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현재의 과도한 AI투자 거품이 닷컴 버블 붕괴나 2008년 서브프라임 위기보다도 더 큰 시스템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0월 4일(현지시간) 금융 분석가들과 글로벌 기술 리더들이 인공지능(AI) 투자 거품에 강력한 경고음을 내고 있다. MacroStrategy Partnership, 골드만삭스, 런던 셀우드 매니지먼트, TS Lombard, KeyBanc, 스탠퍼드 AI 지수, 로이터, CNBC, Fortune, Investopedia에 따르면, UBS 출신 줄리앙 가란(MacroStrategy Partnership)은 이번 주 연구에서 현재 AI 거품이 닷컴 버블의 17배, 2008년 부동산 서브프라임 위기의 4배 규모라고 분석했다. 이는 19세기 경제학자 크누트 빅셀 이론을 활용해 지난 10년간 저금리가 야기한 자본의 과잉 배분을 평가한 결과다. 골드만삭스 데이비드 솔로몬 CEO는 10월 3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테크 위크에서 12~24개월 내 시장 조정 가능성을 예고하며, 닷컴 버블과 유사한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경고했다. 솔로몬은 “많은 자본이 수익을 내지 못하고 시장에 충격을 줄 것”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세계 인공지능(AI) 산업의 중심에 선 오픈AI(OpenAI)가 최근 5000억 달러(약 700조원) 평가를 받으며 글로벌 비상장 기업 중 최대 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폭등한 밸류에이션을 두고 월가에서는 ‘AI 거품론’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오픈AI 기업가치, 1년 새 3배 급등…직원 지분매각 통해 실질 검증 블룸버그(Bloomberg), 로이터(Reuters), CNBC, 월스트리트저널(WSJ), Investing.com, Sacra, VisualCapitalis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오픈AI는 최근 진행한 현·전직 직원 지분 매각으로 기업가치가 5000억 달러(약 700조원)까지 상승했다. 이번 매각에서 투자사들은 Thrive Capital, 소프트뱅크(SoftBank), 아부다비의 MGX, T. Rowe Price 등이 포함됐고, 전체 매각 규모는 약 66억 달러에 달했다. 작년 10월 1570억 달러, 올해 3월 3000억 달러였던 가치가 1년 만에 3배 넘게 폭등한 셈이다. 이번 거래는 신규 투자 유치가 아닌, 직원 보유지분의 유동화(secondary 거래) 성격이었다는 점에서 “내부 신뢰 신호”와 함께, 여전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가 2025년 10월 4일(현지시간) 공개한 36초 분량의 영상에서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 지도자와 함께 쿵푸 동작을 연습하며 놀라운 균형 감각과 동적 움직임 능력을 선보였다. teslarati, Humanoids Daily, Humanoid Robotics Technology, Drive Tesla Canada, tandardbots.com, TrendForce에 따르면, 이번 시연에서 옵티머스는 원격 조종 없이 온보드 AI를 통해 실시간으로 반응해 블록, 킥, 전투 자세 등의 무술 동작을 자연스럽게 펼쳐 이전에 사람이 조작하던 초기 시연과 달리 독자적 학습 능력을 갖추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옵티머스는 인간 스파링 파트너로부터 밀려도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고, 예측과 적응이 필요한 복합 동작을 수행해 AI 기반 제어와 센서 데이터 실시간 처리의 기술 진보를 드러냈다. 머스크는 X(구 트위터)에서 옵티머스를 ‘테슬라의 가장 중요한 제품 중 하나’로 평가하며, AI 소프트웨어 부사장 아쇼크 엘루스와미는 자동차 자율주행 AI와 옵티머스 로봇 AI 모델의 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테슬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10월 둘째 주 천문학 애호가들에게는 역사적인 한 주가 될 전망이다. 10월 5일 밤부터 6일 새벽까지 토성의 가장 큰 위성 타이탄이 토성의 구름 위로 그림자를 드리우는 ‘그림자 통과(Shadow Transit)’ 현상이 올해 최종으로 관측된다. 