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최근 4년 새 1.4%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난 기업은 삼양식품, 가장 많이 감소한 기업은 대동이었다. 올해 6월 말 기준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높은 기업은 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서희건설·하나증권 순이었다. 이 중 메리츠증권·자이에스앤디·다올투자증권 3개사는 정규직보다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더 높았다. 8월 27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매출 기준 500대 기업 중 2021년부터 2025년까지 분기(6월) 보고서를 공시한 334개사를 대상으로 정규직(무기계약직 포함) 및 기간제 근로자의 인원수를 조사한 결과 최근 4년간 이들 기업의 기간제 근로자 비중이 1.4%포인트 증가했다. 올 6월 기준 조사 대상 기업 334곳의 전체 근로자 수는 132만4494명, 기간제 근로자는 10만3259명으로 집계됐다. 4년 전인 2021년 6월에 비해 전체 임직원이 4만7482명(3.7%) 늘어난 가운데 기간제 근로자는 2만1095명(25.7%) 증가했다. 조사 대상 500대기업의 연도별 기간제 근로자 비중은 ▲2021년 6월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대법원이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에 대해 분식회계로 국민연금공단 등 투자자에 441억8779만원의 손해배상을 지급하라는 판결을 최종 확정했다. 이번 판결은 대우조선해양 분식회계 사태와 관련해 제기된 23건, 총 1651억원 규모의 투자자 소송 가운데 첫 대법원 확정판결이어서 향후 진행 중인 유사소송에 큰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대법원, 원심 확정하며 한화오션 배상 책임 인정 대법원 2부(주심 박영재 대법관)는 8월 14일 국민연금이 한화오션과 안진회계법인을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한화오션 측의 상고를 기각, 원심 판결을 확정했다. 이에 따라 한화오션은 국민연금에 441억8779만원을 배상해야 하며, 이 중 147억3000만원은 안진회계법인이 공동으로 지급한다. 해당 판결에서 국민연금은 2014~2015년 대우조선해양 회사채 3600억원어치를 허위 재무제표에 근거해 매입해 직접적인 손해를 봤음을 인정받았다. 5조7000억원대 분식회계…글로벌 금융시장 충격 검찰 및 금융당국의 수사 결과, 대우조선해양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약 5조7000억원 규모의 분식회계를 통해 매출과 이익을 조작한 사실이 드러났다. 검찰은 해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본 남부와 폴란드 동부의 밤하늘을 각각 수초 간격으로 환하게 밝힌 두 개의 거대한 불덩어리가 전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NZ Herald, NHK World, 폴란드 현지 경찰 발표, 글래스고 대학교 루크 데일리 교수 인터뷰 등의 자료와 보도에 따르면, 8월 19일 밤 11시 8분경 일본 가고시마 지역 상공에서 발생한 화구는 약 1.6킬로톤의 에너지를 방출하며 폭발해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간사이공항 근처까지 눈부신 빛을 던졌다. 동일한 시기, 폴란드 루블린주의 작은 마을 오시니에서는 정체를 알 수 없는 물체가 옥수수밭에 떨어져 폭발을 일으켰고, 인근 주택의 유리창을 깨뜨리는 등 충격을 남겼다. 이번 일본 화구의 에너지는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약 1/40 수준인 1.6킬로톤에 달하는 것으로, 실제로 발생하는 소행성 충돌의 위험성을 상기시키며, 폴란드의 미확인 폭발은 군사용 드론 또는 우주 쓰레기가 갈수록 복잡해지는 글로벌 안보 환경과도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일본 현장의 목격자들은 "공기가 달처럼 진동하고, 빛이 너무 밝아 마치 낮처럼 느껴졌다"고 증언했다. 센다이 우주 박물관장 마에다 토시히사는 이 사건을 “하늘에서 펼쳐진 아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미국 캘리포니아 몬터레이 카운티에서 멧돼지의 체지방과 살이 형광 파란색으로 변하는 이상 사례가 잇따라 발생해 현지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2025년 8월 18일(현지시간) KTLA, 내셔널지오그래픽, 데일리메일 등의 보도와 캘리포니아 어류 및 야생동물국(CDFW)의 공식 발표에 따르면, 주민과 사냥꾼들은 선명한 네온 블루 색깔로 변한 멧돼지 사체를 발견해 즉시 신고했으며, 조사 결과 이 같은 변색 현상은 설치류 구제를 위해 농가와 기업에서 사용하는 쥐약 성분인 ‘디파시논(diphacinone)’ 때문으로 분석됐다. 