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버크셔 해서웨이가 2025년 2분기 동안 애플 주식 2000만주를 추가 매도한 사실이 8월 15일(현지시각) 공개 규제서류를 통해 확인됐다. 그 결과 버크셔의 애플 보유량은 2억8000만주로 줄었으며 평가액은 약 640억 달러에 달한다. 이번 매각에도 불구하고 애플은 여전히 버크셔 최초의 단일 투자처이며, 전체 주식 포트폴리오의 22%를 차지한다. 버핏, 기록적인 현금 보유량 속에서 애플 주식 2000만주 추가 매각, 왜? 9to5mac, Stocktwits, Benzinga 등의 보도에 따르면, 워렌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2025년 2분기 동안 2000만주를 매각하며 애플 지분을 다시 한번 줄였지만, 여전히 이 회사의 가장 열렬한 지지자로서의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버핏이 애플 CEO 팀 쿡의 리더십을 계속 칭찬하면서도 현금 축적을 향한 버크셔의 전략적 전환의 최신 장을 의미한다. 전략적 현금 축적, 사상 최대치 경신 버핏 회장의 최근 행보는 단순한 포트폴리오 조정 그 이상이다. 버크셔는 2025년 2분기 말, 사상 최대인 3440억 달러(약 460조원)의 현금을 보유해 고점 현금 축적 시대를 맞고 있다. 202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세계 전기차 시장을 주도해온 테슬라가 2025년 여름, 최근 수개월간 연이어 제기된 집단소송의 거센 파장 속에서 법적·윤리적 신뢰를 동시에 시험받고 있다. aol, topclassactions, classaction.org, peoplemattersglobal.com, bryanschwartzlaw.com 등의 보도에 따르면, 주주집단의 증권사기 소송부터 전직 직원들의 인종차별 및 부정행위 고발, 그리고 소비자 개인정보 침해 논란까지 각종 소송이 동시다발적으로 불거지며 경영진과 투자자들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리스크 지형을 마주하고 있다. 증권사기 혐의…자율주행 기술 ‘과장’ 논란 올해 8월 4일, 테슬라와 일론 머스크 CEO를 상대로 미 연방법원에 증권사기 혐의 집단소송이 제기됐다. 원고는 테슬라가 자율주행 기술(Full Self-Driving)의 성능과 상용화 전망을 "반복적으로 과장"해 투자자들에게 허위 신뢰를 줬고, 이로 인해 주가가 부풀려졌다고 주장했다. 해당 소송은 2025년 6월 진행된 자율주행 테스트가 시장 기대에 크게 못 미쳤던 점과, 지난 2019년 오토파일럿 모드 중이던 차량에 의한 사망사고에 대해 테슬라가 부분적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블록체인 산업이 월스트리트의 인사 러시로 한층 뜨거워지고 있다. Mysten Labs 공식 블로그 발표와 The Trade News, Holder News, AMINA Group Research 등의 자료에 따르면, 최근 골드만삭스의 전 아메리카 디지털 자산 책임자 무스타파 알 니아마가 블록체인 기술 기업 미스텐 랩스(Mysten Labs)에 글로벌 자본시장 책임자로 합류하며, 전통 금융과 디지털 자산 산업의 경계를 허무는 대형 인사 이동이 이뤄졌다. 규제 명확성 속 '전략적 타이밍'…GENIUS Act 통과가 배경 이번 인사는 미국 의회의 GENIUS Act 통과로, 미국 금융 시스템에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위한 법적 프레임워크가 마련된 시점에서 이뤄졌다. 해당 법안은 블록체인 및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규제 명확성을 제고하며, 기관 투자자와 대형 금융사들의 블록체인 도입 본격화 움직임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Kevin Boon 미스텐 랩스 사장은 "알 니아마는 대중에게 DeFi 활용을 확산시키는 선구자"라며 "주요 금융기관에서 업계 혁신을 적극 주도해온 인물"로 평가했다. 실제 알 니아마는 CFTC(미국상품선물거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오픈AI가 GPT-5 대형 언어 모델 출시 일주일 만에 성격 업데이트를 단행했다. “더 따뜻하고 친근한” 톤을 적용한 이번 변화는 글로벌 사용자들의 대대적인 불만을 바탕으로 촉발됐다. 2025년 8월 7일 출시 당시 GPT-5는 기존 모델에 비해 지나치게 격식적이며, "로봇처럼 차갑다"는 평이 쏟아졌다. CNBC, Mashable, The Register, Platformer 등 다수 해외 매체에 따르면 레딧(Reddit) 등 커뮤니티 게시판에는 “차가운 기업적 어조가 답답했다”, “GPT-4o와의 정서적 유대감이 사라졌다”는 목소리가 매우 강하게 퍼졌다. 