이 그림자 통과 현상은 토성의 자전축 기울기(약 27도)와 공전 주기(29.5년)에 따라 약 15년 주기로 일어나며, 올해 사건 이후에는 2038년 8월부터 다시 시작되어 2040년까지 다음 관측 기회가 없다. Astronomy.com, Astronomy Now, Space.com, Zwicky Transient Facility 공식 발표, Madison Astro, NASASpaceNews에 따르면, 이번 타이탄 그림자 통과는 10월 5일 오후 9시 25분(미국 동부시간 기준)부터 시작되어 10월 6일 오전 12시 26분에 그림자가 토성 원반에 나타난다. 그림자는 토성 북극 부근을 가로지르는 어두운 발자국 형태로 나타나며, 약 2시간 동안 이동하여 10월 6일 오전 2시 45분경 종료된다. 망원경으로 관측하려면 8인치(약 20cm) 이상의 구경에 200배 이상의 배율이 필요하다. 이 현상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최근 미국인 10명 중 9명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KEI)가 여론조사기관 유고브(YouGov)에 의뢰해 9월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산 제품 관세 인상을 지지하는 미국인은 단 10%에 불과했다. 반면, 현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과 관세를 낮추어야 한다는 의견이 각각 33%씩으로, 총 66%가 관세 인상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보호무역주의 정책과는 현저한 온도차를 보여주는 결과다. 주요 교역국별로 보면 중국(26%), 멕시코(18%), 캐나다(15%), 유럽연합(14%), 일본(12%)에 대한 관세 인상 지지율보다 한국에 대한 지지율(10%)이 가장 낮았다. 한미 경제관계에 대한 미국 내 긍정적 인식도 뚜렷했다. 응답자의 68%는 한국과의 교역이 미국 경제에 이롭다고 평가했으며, 62%는 한국의 대미 직접투자에 대해 긍정적 시각을 유지했다. 또한, 26%는 한미 교역 규모를 현 수준보다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다. 문화적으로도 한국의 영향력이 주목 받았는데, 60% 이상이 K-팝, 영화, 음식 등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이번 주 지구 인근을 연이어 스쳐 지나간 두 개의 소행성과 최근 밝혀진 소행성대 질량 감소 연구 결과가 우리 태양계 내 급변하는 우주 환경을 짚어준다. 지구와 가까이 접근한 소행성은 2025년 10월 3일과 4일 각각 44피트와 100피트 크기로 안전 거리를 유지했지만, 이들의 빠른 접근은 지구 방어 체계 강화 필요성을 환기시킨다. livescience, Julio Fernández et al., arXiv, Gizmodo, ISRO, NASA, ESA, JAXA 연구자료에 따르면, 첫 번째 소행성 2025 TC는 10월 3일 지구로부터 약 5만3300마일(약 8만5000킬로미터) 떨어진 거리를 통과했다. 이는 달까지 거리의 약 4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근접 거리다. 크기 44피트(약 13.5미터)에 달하는 이 소행성은 시속 3만6128마일(약 5만8100킬로미터)로 이동하며, 지구 궤도를 자주 가로지르는 아텐(Aten) 군 소행성으로 분류된다. 다음 날인 10월 4일에는 비행기 크기인 약 100피트(30미터) 소행성 2025 SZ27가 지구로부터 약 73만4000마일(약 118만 킬로미터) 거리를 지나갔다. 이 소행성 역시 시속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본 산업계 대기업 히타치 주식회사의 주가가 10% 넘게 폭등하며 4300엔으로 마감했다. 이는 4월 이후 최대 일일 상승폭으로, 10월 2일 오픈AI와 체결한 AI 데이터센터 인프라 공급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발표가 호재로 작용했다. Bloomberg, FinancialContent, ScanX Trade, Nikkei Asian Review, Reuters에 따르면, 이번 협약을 통해 히타치는 전력 분배 설비 및 고성능 냉각 시스템을 오픈AI 데이터센터에 공급하게 되며, 이는 빠르게 확장 중인 글로벌 AI 인프라를 지원하는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이번 파트너십은 AI 산업이 직면한 전력 소비 및 발열 문제 해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업계 보고서에 따르면, 대형 AI 모델 하나가 연간 미국 가정 120가구가 소모하는 전력량과 맞먹는 전력을 필요로 해 데이터센터 전력 및 냉각 인프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히타치는 액체 냉각 기술과 재생에너지 통합 솔루션을 제공해 이러한 환경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할 계획이다. 