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SDI가 미국 테슬라에 3조원 규모의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를 3년에 걸쳐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배터리 시장의 대형 잭팟’을 터트렸다. 3일 한국경제 보도에 따르면, 이는 삼성SDI가 미국 ESS 시장 1위 업체인 테슬라에 대규모 배터리를 납품하는 첫 사례다. 지난 7월 LG에너지솔루션이 테슬라와 연 20기가와트시(GWh) 규모 공급 계약을 맺은 데 이어, LG도 물량을 연 30GWh로 50% 확대하는 방안을 협의하는 등 한국 배터리 3사가 미국 ESS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삼성SDI는 미국 인디애나주에 위치한 스텔란티스와의 합작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장 라인 일부를 ESS용으로 전환해, 1년 기준 연간 10GWh 규모 배터리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 계약 규모는 연간 1조~1조 5000억 원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한때 가동률이 50% 미만으로 ‘반쪽짜리 공장’으로 불렸던 이 합작 공장이 ESS 공급 계약 덕분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면서 "향후 추가 공급 가능성도 열려있어 계약 규모는 더 확대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번 계약은 미국 정부의 ‘배터리 탈중국’ 정책에 따른 반사이익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국내 대기업인 HD현대와 코오롱그룹이 10월 24일 2025년도 정기 임원 인사를 일제히 실시하며 경영 혁신과 전략 추진력을 대폭 강화했다. HD현대, 조직 안정 및 글로벌 전략 속도 HD현대는 지난 17일 정기선 회장의 취임 및 사장단 인사에 이어 불과 일주일 만에 후속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승진 및 발령 인원은 총 80명으로, 지난해(79명)와 유사하지만 승진 규모는 소폭 확대됐다. 세부적으로는 부사장 7명, 전무 20명, 상무 신규 53명이 임명됐다. 이 같은 신속한 인사 조치는 미국 등 해외사업 확대에 맞춰 실행력과 전문성을 입증한 인재를 전면 배치함으로써, 그룹 전반의 사업 조정과 대내외 불확실성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인사로 분석된다. HD현대 관계자는 “2025년 임원 인사를 통해 조직 안정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전 계열사 사장단이 참여하는 2026년 경영계획 전략회의를 12월 초 개최할 예정”이라며 “구체적인 실행 로드맵을 마련해 미래 전략 추진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코오롱그룹, 세대교체와 신사업 역량 강화 코오롱그룹은 이번 인사에서 총 31명을 승진·발령하며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방점을 찍었다. 주력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등 국내 5대 그룹의 자산이 최근 5년 새 445조원 가량 증가한 1588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5대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47개 그룹의 자산은 367조원 늘어난 1121조원에 그쳐, 5대 그룹으로의 자산쏠림이 더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별로 보면, 삼성, SK, 현대차가 자산 증가액 톱3 체제를 굳혔다. 반면, 교보생명보험, 부영, 두산 등 3곳은 자산이 축소됐다. 자산 외에 매출과 영업이익 등 실적 증가세도 5대 그룹이 47개 그룹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대차는 5년간 매출액이 100조원 이상 증가해 증가액 1위를 기록했고, 삼성과 SK도 매출이 큰 폭으로 늘었다. 반면, 태영·두산·DL·부영 등 6개 그룹은 지난해 매출액이 5년 전보다 줄어들며 역성장했다. 2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 중 2019년과 2024년 결산 기준 자산총액 비교가 가능한 52곳을 대상으로 자산 규모와 실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52개 그룹의 전체 자산규모는 2019년 1897조2869억원에서 2024년 2709조8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여성이 타조 등에 올라탄 모습을 담은 사진이 화제가 되었다. 해당 사진은 합성 기법을 활용해 여성의 얼굴이 타조의 얼굴로 바뀐 모습으로, 익살스러움과 신선함을 동시에 선사했다. 