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 서초구 반포동의 재건축 아파트 단지 ‘래미안 원펜타스’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이 역대급인 527대 1을 기록하며 ‘로또 청약’으로 불린 가운데, 청약 만점 통장 일부가 위장전입을 통해 점수를 부풀린 사실이 적발됐다. 1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민의힘 윤재옥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만점(84점) 통장 4건 중 1건이 부정청약 사례였고, 이 부정 당첨자는 장인과 장모를 위장전입해 부양가족 점수를 올렸다. 실제 점수는 74점으로 단지 평균 당첨 점수(76.54점)보다 낮았다. 래미안 원펜타스는 지하 4층~지상 35층, 6개 동, 총 641가구 중 292가구를 일반분양한 대규모 재건축 단지다. 3.3㎡당 평균 분양가는 6736만원에 달하며, 전용 84㎡ 분양가는 20억원 이상으로 주변 시세 대비 약 20억원 낮게 책정된 분양가상한제 적용 단지여서 시세 차익 기대가 매우 컸다. 이에 따라 2024년 7월 1순위 청약에는 178가구 모집에 9만3864명이 몰리며 평균 경쟁률 527.3대 1을 기록했다. 이 단지는 청약경쟁이 과열되면서 많은 부정청약 적발과 계약 포기 사례도 나왔다. 국토교통부의 조사 결과, 지난해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에어아시아 여성 승무원들이 비행 중 기내 복도에서 댄스 공연을 선보인 영상이 소셜미디어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영상은 태국 방콕 돈므앙에서 푸켓 구간 항공편에서 촬영됐으며, 조회수 90만회, 좋아요 4만건 이상, 댓글 300여개를 기록하며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특히 승무원들이 선보인 노출 의상과 문신이 보이는 모습에 일부 승객들은 불편함을 표하는 반면, 새로운 마케팅 시도로 긍정적 의견도 적지 않다. 이번 공연은 에어아시아가 2025년 3월 결성한 여성 아이돌 그룹 '베라' 멤버 엠마를 포함한 승무원들이 데뷔곡 '틱톡(Tick-Tock)'에 맞춰 약 1분간 선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틱톡'은 '정시 운항'을 의미하는 곡이며, 공연은 음료 및 식사 서비스 후 진행됐다. 에어아시아 공식 계정과 엠마 본인도 관련 댓글과 좋아요로 관심을 나타냈지만, 회사 차원의 공식 입장은 없다. 해외 사례와 비교하면, 최근 항공업계에서는 안전을 중시하므로 대부분의 국제 항공사들이 기내에서의 과도한 공연이나 노출, 문신 노출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카타르항공은 문신을 일체 허용하지 않으며, 에티하드항공과 에미레이트항공도 복장 착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자율주행 기술기반의 웨이모가 인간 운전자에 비해 사고 발생률이 79%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웨이모 Safety Impact 보고서, Traffic Injury Prevention 저널 게재 논문, Swiss Re 보험 데이터, WarpNews, RepairerDrivenNews에 따르면, 실제 도로에서 5670만 마일의 웨이모 주행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인간 운전자에 비해 사고 발생률이 79%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연구는 2025년 1월 미국 교통안전 분야 권위지인 ‘Traffic Injury Prevention’ 저널에 동료 검토(peer-reviewed) 논문으로 게재됐으며, 특히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 등 취약 도로 이용자와 교차로 사고에서 탁월한 안전성을 입증했다. 연구는 2020년 9월부터 2025년 1월까지 피닉스,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오스틴 등 4개 주요 도시에서 웨이모 자율주행차의 사고 데이터를 수집, 분석했다. 11가지 유형의 충돌 사고를 대상으로 한 결과, 보행자 부상 사고는 92%, 자전거 및 오토바이 운전자 부상 사고는 82%, 교차로 사고는 무려 9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심각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일본 도요타 자동차(토요타 모터스)가 지난 9월 15일 미래형 다목적 전기차 ‘e-팔레트’의 주문을 공식 개시하며, 7년 전 구상한 자율주행 모빌리티 플랫폼의 상용화 시대를 열었다. 