오픈AI의 CEO 샘 올트먼은 즉각적인 대응을 선택했다. 그는 소셜미디어와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는 모델 성격의 개별 맞춤화 필요성을 절감했다”며 “사용자들의 AI 모델에 대한 감정적 애착이 기존 기술 제품과는 비교불가 수준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실제 오픈AI는 기자들과의 저녁 식사 약 1시간 전 대규모 톤 업데이트를 모델에 적용하는 등 일련의 신속 조치를 취했다. 수치로 보는 변화: ‘GPT-5 vs. GPT-4o’ 그리고 사용률·지원 정책 기존 모델(GPT-4o) 접근 차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스페이스X가 8월 24일(미국 중부 표준시 18시 30분) 텍사스 스타베이스에서 초대형 로켓 ‘스타십’의 10번째 시험비행을 단행한다고 발표했다. 스페이스X 공식 발표를 비롯해 Aviation Week, Space.com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발사는 올해만 네 번째로, 최근 연이은 실패와 NASA 달 탐사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일정을 둘러싼 압박 속에 이뤄진다는 점에서 글로벌 우주산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잇따른 실패 딛고 다시 도전…Block 2 신형 시스템 투입 스페이스X는 최근 두 차례 시험 실패를 철저히 분석, 신뢰성 강화를 위한 하드웨어와 운용 프로세스 변경을 단행했다. 5월 27일 Flight 9에서는 스타십 상단이 우주에서 분해되는 사고가 났고, Flight 10의 기존 기체였던 Ship 36은 6월 18일 정적 점화 시험 중 폭발해 인프라까지 손상됐다. 조사 결과를 반영해, 이번 10차 시험에는 최신 Block 2 변형 모델인 Booster 16과 Ship 37이 투입된다. 첫 위성 ‘실물급 페이로드’ 배치 실험…차세대 운용 시험 주목 이번 시험의 가장 큰 실험은 스타십 상단에서 8개의 스타링크 위성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8월 15일(현지 시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미국 알래스카 앵커리지 엘먼도프–리처드슨 합동기지에 마련된 서늘한 레드카펫 위에서 역사적인 정상회담을 시작했다. 이날 회담은 우크라이나 전쟁의 종전 논의와 미러 양국의 관계 정상화라는 중대한 의제를 다루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식 심리전'이 극적으로 연출됐다. B-2, F-35 전투기가 푸틴 머리 위로…F-22 랩터까지 도열 정상회담이 시작되자,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나란히 레드카펫을 걷는 순간 하늘에서는 2대의 B-2 스텔스 전략폭격기와 4대의 F-35 라이트닝 II 전투기가 굉음을 내면서 저공 비행을 펼쳤다. B-2는 1997년 도입 이후 단 21대만 미국 내 운용 중인 세계 최강 스텔스 전략폭격기로, 최대 1만8000kg의 무장(핵폭탄 포함)을 탑재할 수 있고, 작전반경이 1만1000km에 이른다. F-35 라이트닝 II는 첨단 스텔스 성능에 다목적 장비로 미 공군력의 핵심을 담당한다. 지상에는 4대의 F-22 랩터가 도열해 정상들의 이동 경로를 장식했다. F-22는 미국의 동맹국에도 판매를 중단한 최첨단 스텔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몸에서 나는 땀에 반응해 체온 조절을 위해 자동으로 두께를 조절하는 겨울 재킷 기술이 개발됐다. TechXplore, Yahoo News, ITC 등의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난징항공우주대학교 연구진(책임자 리슈창)은 땀에 반응해 자동으로 두께가 변하는 혁신적인 겨울 재킷을 개발하며, 기존 체온 관리 한계를 극복하는 해법을 제시했다. 이 기술은 최근 국제 학술지 ‘Science Advances’에 발표됐다. 핵심 기술과 수치적 성과 이 재킷의 충전재는 박테리아 셀룰로오스 멤브레인을 사용한다. 이 멤브레인은 저온 건조 상태에서는 13밀리미터 두께로 최대 단열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땀을 흘려 습도가 상승하면 두께가 2밀리미터까지 극적으로 얇아져 열이 효과적으로 빠져나가 과열을 방지한다. 