디파시논은 설치류 개체 수 조절을 위해 널리 쓰이는 살서제로, 일반적으로 형광색소가 함께 포함돼 있다. 멧돼지는 직접 쥐약을 섭취하거나, 중독된 쥐 등 설치류를 먹으며 체내에 디파시논이 축적돼 살과 지방이 형광 푸른색으로 나타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해당 물질은 조리해도 완전히 분해되지 않아, 오염된 고기를 섭취할 경우 건강에 위험할 수 있다. 이에 캘리포니아 어류 및 야생동물국은 “파랗게 변색된 멧돼지 고기는 절대 섭취하지 말 것”과 “유통 현장 발견 시 즉시 신고”를 당부했다. 이 현상은 2015년에도 같은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소프트뱅크가 2025년 5월부터 8월까지 세 차례에 걸쳐 약 2조3000억원(16억5790만달러) 규모의 쿠팡 주식을 매각했다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8월 25일(현지시간) 공시했다. 이번 매각으로 소프트뱅크의 쿠팡 지분율은 2021년 말 32.4%에서 17.39%로 크게 감소했다. 각 매각은 5월 8일 3000만주(약 1조1076억원), 6월 13일 1000만주(약 3929억원), 8월 20일 2000만주(약 8006억원) 순으로 진행됐다. 이 같은 대규모 지분 매각 배경에는 소프트뱅크가 주도하는 대규모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스타게이트(Stargate)’ 자금 확보 목적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2월, 소프트뱅크는 오픈AI, 오라클 등과 함께 향후 4년간 최대 5000억달러(약 710조원)를 투입하는 미국 AI 인프라 투자 프로젝트 ‘스타게이트’를 공식화했다. 이 중 소프트뱅크는 오픈AI에 최대 400억달러(약 57조원) 추가 출자를 약속하며, 최근 인텔에 20억달러를 투자해 지분 2%를 확보하기도 했다. 2025회계연도 동안 최대 400억달러 규모 투자를 계획하며, 이는 전년 대비 7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칠레 산티아고에 위치한 한 학교가 수업 시간 동안 스마트폰 신호를 차단하는 선구적인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이는 학교 내 휴대폰 사용을 제한하려는 전 세계적 움직임의 일환으로, 칠레 최초의 시도다. 산티아고의 로 바르네체아 비센테나리오(Bicentenario) 학교의 이 프로그램 덕분에 학생들은 소셜 미디어를 스크롤하는 대신 스포츠를 하거나 친구들과 교류하고 전통적인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즉 스마트폰 사용을 못하자 자연스럽게 학생들이 실생활 교류와 전통적 활동에 눈을 돌리는 현상이 뚜렷이 관찰되고 있는 것. BBC News, 인디아투데이, Houston Chronicle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2025년 8월부터 시행됐으며, 13~14세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신호차단 자석 케이스에 스마트폰을 보관해 직접 소지하지만 전화, 문자, 인터넷 등 모든 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케이스는 교직원만 수업 끝에 열어준다. 학교 측은 "쉬는 시간이 매우 활기차다"고 평가하며, 학생들은 배구·농구·탁구·도서관·카페 공간에서 교류하는 모습이 늘었다고 밝혔다. 도서관 보드게임, 운동장 전통놀이, 스포츠 토너먼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자회사 관리 및 신규 투자 사업 부문을 인적분할해 신설법인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설립하는 계획에서 인적분할 일정이 한 달가량 연기됐다. 8월 22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분할기일을 기존 10월 1일에서 11월 1일로 변경했다고 공시했다. 이에 따라 동 분할계획서 승인을 위한 임시주주총회도 9월 16일에서 10월 17일로 한 달 늦춰졌다. 신설법인 삼성에피스홀딩스의 재상장 예정일은 10월 29일에서 11월 24일로 조정됐다. 매매거래 정지 기간도 10월 30일부터 11월 21일까지 재설정됐다. 이번 일정 연기는 한국거래소의 분할 재상장 예비심사가 당초 예상보다 길어진 데 따른 결과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5월 22일 예비심사를 청구했으나, 심사의 추가 요청 자료로 인해 재상장 심사가 평균 73일 소요되는 데 비해 86일이 걸렸다. 