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최근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에서 진행된 3학년 강의 ‘자연어 처리(NLP)와 챗GPT’ 중간고사에서 약 600명 수강생 중 190명(약 3분의 1)이 집단 부정행위에 연루됐다는 사실이 학내외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적발된 학생들은 챗GPT 등 생성형 AI를 부정행위 도구로 사용한 정황이 밝혀져, 부정행위에 연관된 학생들의 점수가 모두 ‘0점’ 처리됐다. 시험은 온라인으로 객관식 문제로 치러졌으며 응시자들은 시험 시간 내내 컴퓨터 화면과 얼굴이 보이는 영상을 제출하도록 요구받았다. 그럼에도 일부 학생들은 영상 촬영 각도 조절, 여러 프로그램 화면 동시 사용 등의 방법으로 AI를 활용한 커닝이 적발됐다. 학생 자율 투표에서는 353명 중 190명이 커닝했다고 밝혔으며, 상당수가 AI를 활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사태는 AI 성능이 급격히 고도화되면서 전통적인 교육 및 평가 방식의 한계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대학가에서는 AI 윤리 및 활용 정책이 성능향상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 실정이며, 이에 교육과 평가 방식을 재설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내외 대학들은 AI를 부정행위로 금지하는 초기 입장에 이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2025년 11월 13일 시행 예정인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9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교육부는 수험생들이 꼭 지켜야 할 유의사항을 상세히 안내했다. 올 수능에서는 시험장 내 모든 전자기기 반입이 엄격히 금지되며, 예비소집일에 반드시 수험표를 지참해야 한다. 또한, 4교시인 한국사 영역은 필수 응시 과목으로, 미응시 시 시험 전체가 무효 처리됨에 따라 수험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부, 공공데이터포털, 각종 학술·교육기관 통계 및 분석자료를 종합해 2026학년도 수능과 수능에 숨겨진 이야기와 흥미로운 사실들을 알아봤다. 모든 전자기기 반입 금지 전자기기 반입 금지 조치는 휴대전화, 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 들어 한국·미국·일본·대만 4개국 10대 기업의 시가총액 증가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 기업의 시총 증가율이 103.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두산에너빌리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SK하이닉스, HD현대중공업, 삼성전자 등 5개 기업의 시총 증가율은 100%를 넘었다. 미국의 시총 증가율은 20.9%로 4개국 중 가장 낮았지만, 상위 10개사 시총은 모두 1000조원을 넘었다. 미국 1위 엔비디아의 시총은 삼성전자의 11배에 달했다. 대만 TSMC의 시총도 1801조원대로 삼성전자의 3배에 달했고, 한국 10대 기업 시총을 모두 합친 것보다 250조원정도 많았다. 11월 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올들어 지난 10월말까지 한국과 미국, 일본, 대만 등 4개국의 시총 상위 10개 종목의 시총 증가율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761.9조원에서 1552.5조원으로 103.8%에 달했다. 한국 기업 가운데 시총 증가율이 가장 큰 곳은 두산에너빌리티로 나타났다. 두산에너빌리티의 시총은 지난해 말 11.2조원에서 지난 10월말 56.8조원으로 405.4%나 급증했다. 이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239.2%), SK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의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가 2025년 10월 27일 자사 GPU와 양자컴퓨터(QPU)를 연결하는 혁신적 시스템 'NVQLink'를 공식 발표했다. CNBC, Bloomberg, 톰스하드웨어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양자컴퓨터의 양자비트 오류를 고속으로 보정하고, GPU 기반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와 실시간 연동해 두 첨단 컴퓨팅 기술의 결합을 가속화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한다. 