민간 우주기업 중심의 산업화 중심체계로 전환됐음을 상징하는 첫 사례다. 박재성 우주청 우주수송담당관은 “이번 4차 발사는 단순한 성공 여부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며, “기술 신뢰성을 확보하고 민간 중심 우주경제로 가는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TF 전담 구성, 5개 분과체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