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2 (수)

  • 맑음동두천 13.8℃
  • 맑음강릉 15.8℃
  • 맑음서울 15.1℃
  • 흐림대전 13.2℃
  • 흐림대구 13.2℃
  • 흐림울산 14.0℃
  • 흐림광주 12.2℃
  • 흐림부산 14.6℃
  • 흐림고창 11.4℃
  • 흐림제주 16.3℃
  • 맑음강화 12.3℃
  • 흐림보은 12.6℃
  • 구름많음금산 13.0℃
  • 흐림강진군 12.9℃
  • 흐림경주시 13.2℃
  • 흐림거제 12.9℃
기상청 제공

빅테크

[The Numbers] 소프트뱅크, 엔비디아 지분 전량 8조5000억원 매각…AI 투자 위해 22조원 이상 조달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이 2025년 10월, 보유 중이던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 주식 3210만주를 총 58억3000만 달러(한화 약 8조5000억원)에서 5.83억 달러로 매각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CNBC, Reuters, Bloomberg, Investing.com, Fortune에 따르면, 이 자금은 인공지능(AI) 분야인 오픈AI 등과 같은 대규모 AI 투자에 활용될 예정이다. 소프트뱅크는 앞서 T모바일 주식 일부도 9조1700억원에 매각해, 2025년 2분기에 순이익 2조5000억엔(약 23조7000억원)을 기록하면서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소프트뱅크의 손정의 회장은, AI 분야 투자 확대를 위해 기존 엔비디아 지분을 포함한 자산을 매각하며 AI 스타트업 오픈AI에 225억 달러의 추가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이번 엔비디아 지분 매각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며, 2017년 40억 달러 규모로 엔비디아 지분에 투자한 후 2019년 1월 전량 매각한 바 있다.

 

이번 매각 관련 소프트뱅크 재무관리책임자( CFO) 요시미쓰 고토는, 투자자 대상 발표에서 “엔비디아 지분 매각은 AI 투자 자금 확보를 위한 자산 모니터라이제이션(asset monetization) 전략의 일환”이라며, 회사는 다양한 투자 기회를 제공하면서 재정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준비에 전념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가 변동 측면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이번 매각 직후 2~4% 하락을 경험했으며, 소프트뱅크의 주가는 매각 발표 직후 6~10% 급락했다. 이는 투자자들 사이에 AI 투자 과잉 우려가 일부 반영된 움직임으로 해석된다.

 

한편, 소프트뱅크는 2026년 1월 1일부터 4대 1 액면분할을 발표해 개인 투자자 접근성 제고에 나섰다. 이는 닛케이 지수 5만 돌파 등 최근 일본 증시 급등과 맞물려 향후 시장 변동성 신호로도 평가된다.

 

소프트뱅크는 AI 인프라 확장과 로봇 제조 등 다각적인 AI 사업 추진을 위해 이번 자금 조달을 활용할 계획이며, 향후에도 AI를 중심으로 한 중장기 전략 투자를 이어갈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오픈AI, 헬스케어 시장에 출사표…"챗GPT 週 8억명 건강비서 도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글로벌 AI 혁신을 선도하는 오픈AI가 헬스케어 분야에 본격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개인 건강 비서와 건강 데이터 통합 서비스 등 소비자용 헬스케어 도구 개발을 내부적으로 논의 중이며, 이를 위해 의료 및 건강 관련 핵심 인재 영입과 업계 협력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로이터, 비즈니스 인사이더, 아크리브에 따르면, 오픈AI는 2025년 6월 미국 최대 의료 분야 네트워크 플랫폼 '독시미티' 공동 창업자이자 의사인 네이트 그로스를 헬스케어 전략 책임자로 영입한 데 이어, 8월에는 메타(페이스북)의 인스타그램에서 제품 총괄 경력을 가진 애슐리 알렉산더를 건강 제품 담당 부사장으로 데려왔다. 이들 리더십 하에 오픈AI는 의료 진단 보조부터 신약 개발 AI 도구 협력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챗GPT 이용자 규모는 주간 8억명에 육박하며, 상당수가 의료 관련 질문을 하고 있다. 샘 올트먼 CEO도 “건강 관리 분야에서 GPT 기술이 이용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헬스케어 시장 진출은 단순한 AI 인프라 공급을 넘어, 의료 현장과 소비자에 직접 다가가는 전략으로 평가된다. 최근 오픈AI는 케냐 의

[빅테크칼럼] 테슬라 전기차 핵심 임원 대거 퇴사, 왜?…사이버트럭·모델Y 판매 부진이어 경영까지 '빨간불'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전기차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를 점해온 테슬라에서 주요 전기차 사업 핵심 임원들이 잇달아 퇴사하고 있어 업계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사이버트럭과 모델Y, 모델3 등 주력 차량을 총괄하며 테슬라의 미래 전략을 이끌던 간판 임원들이 한꺼번에 회사를 떠나면서 조직 내 불안정성이 심화되고 있다. 이는 판매 부진과 맞물려 경영 불확실성 확대로 해석된다. 로이터, 블룸버그,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사이버트럭 개발과 양산을 책임졌던 시단트 아와스티는 8년간 몸담은 테슬라를 떠난다고 2025년 11월 9일 본인의 링크드인 계정을 통해 밝혔다. 아와스티는 2017년 인턴으로 입사해 사이버트럭 프로젝트를 주도했으며, 지난 7월부터는 주력 세단 모델3 담당으로 이동해 있었다. 같은 날 모델Y 담당 임원 이매뉴얼 라마키아도 8년간 근무를 마치고 퇴사 소식을 전했다. 두 임원 모두 구체적인 퇴사 이유나 향후 행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번 임원 퇴사는 2024년부터 이어진 경영진 및 기술 인력들의 대거 이탈 현상의 연장선상에 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부사장 데이비드 라우가 AI 기업 오픈AI로 이직했으며, 로봇 사업부 옵티머스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