또한, 엔비디아 CEO 젠슨 황은 같은 기간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에 AI 반도체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한국 시장에서의 영향력 강화와 AI 산업 생태계 구축에 본격 나섰다. NVQLink는 양자컴퓨터의 오류 정정과 양자-클래식 연산 통합에 필수인 고속, 저지연(약 4마이크로초)의 GPU-양자 상호연결 기술로, 17개 양자컴퓨터 스타트업과 미국 에너지부 산하 9개 국립연구소와 협력해 개발됐다. 기존에는 FPGAs나 ASICs를 통해 처리하던 양자비트 오류수정 작업을 GPU가 담당함으로써 확장성과 유연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이를 통해 양자컴퓨터가 더 안정적으로 작동하며, AI와 양자컴퓨팅의 협업 시너지가 극대화될 전망이다. 에너지부와 협력해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태국 금융·보안 규제 당국이 미국 오픈AI 샘 올트먼 CEO가 주도하는 ‘월드(World)’ 프로젝트의 홍채 스캔 거점을 대대적으로 단속했다. PANewsLab, Coinlaw, Biometric update, MEXC에 따르면, 2025년 10월 23일 이뤄진 이번 합동 급습은 방콕 전역에서 월드의 생체정보 수집 ‘Orb’ 장치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102개의 현장을 겨냥했다. 태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사이버범죄수사국(CCIB)은 “무허가 암호화폐 거래소 및 토큰 교환 서비스 제공”을 표적으로 삼아 현장에서 수명을 체포했으며, 월드의 WLD 토큰 배포 구조가 전격적인 규제 대상에 올랐다. 월드 홍채 인증 시스템, 10만명 넘는 현지 인증자…“무허가 영업, 태국법 정면 위반” 월드는 사용자가 공 모양의 ‘Orb’ 장치에 홍채를 스캔하면 디지털 신원 확인과 함께 자체 암호화폐인 WLD 토큰을 지급하는 구조다. 하지만 태국 SEC와 CCIB는 해당 서비스가 2018년 제정된 ‘디지털자산 비상령(Emergency Decree on Digital Asset Businesses)’ 3조와 26조를 위반한 ‘무허가 금융서비스’임을 확인했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대한중대재해예방협회(회장 정상민)가 올해 산업현장을 뒤흔든 주요 사건과 정책 변화를 담은 ‘2025 중대재해·안전 7대 뉴스’를 20일 발표했다. 협회는 올해 가장 큰 충격을 준 사건으로 아리셀 리튬배터리 폭발 참사(사망 23명)를 꼽았다. 또 국내 10대 건설사 5년간 113명 사망, 중대재해처벌법 첫 온열질환 유죄 판결 등을 주요 이슈로 선정했다. 정상민 협회장은 “올해는 안전관리의 전환점이자 한계가 동시에 드러난 해였다”며 “특히 하청·이주노동자 중심의 사망사고는 구조적 문제가 여전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아리셀 리튬배터리 폭발 참사와 하청·이주노동자 안전 사각지대 지난 4월 화성 아리셀 공장에서 발생한 리튬배터리 폭발로 23명이 숨졌다. 희생자 대부분은 외국인 하청노동자였다. 비상구 미설치 등 기본 안전시설조차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피해가 커졌다. 협회는 “글로벌 공급망 시대에도 하청·이주노동자의 안전권은 여전히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기업은 위험을 하도급 구조로 떠넘기지 말고 기본 안전권 보장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또한 “언어·문화 장벽을 넘는 맞춤형 안전교육과 투명한 통계 공개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이재명 정부는 출범 이후 세 차례의 부동산 대책을 내놓았다. 6·27 대책으로 대출 규제를 강화하며 집값 안정 기대를 모았으나, 불과 두 달 뒤 발표한 9·7 대책에 대규모 경기부양 조치가 포함되며 집값 상승세가 나타났다. 이어 한 달 후 발표한 10·15 대책은 규제지역 확대와 주택담보대출 제한을 포함했지만, 국지적땜질식 조치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더불어 규제지역 내 고가 아파트를 고위공직자들이 갭투자 등으로 매입한 사실이 드러나며 ‘내로남불’ 논란까지 확산되었다. 