타조는 현존하는 조류 가운데 가장 크다. 수컷 타조 기준 신장 2.1~2.75m, 체중 100~150kg에 이르며, 암컷 역시 신장 1.75~1.9m, 체중 90~110kg이나 된다. 목의 길이만 해도 평균 1미터를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압도적인 몸집과 긴 목, 그리고 특유의 표정은 AI 합성 소재로도 최적의 조건을 제공한다. 실제로 국내 대형 목장 및 동물 체험농장에서는 타조를 포함한 15종 이상의 동물 체험이 이뤄진다. 대표적 체험농장 기준 연평균 방문객은 15만명 수준이며, 현장에서는 타조와의 기념사진 촬영 등 이색 경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MZ세대와 가족 단위 관광객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SNS상에서는 인간과 동물의 얼굴을 합성하는 새로운 놀이 문화가 심리적 경계의 해체와 이색적 즐거움을 동시에 제공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동물의 인간화’ 트렌드와 더불어, 기존의 사진 문화와 다른 디지털 세대의 독창적 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과학자들은 태양계 너머 우주에 존재하는 외계행성의 공식 확인 수가 6000개를 돌파했다고 NASA가 2025년 9월 발표했다. 이 성과는 첫 외계행성 발견 이후 30여 년 만에 급격한 탐사 속도와 우주망원경 등의 첨단기술 발전에 힘입은 것이다. 확인 대기 중인 후보 행성은 8000개 이상에 달해 앞으로 발견은 더 가속화될 전망이다. NASA 공식 발표, Science News, 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NASA JWST observations에 따르면, NASA의 NExScI 연구소(캘리포니아 공대 IPAC)는 "모든 별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다는 관측 하에 인류는 생명체 존재 여부라는 근본적 질문에 점차 다가가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올해 주목할 만한 발견 중 하나는 '떠돌이 행성' 차 1107-7626(Cha 1107-7626)이다. 카멜레온자리에서 620광년 떨어진 이 행성은 목성 질량의 5~10배에 이르며, 별에 속하지 않고 고립된 상태다. 놀랍게도 이 행성은 주변 가스와 먼지를 초당 60억톤의 속도로 흡수하는 기록적인 성장 급증을 보였다. 연구팀은 이 강착 현상이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2025년 9월 국내 수입 승용차 신규등록 대수가 3만2834대를 기록해 역대 월간 최고치를 경신했다. 10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이는 전년 동월 대비 32.2% 증가한 수치로, 2020년 12월의 3만1419대를 넘어선 기록이다. 3분기 누적 판매량 역시 22만5348대로 전년 동기 대비 15.7% 늘며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수입차 브랜드별 판매량에서는 미국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가 9069대로 3개월 연속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단일 모델 기준으로는 중형 SUV '모델Y'가 7383대, 롱레인지 모델까지 합산하면 8361대가 팔려 베스트셀링카 1위를 기록했다. 테슬라의 모델Y 판매량은 국산차 기아 쏘렌토(8978대)에 이어 국내 전체 차량 판매 2위에 해당하며, 현대 아반떼(7675대), 기아 카니발(6758대), 현대 그랜저(5398대) 등 인기 국산 모델 판매량도 뛰어넘는 수준이다. 테슬라에 이어 메르세데스-벤츠가 6904대, BMW가 6610대 판매됐으며, 아우디, 렉서스, 볼보, BYD 등이 뒤를 이었다. 차종별로는 벤츠 E클래스(3239대), BMW 5시리즈(2196대), BYD 씨라이언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CEO 사티아 나델라가 2019년 오픈AI에 10억 달러 투자를 제안했을 당시, 공동 창립자 빌 게이츠가 “그 10억 달러를 태워버릴 것”이라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던 사실이 뒤늦게 공개됐다. Fortune,Yahoo Finance, CNBC, The Register, BusinessChief에 따르면, 당시 오픈AI는 비영리 연구 기관으로, 마이크로소프트 내부에서도 이 거액 투자를 승인받는 과정이 결코 쉽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나델라는 기술 중심 유튜브 쇼 ‘TPBN’ 인터뷰에서 “이사회 승인을 받는 일이 필요했고, 빌 게이츠도 ‘네, 이 10억 달러를 태울 것’이라고 말했다”며 “하지만 우리는 약간의 위험 감수성을 가지고 과감히 시도하기로 했다”고 회고했다. 이 투자는 지금까지 130억 달러 이상으로 늘었고, 최근엔 오픈AI가 대규모 구조조정을 통해 공익법인(Public Benefit Corporation)으로 전환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지분 가치는 약 1350억 달러(약 177조원)로 평가되고 있다. 