이에 대한 대가로 오픈AI는 자사 대형 언어 모델을 히타치의 Lumada 디지털 플랫폼에 접목, 에너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 Co., Ltd.)가 미국에서 7500만명 이상의 갤럭시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코인베이스 글로벌(Coinbase Global, Inc.)의 프리미엄 암호화폐 구독 서비스 ‘코인베이스 원(Coinbase One)’을 삼성 월렛(Samsung Wallet)을 통해 독점 제공한다고 2025년 10월 3일 공식 발표했다. Blockworks, Cointelegraph, Bitcoin Magazine, CoinDesk, 코인센트럴에 따르면, 이번 협력은 삼성 기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암호화폐 서비스 중 가장 큰 규모의 소비자 유통 파트너십으로, 디지털 자산의 대중적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된다. 코인베이스 원은 월 구독료 29.99달러에 거래 수수료 면제, 스테이킹 보상 강화, 최대 25만 달러 무단 이체 보호, 우선 고객 지원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삼성 갤럭시 사용자들은 삼성 월렛 앱 내에서 별도의 앱 다운로드나 로그인 과정 없이 원스톱으로 다양한 암호화폐 거래와 결제가 가능하며, 신규 가입자에게는 3개월 무료 구독과 첫 거래 시 25달러 크레딧까지 지급된다. 특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베이징의 칭화대학교가 글로벌 컴퓨터과학 학술기관 평가인 'CS랭킹'에서 세계 1위에 올랐다. 이로써 중국의 '기술 굴기' 정책이 실질적 성과를 낸 것으로 평가받는다. South China Morning Post(SCMP), chinai.substack.com에 따르면, CS랭킹은 컴퓨터과학 분야 최우수 학회 논문 발표 실적을 기준으로 삼는 권위 있는 평가로, 그동안 미국 카네기멜론대가 독보적 1위를 유지해왔다. 최근 언론 보도와 현황에 따르면 칭화대가 카네기멜론대를 바짝 추격하며 1위 자리를 꿰찼다는 분석이다. 현재 CS랭킹 공식 데이터 상으로는 카네기멜론대가 20.5점으로 1위, 칭화대가 17.1점으로 2위에 올라 있으나, 여러 보도에서 칭화대가 근래 1위로 등극한 점을 볼 때 순위 변동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상위 10위권 내 중국 대학의 약진은 두드러진다. 칭화대 외에도 2위는 카네기멜론대, 3위는 MIT, 4위는 스탠퍼드대, 5위는 UC버클리대가 차지했다. 하지만 칭와대(1위)와 함께 베이징대(6위), 상하이교통대(7위), 저장대(19위) 등이 포함되어 미국 중심의 CS학계 구도에 균열이 생기고 있다. 과거에는 미국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넷플릭스가 2025년 10월 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워크(woke)’ 콘텐츠 비판과 이에 따른 구독 취소 독려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CNBC, 포브스, 야후 파이낸스, 유로뉴스, 데드라인, 비즈니스 인사이더, CBS 크로니클에 따르면, 머스크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Dead End: Paranormal Park)’에서 트랜스젠더 주인공이 등장해 어린이들에게 친(親)트랜스젠더 사상을 심어준다고 주장하며 구독 취소 캠페인을 강하게 펼쳤다. 이에 따라 넷플릭스 주가는 1주당 4% 이상 하락했고, 시가총액은 150억 달러가량 증발하는 등 금융시장에서 큰 충격을 받은 상태다. 머스크의 구독 취소 독려와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 논란 머스크는 2025년 9월 30일부터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X(옛 트위터)를 통해 최소 26회 이상 넷플릭스 구독 취소를 촉구하는 글을 올렸다. 특히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라는 7세 이상 시청 가능 등급의 아동용 애니메이션에서 주인공 바니가 스스로 트랜스젠더임을 밝히는 장면을 문제 삼았다. 머스크는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