이로 인해 증권신고서 제출이 한 달가량 지연되면서 주총일과 분할 일정 모두 연기된 것으로 분석된다. 거래소 관계자는 지배구조 개편 등 여러 사안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추가 자료 요청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순수 지주회사로 설립되어 바이오시밀러 기업 삼성바이오에피스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에코스타(EchoStar)와 약 170억 달러 규모의 주파수 라이선스 거래를 체결하며 자사의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의 글로벌 도달 범위를 획기적으로 확장한다. 이번 거래는 통신사 역사상 최대 규모의 스펙트럼 인수 중 하나로 평가되며, 에코스타는 기존 미국 내 4위 무선사업자 전략을 접고 새로운 사업 방향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됐다. PR Newswire, Yahoo Finance, Reuters, CNBC, Hollywood Reporter, Satellite Today, Fierce Networks에 따르면, 거래 조건은 최대 85억 달러의 현금 지급과 85억 달러 상당의 스페이스X 주식 발행, 그리고 2027년 11월까지 약 20억 달러에 달하는 에코스타 부채 이자 지급을 스페이스X가 부담하는 내용으로 구성됐다. 이번 인수를 통해 스페이스X는 에코스타의 AWS-4 및 H-block 주파수 라이선스를 독점 사용하여, 휴대폰을 위성에 직접 연결하는 차세대 'Starlink Direct to Cell' 위성 개발에 속도를 더할 방침이다. 이 거래는 에코스타가 연방통신위원회(FCC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5년 최장 10일 추석 황금연휴를 앞두고 국내 여행객들의 해외 숙소 검색 패턴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통상적으로 일본과 동남아시아가 인기 여행지였던 것과 달리, 올해는 무비자 입국 정책과 환율 급등 완화 덕분에 중국 상하이가 검색량 1위를 차지하며 새로운 주요 여행지로 떠올랐다. 호텔스닷컴 코리아에 따르면, 올해 추석 연휴 숙소 검색량은 5월부터 급증해 4월 대비 145% 증가했으며, 도시별 검색량 증가는 상하이(240%), 나고야(100%), 프라하(100%), 시드니(95%), 호놀룰루(50%) 순으로 집계됐다. 상하이는 지난해 한국인에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뒤 검색량이 두 배 이상 급증했으며, 안전하고 접근성이 좋아 가족 단위 여행객에 특히 인기다. 일본은 환율 효과가 약화되면서 검색 상승폭이 줄었으나 여전히 근거리 여행지로서 수요가 꾸준하다. 유럽에서는 프라하가 5성급 숙소 대비 합리적인 가격과 가족 친화적인 옵션으로 인기를 끌어 ‘가성비 유럽 여행지’로 자리 잡았다. 검색된 숙소 유형은 호텔이 전체의 64%를 차지해 압도적이며, 그 뒤로는 료칸(15%), 아파트형 호텔(14%), 리조트(10%)가 이어졌다. 5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 상반기 국내 대기업 오너일가의 자산가치가 33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9월 2일 리더스인덱스가 50대 그룹 오너 일가 중 계열사 지분을 보유한 623명의 자산가치 증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총자산은 올해 초 대비 32조9391억원 증가한 144조4857억원으로 집계됐다. 자산 증가 1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으로 조사됐다. 이 회장은 이 기간 4조7167억원 늘어 8월 29일 종가 16조626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보유 상장사 6곳(삼성물산·생명·전자·SDS·E&A·화재)의 주가 상승이 주된 요인으로, 삼성물산 주가는 올 초 대비 48% 넘게 뛰며 이 회장이 보유한 19.9% 지분 가치를 1조8465억원가량 끌어올렸다. 삼성가(家)는 또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1조9444억원↑, 3위), 홍라희 리움미술관 명예관장(1조6982억원↑, 5위), 이서현 삼성물산 전략기획담당 사장(1조5865억원↑, 6위) 등이 상위권에 오르며 이들의 자산은 올해에만 총 10조446억원 불었다. 개인 자산 증가 2위는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으로, 1조9873억원 증가한 2조9964억원을 기록했다. 조 회장은 부친 조석래 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