이로 인해 정부 부동산 정책의 진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경실련은 2025년 11월 4일 국회의원 부동산재산 전수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내로남불 논란을 넘어, 신뢰받을 수 있는 부동산 정책 수립을 위해 고위공직자의 실사용 외 부동산 매매 금지 등 입법 필요성을 제기하고,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근본적 부동산 대책을 촉구하는 자리로서 의미를 지닌다. 경실련의 분석 결과, 국회의원 신고 부동산재산 평균은 5억원으로, 국민 평균 4.2억원의 4.68배이다. 상위 10명은 1인당 165.8억원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고, 여기에는 박정 더불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캐럴라인 레빗 미 백악관 대변인이 2025년 10월 29일 한미정상회담 직후 본인의 인스타그램을 통해 한국 화장품, 특히 마스크팩과 아이크림 등 K-뷰티 제품 쇼핑 인증 사진을 올려 화제가 되고 있다. 레빗 대변인은 지난해 27세의 최연소 나이로 백악관 대변인에 임명된 인물이다. 호텔 침대 위에 가지런히 늘어놓은 뒤 찍은 것으로 보이는 사진에는 메디힐 마스크팩 3종과 조선미녀 클렌징오일을 비롯해 메디큐브, 토리든, VT코스메틱 등 국내 화장품 브랜드명이 드러난 제품이 담겼다. 노출된 제품들의 회사명(브랜드)를 살펴보면, 에이피알(메디큐브), 구다이글로벌(조선미녀), 엘앤피코스메틱(메디힐), 토리든 (토리든), 브이티(VT코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메타플랫폼스(Meta Platforms Inc.)가 위험 관리 및 규정 준수 부서의 인간 직원을 대거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으로 교체하며, 기술 업계의 ‘효율 우선’ 트렌드를 실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CNBC, NYT, Business Insider, India Today, Techbuzz, AI Track, People Matters, Fox Business, McKinsey에 따르면, 이번 인력 구조조정은 2019년 페이스북이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에 50억 달러의 역대 최대벌금을 납부한 후 도입된 FTC 준수 부서까지 포함해, 연방규제기관이 의무화한 고위험 데이터 감독 체계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는 움직임이다. 메타의 최고 규정 준수 및 개인정보보호 책임자인 미셸 프로티(Michel Protti)는 내부 메모에서 “수동 검토에서 자동화 프로세스로 이동해 일상적인 결정은 기술로 효율적으로 처리 가능하다”고 밝혔으며, 실제 감축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런던 오피스를 중심으로 글로벌 위험 관리팀 100여 명의 직책이 직접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메타는 이번 구조조정에서 AI 기반 위험 평가 시스템이 제품 업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최대 금융사 JP모건 체이스(이하 JPMorgan)의 최신 분석에 따르면, 특별히 선정된 30개의 인공지능(AI) 관련 주식들이 지난 1년 간 미국 가구에 약 5조 달러(한화 약 7120조원)에 달하는 부의 증가를 만들어냈다. 이는 미국 증시의 핵심 지수인 S&P 500의 전체 시가총액의 44%에 해당하는 규모로, AI 주식의 가치 상승이 미국 경제에서 소비 확대와 성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Business Inside, FinancialContent, Axios, Fortune, Benzinga에 따르면, JP모건의 수석 연구원 Abiel Reinhart와 Michael Ferol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들 AI 주식의 급격한 가격 상승으로 인해 미국 가계의 연간 소비지출은 약 1800억 달러(약 246조원) 늘어날 전망이며, 이는 전체 소비의 0.9%에 해당한다. 이처럼 제한된 수의 AI 관련 기업이 시장 가치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게 되면서 AI 중심의 기술 주식이 소비시장 전반을 활성화하고 있는 것이다. AI 부문 주식 중에는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알파벳, 메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