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코레일(한국철도공사) 간부가 딸의 전통혼례식에 부하 직원들을 ‘가마꾼’으로 동원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커지고 있다. 25일 SBS 보도에 따르면, 4월 19일 대전의 한 공원에서 코레일 본부장 A씨의 자녀 결혼식이 전통 혼례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A씨와 같은 부서 소속 직원 4명이 신부가 탄 꽃가마를 드는 ‘가마꾼’ 역할을 맡았다. 일부 직원들은 주차 안내, 스냅 촬영 등 다른 행사 업무에도 동원된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행사”라며 “좋은 뜻에서 함께한 일”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내부 직원들과 온라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 등에서는 “직원을 왜 사적인 행사에 동원하느냐”, “한국가마꾼공사냐” 등 비판이 쏟아졌다. 자발적 참여라는 해명이 나오기도 했지만, “상급자라면 오히려 만류했어야 한다”는 의견이 이어졌다. 직장갑질119 B노무사는 “본부장이 아니었다면 과연 자발적으로 할 사람이 있었겠느냐”며, 위계에 의한 참여 가능성을 지적했다. 철도노조 측도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며 "조직 내 위계적 문화가 여전함을 보여준다"고 꼬집었다. 코레일은 사장 주재로 긴급회의를 열고, 주요 경영진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쿠쿠 얼음정수기에서 검은색 이물질이 발견됐음에도 불구하고, 본사와 AS 담당자가 이를 제대로 확인하거나 성분 검사를 하지 않은 채 묵살로 대응해 소비자 불신과 분노가 커지고 있다. 2025년 4월 5일 경기도 소재 한 도시에 거주하는 소비자 A씨(남, 34세)가 얼음을 뽑는 과정에서 검은 이물질을 발견하고, 사진을 남긴 뒤 즉시 사용을 중단해 AS를 요청하면서 불거졌다. A씨는 "다른 정수기 브랜드와 달리 쿠쿠 정수기는 정수기 안에 검은색 때가 있어 청소했는데도 불구하고 계속 생겨 AS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후 현장에 방문한 AS기사는 위생장갑도 착용하지 않은 채 맨손으로 청소를 시도했고, 소비자가 이를 지적해 청소를 중단시킨 뒤 다시 고객센터에 문의했다. 이후 본사 지점에서는 “이물질이 나오거나 나오기 전에 고객이 직접 청소하라”는 안내와 함께, “나오더라도 인체에 무해한 카본(숯성분)일 수 있으니 먹어도 된다”는 답변을 내놨다. A씨는 "먼저 소비자가 정수기를 열어서 청소해보고, 그래도 안되면 AS를 부르라는게 말이 되는 소리냐"며 목소리를 높였다. 게다가 이물질의 성분 확인이나 공식 검사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와 같은 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화그룹의 경영권 승계와 대규모 유상증자를 둘러싼 논란이 국회에서 집중 조명됐다. 14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10간담회실에서 열린 ‘한화 경영권 승계 이대로 괜찮은가?’ 토론회에서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하 한화에어로)의 유상증자와 계열사 간 주식거래 등 최근 한화그룹의 행보가 재벌 대기업의 후진적 지배구조와 편법·탈법적 승계의 전형이라는 비판이 쏟아졌다. 이번 토론회는 국회의원 김성환, 박주민, 유동수, 김승원, 민병덕, 박상혁, 오기형, 이소영, 이정문 등 20여 명의 국회의원과 경제개혁연대, 참여연대가 공동 주최했다. 토론회는 한화그룹의 경영권 승계 문제를 중심으로 상법과 자본시장법 개정 등 재벌 대기업 지배구조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 한화그룹의 행태는 시장 불신의 근거, ‘주주 무시’와 ‘편법 승계’ 이창민 한양대 경영대학 교수는 발제에서 “한화의 대규모 유상증자와 계열사 간 주식거래는 시장의 불만이 표출된 것”이라며, “국내 증시 사상 최대 규모의 유상증자가 주주에게 불친절하게 이뤄졌고, 총수 일가의 이익을 위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합리적”이라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총수 일가가 유상증자에 할인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4년 기준 인천국제공항이 개항 이래 처음으로 국제공항협의회(ACI) 기준 국제선 여객 세계 3대 공항에 진입했다. 국제선 여객수 7066만명을 기록하며 아랍에미리트 두바이(9233만명), 영국 런던 히스로(7919만명)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4위는 싱가포르 창이공항(6706만명), 5위는 암스테르담 스키폴공항(6682만명) 등 전통적인 허브공항을 제친 기록이다. 6위는 프랑스 파라의 샤를드골 공항, 7위는 튀르키예의 이스탄불 공항, 8위는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공항, 9위는 홍콩 공항, 10위는 카타르 도하의 하마드 공항이 차지했다. 중국 공항은 국제선 여객 상위 5위권에 포함되지 않았다. 상하이 푸동(PVG)이 전체 여객 기준에서는 10위(7678만명)였으나, 국제선 여객 기준 1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인천공항은 2023년 7위에서 2024년 3위로 도약했다. 기존에 가장 높았던 순위는 지난 2018년과 2019년에 기록한 세계 5위로, 인천공항은 가파른 여객 증가세를 바탕으로 6년 만에 2계단 상승하며 세계 3위를 기록하게 됐다. 특히 인천공항 여객실적은 2023년 5576만3768명에서 지난해 26.7% 증가하며 국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2025년 부활절은 4월 20일(일요일)이다. 왜 이날이 부활절일까? 부활절 날짜는 왜 매년 달라지는 것일까? 1. 부활절은 언제? 어떻게? 부활절은 춘분(3월 21일) 이후 첫 보름달(만월, Paschal Full Moon)이 지난 뒤 첫 일요일로 정해지기 때문이다. 이 규칙은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공식화된 것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이 유대인의 유월절(첫 봄 만월 이후)과 연관되어 있어서다. 