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역사적인 ‘아르테미스 II(Artemis II)’ 달 궤도 유인우주선 임무 참가자 등록을 시작했다. NASA 공식 홈페이지, Space.com, NPR, National Geographic, India Today에 따르면, 이번 캠페인인 ‘아르테미스 II와 함께 이름 보내기(Send Your Name with Artemis II)’는 2026년 1월 21일까지 무료로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이름이 저장된 디지털 메모리 카드를 달 궤도 비행을 수행하는 오리온 우주선에 실어 보낸다. 참가자들은 임무 참여를 기념하는 디지털 탑승권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번 계획은 50년 만에 인간을 달 궤도 근처로 보내는 첫 유인 우주 임무인 만큼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아르테미스 II 임무는 NASA의 장기 달 탐사 계획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의 두 번째 비행이자, 오리온 우주선의 첫 유인 비행이다. 4명의 우주비행사가 미국 플로리다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SLS(우주 발사 시스템) 로켓을 타고 약 10일간 지구에서 약 25만 마일 떨어진 달을 한 바퀴 도는 자유 반환 궤도를 비행한다. 임무 수행 중 우주비행사들은 오리온 우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2025년 9월 8일(현지시간)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Las Megas’ 행사에서 차세대 에너지 저장 시스템인 ‘메가팩 3(Megapack 3)’와 ‘메가블록(Megablock)’을 공개하며, 설치 시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통한 에너지 저장 사업 재도약을 노리고 있다. Solar Power World, PV Magazine USA, Teslarati, Drive Tesla Canada, Wood Mackenzie, Market Report Analytics, Energy Storage News, Fortune Business Insights에 따르면, 메가팩 3는 기존 메가팩 2XL(3.9MWh) 대비 약 28% 증가한 5MWh의 단일 유닛 저장 용량을 제공하며, 열관리 구역을 78% 간소화해 신뢰성과 유지보수를 개선했다. 각각의 메가팩 3 유닛은 약 39톤(8만6000파운드) 무게로 글로벌 운송이 가능하고, 미국, 동남아시아, 중국에서 공급받은 배터리 셀을 사용한다. 영하 40도에서 영상 60도까지 극한 온도에서의 작동이 가능하며, 25년 이상 약 1만 사이클을 견디는 내구성을 갖췄다. 더 획기적인 제품인 메가블록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엔비디아(Nvidia)의 젠슨 황 CEO가 오는 9월 1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영국 국빈 방문에 동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CNBC, 스카이뉴스 등 복수의 해외 매체 보도를 통해 확인됐다. 이번 방문에는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블랙스톤의 스티븐 슈워츠먼 CEO, 그리고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CEO 등 미 주요 IT‧금융 기업 수장들이 대거 포함됐다. 애플의 팀 쿡 CEO 역시 참석이 예상된다. 젠슨 황 CEO는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급속도로 친밀한 관계를 구축하며, 엔비디아가 직면한 지정학적 리스크를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올 4월 미국 정부의 중국향 AI 반도체 H20 모델 수출 금지 조치 이후, 황 CEO는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다수 차례 만나 협상을 진행했다. 그 결과, 엔비디아는 중국 매출의 약 15%를 미국 정부에 수수료로 납부하는 조건 하에 수출 재개 허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엔비디아는 이 H20 칩이 1분기 기준 약 25억 달러(약 3조원) 상당의 매출 손실을 불러왔으며, 45억 달러어치 재고를 평가절하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브로드컴의 맞춤형 AI 칩이 입지를 넓히면서 엔비디아가 120억 달러 규모의 위협에 직면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CNBC, Reuters, Financial Times, Benzinga, WSJ 등의 보도에 따르면, Citi의 애널리스트 Atif Malik은 최근 브로드컴(Broadcom)의 맞춤형 XPU(확장 프로세싱 유닛) 채택 가속화와 대규모 신규 고객(업계에서는 오픈AI로 추정)이 맞물리며, 엔비디아가 향후 약 120억 달러에 달하는 GPU 매출을 잃을 수 있다는 경고와 함께 목표주가를 기존 $210에서 $200으로 조정했다. 