이는 오픈AI 전체 지분의 약 27%에 해당하는 규모다.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의 인연은 20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국내 건설 업계가 심각한 경영 위기에 직면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14일 발표한 ‘2024년 건설외감기업 경영실적 및 부실현황 분석’ 보고서에서 최근 5년간 지속 상승해온 이자보상배율 1 미만 건설사 비중이 지난해 44.2%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즉, 건설사 10곳 중 4곳 이상이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정상적인 채무 상환이 어렵고, 잠재적 ‘좀비 기업’ 상태에 놓였다는 의미다. 이 수치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와 맞먹는 수준이다. 특히 건설 외감기업의 이자 비용은 2024년 4조14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8.4%(6400억원) 증가했다. 고금리 지속과 함께 자금 조달 비용이 급증한 반면, 건설 경기는 부동산 침체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악재로 수익성이 크게 악화돼 이중고를 겪고 있다. 이자보상배율 악화로 건설사 순이익도 하락세를 이어갔으며, 지난해 건설외감기업 중 27.9%가 순손실을 기록했다. 이 위기는 단순한 금리 부담뿐 아니라 부동산 시장 전반의 구조적 문제와 맞물려 있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2025년 8월 기준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7584가구로 전월대비 1.9% 늘었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근 5년간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19년 이후 매년 배출량이 줄어 2024년 기준 4억1951만톤으로 집계돼 5년 만에 14.7% 줄어든 것. 하지만 2018년(국가 전체 7억8390만톤) 대비 2030년까지 40% 감축을 내세운 정부 목표를 고려하면 갈 길이 한참 멀다. 현재까지 감축률은 약 11.8%로, 지금 속도대로라면 2030년에도 20% 안팎에 머물러 목표치의 절반 수준에 불과할 전망이다. 국가 전체 배출량의 60% 이상이 여전히 대기업에서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산업구조 개선을 통한 실질적 감축에 한층 속도를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0월 14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매년 공시해 6개년 추이 비교가 가능한 201개사를 조사한 결과, 2024년 이들 기업의 총 배출량은 4억1951만톤이었다. 이는 2019년(4억9153만톤) 대비 14.7% 줄어든 수치다. 같은 기간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7억5940만톤에서 6억9158만톤으로 감소했으며, 이에 따라 201개 기업이 차지하는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대규모 인공지능(AI) 투자와 사업체질 혁신을 기반으로 역사적인 시가총액 4조 달러(약 5200조원)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CNBC, Reuters, Microsoft Investor Relations, Al Jazeera, Bloomberg, Yahoo Finance에 따르면, 10월 17일 종가 기준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는 513.58달러로, 회사 시가총액은 약 3.82조 달러에 달해 세계에서 두 번째로 4조 달러 클럽에 진입하려는 기업이 됐다. 단 한 개의 경쟁사인 엔비디아(Nvidia)와 함께 AI 시장을 이끄는 양대 주자로 부상한 모습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이러한 성장세는 AI 인프라 투자와 클라우드 사업의 폭발적 성장, 그리고 AI 혁신을 중심으로 한 조직 재편에서 비롯된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AI 관련 대규모 파트너십과 인수합병을 잇달아 체결하며 시장을 선도하는 중이다. 9월에는 5년간 약 174억 달러 규모의 네비어스(Nebius)와의 AI 인프라 계약을 맺어, 10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GPU칩을 전용으로 확보, AI 모델 학습과 개발에 필수적인 컴퓨팅 자원을 대거 증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