부활절 날짜는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공식적으로 정해졌으며, 이는 기독교가 유대교와 구분되는 독자적인 절기를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즉 2025년에는 춘분(교회 기준 3월 21일) 이후 첫 만월이 4월 12일에 발생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 은행 및 뱅킹 앱은 ‘토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이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토스는 지난 3월 2408만명의 사용자를 기록하며 국내 뱅킹 앱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확고히 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00만명이 증가한 수치다. 2위를 차지한 카카오뱅크는 1835만명의 사용자를 보유했으며, 전통적인 은행 중에서는 KB국민은행의 ‘KB스타뱅킹’이 1289만 명으로 3위에 올랐다. 4위는 신한은행의 신한SOL뱅크 847만명, 5위는 우리은행의 우리WON뱅킹 761만명, 6위는 NH농협은행의 NH스마트뱅킹 656만명, 7위는 하나은행의 하나원큐 632만명, 8위는 농협중앙회의 NH콕뱅크 573만명, 9위는 케이뱅크 462만명, 10위는 NH농협은행의 NH올원뱅크 431만명 순이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대부분의 뱅킹 앱이 전년 대비 사용자 수 증가를 보였다는 것이다. 토스가 300만명으로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고, 카카오뱅크(159만명), KB스타뱅킹과 NH올원뱅크(각 90만명), 하나원큐(65만명) 순으로 사용자가 증가했다. 그 뒤를 이어 케이뱅크 53만명, 신한SO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 24평(전용면적 55~60㎡) 아파트의 실거래가가 최근 10년간 평균 2배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통계(2025년 4월 16일 기준)에 따르면, 2015년 대비 2025년 서울 전역의 24평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0%~250% 가까이 상승했다. 서초구는 2015년 6억8325만원이었던 24평 아파트 평균 실거래가가 2025년 21억6795만원으로 217% 급등했다. 강남구(205%), 송파구(183%)도 각각 20억7977만원, 15억1827만원으로 3배 가까이 가격이 올랐다. 마포구(217%), 성동구(196%), 용산구(192%) 등 인기 도심권도 200% 안팎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강동구, 동작구, 영등포구, 양천구 등도 150~190%대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종로구는 2015년 3억5670만원에서 2025년 12억5887만원으로 253% 오르며 서울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은평구, 강북구, 구로구, 노원구, 중랑구, 금천구, 도봉구 등 서울 외곽 및 중저가 지역도 100% 이상 가격이 올랐다. 도봉구는 2억5512만원에서 5억3649만원으로 110% 상승했다. 부동산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차기 대선을 앞두고 주요 후보들의 거주 아파트가 유권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후보들의 부동산 자산은 단순한 재산 공개를 넘어, 각자의 삶의 방식과 가치관, 그리고 정책적 시각까지 드러내는 창이다. 이재명, 김동연, 김문수, 홍준표, 한동훈, 이준석 등 여야 주요 대선후보 6인의 거주 아파트 현황과 특징을 심층 분석했다. ◆ 이재명, 분당 1기 신도시 ‘양지마을 금호1단지’…재건축 호재로 시세 급등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는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에 위치한 ‘양지마을 금호1단지’ 전용 164㎡ 아파트를 부인 김혜경 씨와 공동명의로 보유하고 있다. 이 아파트는 1992년 입주를 시작해 재건축 연한을 넘긴 상태로, 최근 1기 신도시 재건축 선도지구로 지정되며 시세가 크게 뛰었다. 2024년 12월 기준 동일 면적이 27억5000만원에 거래돼 신고가를 기록했다. 이재명 후보가 1998년 3억6600만원에 매입한 이 아파트는 약 24억원의 시세차익을 거둘 수 있는 ‘재건축 대박’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분당선, 중앙공원, 초등학교 인접 등 입지 프리미엄도 두드러진다. ◆ 김문수, 관악구 ‘은천2단지’…검소함 드러내는 중저가 실용형 선택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장의사업 전문기업 보람상조개발(대표이사 오준오, 이창우)이 지난해 매출은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36%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말 기준 부채비율 역시 전년(2063%) 대비 대폭 개선돼 666%지만 여전히 위험한 수준이다. 이외에도 영업이익·순이익 감소와 현금성자산 축소, 누적 결손 등 구조적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지난해 소송가액만 90억원에 이르는 무려 11건의 소송이 진행중이다. 심지어 소송과 관련해 보유 중인 보통예금 일부가 압류된 상태다. 보람상조개발의 2024년 매출은 1209억원으로 전년(1011억원) 대비 19.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은 81.5억원으로, 전년(128억원) 대비 36.2% 감소했다. 당기순이익도 160.6억원으로 전년(181억원) 대비 11.4% 줄었다. 영업이익률은 6.7%로, 전년(12.6%) 대비 5.9%p 하락했다. 2024년 판매비와 관리비는 1127억7790만원으로 전년(883억8912만원) 대비 27.6% 증가했다. 이 중 광고선전비는 13억9800만원으로 전년 24억1055만원, 대비 42.1% 감소했다. 급여는 256억3687만원으로 전년 20
[News Space=Reporter seungwon lee] Amway Korea (CEO Shin Eun-ja) saw a slight decrease in sales last year, while its operating profit and net profit decreased significantly. In particular, despite the decrease in profits over the past three years, it paid out a whopping dividend of over 200 billion won. In addition, Amway India is being accused of ‘pyramid fraud’ and ‘creation of criminal proceeds’. As this is an incident in an Asian country, it is expected to have an impact on countries in the Asia-Pacific region, including Korea. According to the audit report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