이번 신차는 셔틀 크기의 박스형 전기차로, 기본 가격은 2900만엔(약 19만 7000달러, 한화 2억7300만원)에 달해 도요타의 현재 제품군 중 가장 고가로 평가된다. Toyota Global Newsroom , Electrek , Electrive , Toyota Motor Europe , Japan Government에 따르면, e-팔레트는 최대 17명(운전자 포함)의 승객 탑승이 가능하며, 넓고 유연한 실내 공간을 바탕으로 셔틀버스에서 이동식 상점, 푸드 트럭, 엔터테인먼트 공간까지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모듈형 설계 덕분에 혼잡 시간대에는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셔틀 버스로, 충전 시간에는 소매 공간으로 변신하는 등 다목적 활용이 가능하다. 현재 이 차량은 레벨 2 수준의 부분 자율주행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운전자의 감독 하에 조향과 가속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도요타는 2027 회계연도 내에 조건부 무인운행이 가능한 SAE 레벨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인공지능 챗봇 챗GPT의 사용자 성별 격차가 3년 만에 완전히 뒤바뀌었다. 최근 오픈AI가 발표한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초기 출시 직후 80%에 달했던 남성 사용자 비율은 2025년 7월 기준 여성 사용자가 전체의 52%를 차지하며, 여성 사용자가 근소하게 더 많아졌다. OpenAI 보고서, 워싱턴포스트, NBER working paper, Axios, Business Insider, Quartz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약 1500만건 대화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국국립경제연구소(NBER)와 하버드 경제학자의 공동 작업 논문으로 발표됐으며, 전 세계 약 7억 주간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했다. 오픈AI 수석 이코노미스트 로니 챠터지는 이러한 변화가 초기 얼리 어답터였던 남성 중심 사용자층에서 벗어나 AI를 실생활과 일상 업무에 활용하려는 일반 대중으로 확산되면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특히 글쓰기, 실용적 조언, 정보 검색과 같은 기능이 전체 사용량의 80%를 차지하며, 프로그래밍 등 고급 기술용 AI 사용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나타냈다. 이 중 글쓰기는 업무 관련 요청 가운데 가장 많아, 챗GPT가 기존의 검색 엔진과 달리 디지털 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9월, 세계를 대표하는 기술산업의 거인 세 명이 합산 1조300억 달러(약 1386조원)의 순자산을 기록하며 사상 초유의 부의 집중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일론 머스크 CEO, 오라클의 공동 창립자 래리 엘리슨, 그리고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CEO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Business Insider, Reuters, Forbes, Investopedia, AIWorld에 따르면, 이들의 총재산은 대기업 버크셔 해서웨이의 시가총액 1조700억 달러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미국 내 대형 금융·소매기업인 JP모건과 월마트, 그리고 오라클 자체 시가총액을 능가하는 수준이다. 각자의 지분 가치를 토대로 산출한 거액의 재산 규모는 머스크가 테슬라의 약 13%, 스페이스X의 42%를, 엘리슨이 오라클의 41%, 그리고 저커버그가 메타의 13% 이상을 각각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머스크는 4190억 달러, 엘리슨은 3490억 달러, 저커버그는 2650억 달러에 달하는 자산을 소유 중이다. 특히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기대가 폭발적인 성장에 불씨를 지폈다. 엘리슨의 재산은 올해 들어 거의 두 배 가까이 뛰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과 중국이 틱톡의 미국 내 소유권을 미국 기업이 통제하는 형태로 이전하는 예비 합의에 도달하면서, 9월 17일(현지시간)로 예정된 틱톡의 미국 내 서비스 중단 위기가 급작스럽게 완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BBC, CNN, CBS News, CNBC에 따르면, 이번 합의는 미·중 간 무역협상 과정에서 마련된 ‘기본 프레임워크’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9일 금요일 예정된 전화통화에서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틱톡은 미국 내 1억700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거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이다. 