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국내에서 가장 많은 특허권을 보유한 기업으로, 아모레퍼시픽은 최다 상표권 등록 기업의 자리를 지켰다. 특허청이 광복 80주년과 발명의날 60주년을 맞아 발표한 ‘특허·상표 다등록 권리자 조사’ 결과, 대한민국 산업계의 혁신과 브랜드 경쟁력의 현주소가 다시 한 번 확인됐다.
국내기업 중 특허 등록 1위는 단연 삼성전자였다. 삼성전자는 1969년 전자 사업에 진출한 이래 반도체와 모바일 기기 등 첨단 산업을 선도하며, 지금까지 13만4802건의 특허를 등록했다. 이는 국내 전체 특허의 5%에 달하는 수치다. 지난해에만 5255건의 특허를 추가하며, 기술 혁신의 아이콘임을 입증했다.
2위는 LG전자로 7만7802건(2.9%), 3위는 현대자동차로 5만4305건(2.0%)을 기록했다. 이어 4위는 SK하이닉스(3만9071건), 5위는 LG디스플레이(2만8544건)가 올랐다. 이들 기업은 반도체, 전자, 자동차, 디스플레이 등 한국 산업의 핵심 축을 형성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6위는 포스코홀딩스, 7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위 LG화학, 9위 삼성SDI, 10위 삼성디스플레이로 나타났다.
상표권 분야에서는 아모레퍼시픽이 독보적이다. 1945년 태평양화학공업사로 출발한 이 회사는 설화수, 헤라 등 다양한 화장품 브랜드를 앞세워 총 1만6514건의 상표권을 등록, 1위에 올랐다.
2위는 LG생활건강(1만5969건), 3위는 아모레퍼시픽그룹(9357건), 4위는 식품·엔터테인먼트 분야의 CJ(9317건)로 나타났다. K뷰티와 K푸드 등 한류 브랜드 파워가 상표권 순위에도 고스란히 반영됐다.
한편, 특허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GDP 대비 특허 출원 세계 1위, 출원 건수 기준 세계 4위의 특허 강국으로 평가받고 있다.
1909년 독립유공자 정인호 선생의 ‘말총모자’가 한국인 제1호 특허로 기록됐으며, 1949년 천일산업의 ‘天(천)’이 국내 1호 상표였다. 작년 말까지 누적 특허 등록 건수는 270만5171건, 상표권은 274만1047건에 달한다. 특허청은 2027년 특허 300만 건, 2029년 상표 300만건 돌파를 전망했다.
지식재산권(IP) 확보가 곧 산업 경쟁력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켜준 이번 조사 결과는, 한국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기술과 브랜드 모두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을 방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