실제 실험에 따르면 이 멤브레인 기술을 활용한 의류는 기존 겨울 의류 대비 체온조절 능력을 82.8%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0개 주요 도시에서 평균 7.5시간 동안 ‘열 스트레스 없는 구간’을 연장해주는 효과가 검증됐다. 이는 야외에서 장시간 근무하는 환경미화원, 택배원, 경찰관 등에게 매우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픈AI가 "박사급 전문가 수준"이라고 자부하며 지난 8월 7일 출시한 최신 AI 모델 'GPT-5'가 기본적인 지명과 인명 표기에서 반복적인 철자 오류를 범하며 글로벌 IT 업계와 이용자들의 비판에 직면했다. GPT-5는 첫 공개와 동시에 업계의 높은 관심을 받았지만, 출시 하루 만에 CNN, 로이터 등의 주요 매체에서 지도 작성 및 단순 업무 수행에서 잦은 실수를 내놓았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GPT-5는 미국 테네시주(Tennessee)를 ‘토네시주’, 미시시피주(Mississippi)를 ‘미시시포주’로 오기하는 등 미국 50개 주 이름과 주요 인물 이름을 연이어 잘못 표기했다. 역사적 인물 조지 워싱턴(George Washington)은 ‘기어지 워싱지언’, 토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은 ‘토머슨 제퍼슨’으로 표기되었고, 지도 제작 요청 시에는 ‘캘리포니아(California)’를 ‘칼포히아’, ‘아이다호(Idaho)’를 ‘1오아호’처럼 부정확하게 나타냈다. 이 같은 오류들은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커뮤니티로 급속 확산돼 조롱과 비난 여론으로 번졌고, GPT-4o로의 복귀를 요구하는 온라인 청원 운동마저 등장했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심정지 사건 발생은 요일과 명절·공휴일 등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월요일과 일요일, 그리고 각종 휴일에서 위험이 크게 높아지는 경향을 드러냈다. 질병관리청·서울신문·국립보건연구원·PMC(BMJ)·ScienceDirect 등의 연구결과와 해외보도를 취합해 심정지 사건 발생과 요일별, 계절별 연관성을 알아봤다. 부산대·서울대 공동연구팀이 질병관리청 자료(2015~2019년 전국 ‘병원 밖 심정지’ 8만9164건)를 분석한 결과, 월요일과 일요일의 심정지 발생 위험은 기준일인 수요일보다 각각 1.9%, 1.5% 높았다. 나머지 요일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팀은 “월요일이 됐을 때 기대와 현실의 괴리, 주말 동안 흐트러진 생체리듬, 갑작스러운 업무 시작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심정지 위험을 높인다”고 설명한다. 일요일 역시 '늦잠·폭음'을 비롯한 생활 리듬 변화가 부담으로 작용한다. 명절·공휴일, ‘휴일 심장 증후군’ 휴일에는 평일 대비 최소 6%, 일반 공휴일 평균 9.9%로 심정지 위험이 급등한다. 크리스마스가 9.6%로 가장 높고, 설날 8.2%, 새해 첫날/추석 각 6% 순이었다. ‘휴일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80주년 올해 광복절 당일에도 일본 순시선이 독도 인근 해상에 출몰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광복절 오전에 독도를 방문한 울릉군민이 울릉도로 돌아가는 배안에서 사진을 찍어 제보를 해 줘서 알게 됐다"고 밝혔다. 일본은 독도 인근 해역이 자국 배타적경제수역(EEZ)에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순찰을 이유로 순시선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독도 인근 해역은 아직 한일 간 EEZ 경계 획정이 안 된 상태다. 일본 순시선의 독도 인근 해역 출몰 건수를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7년 80회, 2018년 84회, 2019년 100회, 2020년 83회, 2021년 78회, 2022년 84회 등이다. 이에 대해 서경덕 교수는 "일본 순시선의 출몰에 대해 우리 정부는 앞으로 더 적극적이고 단호한 대응을 해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우리 국민은 독도의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여 실효적 지배를 강화할 수 있도록 꾸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