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시 소각장에서 하루에 태우는 쓰레기만 2200~2850톤에 이른다. 이미 이 수치는 임계치를 넘은 수준이다. 서울시의 4개 소각장 처리 여력을 넘는 1000톤 내외의 잉여 폐기물은 현재 인천의 수도권매립지로 옮겨 매립하고 있다는 점이다.
2026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전면 금지 정책이 시행될 경우, 서울시 내 소각장 신규·증설이 필수가 될 전망이다.
현재 서울시에서 하루 3000톤가까이 되는 생활폐기물을 소각 처리하는 광역 자원회수시설은 총 4곳(강남, 마포, 노원, 양천)이다.

시설별 공식 처리량 기준으로는 강남 900톤, 마포 750톤, 노원 800톤, 양천 400톤 등 총 2850톤/일의 설계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나, 실제 운영 과정에서는 가동률 및 정비 등 현장 상황에 따라 일평균 실처리량은 2200~2300톤 수준으로 집계된다.
서울시와 환경부 공식자료에 따르면 “소각 처리 비중은 서울시 전체 생활폐기물(2025년 기준 약 3200톤/일) 중 약 70~75%가 시내 4개 광역소각장에서 처리되고 있으며, 나머지는 재활용·매립 등 타 지역으로 이송된다”고 알려졌다.
게다가 4개 기존 소각장의 평균 가동연수는 20년이 넘어, 노후화 및 성능 저하 문제가 심각해 추가 설비 확충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2026년을 목표로 신규 소각장 입지가 마포구 상암동으로 최종 선정되어, 2026년 일일 1000톤 처리능력의 최신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기존 마포시설(750톤)은 2035년까지 단계적으로 폐쇄될 계획이다.
소각장 입지 선정에는 '님비(NIMBY)' 현상이 극심하게 나타나, 후보지 36곳 중 상암동이 1위로 선정됐으나 인근 주민과 지역 정치권, 환경단체 등의 격렬한 반대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는 새 소각장을 지하화(언더그라운드) 시설로 설계하고, 최첨단 환경안전 시스템과 주민편익시설(랜드마크) 건설, 1200억원 재정 지원 등 다양한 대책을 병행해 설득에 나섰다.
서울시 내 25개 자치구 중 소각장이 없는 20개 구도 대부분 타지역(4개 광역소각장)에 의존 중이다. 환경전문가들은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자치구별 혹은 권역별 신규 시설 도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해외 주요 도시(도쿄, 덴마크 코펜하겐 등)와 마찬가지로, 미래에는 소각장 위에 문화·관광 복합단지를 결합하는 친환경·지능형 대형화 정책이 대세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