이번 협상은 미국 의회의 2024년 ‘외국 적대적 애플리케이션 보호법’(Protecting Americans from Foreign Adversary Controlled Applications Act, 이하 PAFACAA) 통과 이후 더욱 가속화됐다. 해당 법안은 틱톡 모회사인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ByteDance)에 대해 270일 이내에 미국 내 틱톡 운영권을 매각하거나 9개월 후 서비스 금지 조치를 취하도록 요구한다. 의회는 특히, 틱톡이 미국 사용자 정보 보안과 국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법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주식부자 1위 이재용 삼성전자의 회장의 주식재산 기록이 다시 새롭게 갈아치웠다. 지난주 11일에 18조원을 처음으로 달성한 이후 3거래일만에 19조원을 돌파했기 때문이다. 앞으로 20조원 달성까지는 불과 5% 정도밖에 남아 있지 않아 그 시점을 놓고 관심사가 뜨거워진 모양새다. 그야말로 주식재산 20조원 돌파가 초읽기에 들어간 셈이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재용 회장의 주식가치는 이달 16일 기준 19조152억원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이달 16일 기준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S ▲삼성E&A ▲삼성화재 ▲삼성전자 우선주 이렇게 총 7개의 주식종목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7개 종목에 대한 이달 11일 기준 주식평가액은 18조1086억원으로 이건희 선대 회장에서 주식을 물려받은 이후 처음으로 18조원을 달성한 바 있다. 공교롭게도 18조원대로 진입한 날은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100일째 되는 날이어서 의미를 더했다. 18조원을 달성한 다음날이자 금요일인 12일에는 18조1882억원으로 높아졌고, 15일에는 18조7510억원으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모건 스탠리의 유명 애널리스트 아담 조나스가 테슬라의 완전 자율주행 기술(FSD)을 두고 "게임 체인저"라며 역대급 지지를 표명했다. 조나스는 2021년형 모델 Y에 탑재된 FSD 슈퍼바이즈드 버전 12.6.4로 뉴욕에서 미시간까지 약 1400마일(약 2250km)에 이르는 긴 여정을 직접 운전하며, 시스템이 99% 이상을 운전자 개입 없이 소화했다고 밝혔다. Teslarati, Business Wire, Reuters, CNBC에 따르면, 12시간 동안 핸들과 발을 떼고 주행한 경험은 그가 평소 생각하던 것보다 훨씬 혁신적이었다고 평가했다. 특히 고속도로 주행 성능을 높게 평가하며 “FSD 없는 전기차 구매는 상상하기 어렵다”는 강한 의견을 내놨다. 조나스는 18개월간 꾸준히 FSD를 사용해왔으며, 8000달러에 달하는 가격이 오히려 싸다는 판단이다. 이 같은 평가와 더불어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지난 12일 약 10억 달러(한화 약 1조3000억원) 규모의 자사 주식을 공개 시장에서 매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테슬라 주가는 이튿날 8% 이상 급등하며 시장의 신뢰를 반영했다. 이 매입은 머스크가 2020년 이후 처음으로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9월 13일(현지시간) 런던에서 열린 ‘Unite the Kingdom’ 반이민 집회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및 X(구 트위터) 소유주가 “폭력이 곧 닥칠 것이며, 맞서 싸우지 않으면 죽는다”고 경고하는 선동적인 영상이 영국 내 정치권과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BBC, PBS, aljazeera, CNN, aa.com.tr, euronews.com, Evening Standard에 따르면, 이날 집회에는 극우 활동가 토미 로빈슨 주최 하에 11만명에서 15만명이 참가해 최근 몇 년간 영국에서 열린 우익 시위 중 최대 규모로 기록됐다. 또 경찰과 시위대 간 충돌이 벌어져 26명의 경찰이 부상당하고 25명이 체포되는 등 폭력 사태로 번졌다. 이 중 4명은 치아 파손, 뇌진탕, 두부 외상 등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머스크는 영상 연설에서 “당신이 폭력을 선택하든 아니든 폭력이 당신에게 올 것”이라며 “맞서 싸우지 않으면 죽는다”고 강조했고, 영국 의회의 조기 해산과 현 집권 노동당 정부의 교체를 요구하며 “다음 선거까지 기다릴 시간이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영국은 통제되지 않는 대규모 이민으로 인해 서서히 파괴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