브로드컴은 최근 실적 발표에서 새로운 4번째 대형 고객으로부터 100억 달러 규모의 XPU 맞춤형 AI 칩 주문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해당 고객은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으나, 미국 경제지들을 포함한 다수 뉴스를 종합하면 오픈AI가 유력하다. 기존 구글, 메타, 바이트댄스와의 협력에 더해 초대형 고객 확보로 AI 칩 시장에서 XPU 중심의 ‘맞춤형 실리콘’ 공급이 본격 시동을 걸었다는 평가다. 브로드컴의 혹 탄 CEO는 2026년 AI 칩 매출이 62억 달러에 달하며 전년 대비 66% 급성장할 것으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의 점유율이 8월 기준 38%로 떨어지며, 2017년 10월 모델 3 대량 생산 개시 이후 처음으로 40% 이하로 하락했다. CNBC, Cox Automotive, Cleantechnica, CBT News, Investors.com, Reuters, S&P Global에 따르면, 한때 80%를 넘던 점유율이 반토막 난 것은 경쟁사들의 공격적인 신모델 출시와 가격 인센티브 확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7월에 미국 내 신규 EV 판매량이 전월 대비 24% 급증해 12만8268대를 기록했는데, 이는 9월 말 종료되는 연방 세액 공제(7500달러)와 할인 혜택 영향이 컸다. 테슬라는 매출이 7% 증가한 5만3816대를 판매했으나, 시장 성장률 14% 대비는 둔화됐다. 현대자동차, 폭스바겐, 혼다, 토요타 등이 신모델 출시 및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으로 전기차 판매량을 60%~120%까지 늘리면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폭스바겐의 경우, 7월에 무료 고속 충전 등 매력적 리스 조건을 무기로 전월 대비 판매량이 450% 이상 증가하는 등 경쟁이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테슬라의 점유율 하락은 저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최근 독특한 금색 외관과 업그레이드된 설계를 갖춘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2.5’를 공개하며 로봇 사업에 대한 미래 비전을 다시 한 번 점화했다. Carboncredits.com, CNBC, The Information, Digital Watch Observatory, Wevolver, Ainvest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CEO는 9월 6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X에서 이번 공개 로봇이 기대를 모은 버전 3이 아닌 2.5임을 명확히 하면서, 공식적인 옵티머스 V3는 11월 예정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공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옵티머스 2.5는 기존 제품 대비 인체공학적 디자인 개선과 함께 손가락 22자유도에 이르는 정교한 조작 능력을 갖췄다. 액추에이터는 팔뚝 쪽에 위치해 케이블로 손가락을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 인간 손의 움직임을 본뜬 점이 큰 기술 진보로 평가된다. 또한 테슬라의 AI 어시스턴트 ‘Grok’을 탑재해 음성 대화 기능을 지원하지만, 느린 반응 속도는 일부 비판을 받기도 했다. 세일즈포스 CEO 마크 베니오프가 공개한 영상은 이러한 대화 시연과 함께 로봇이 음성명령에 따라 부엌으로 안내하는 모습을 담아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의 저명 작가 그레이디 헨드릭스(Grady Hendrix)와 제니퍼 로버슨(Jennifer Roberson)이 애플을 상대로 연방법원에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Reuters, NYT, Wired, LinkedIn, Engadget, 9to5Mac, Brusselstimes, The Verge등이 보도한 소장에 따르면, 애플은 Apple Intelligence에서 사용되는 OpenELM 대규모 언어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Books3 데이터셋을 활용했다. Books3는 19만6000여 권의 도서가 포함된 불법 복제본 데이터셋으로, Bibliotik 등 이른바 '섀도우 라이브러리'에서 수집된 것으로 드러났다. 작가들은 자신들의 책이 무단으로 AI 훈련에 사용됐고, 애플이 아무런 허락이나 금전적 보상, 저작자 표시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헨드릭스의 'My Best Friend's Exorcism', 로버슨의 'Sword-Bound' 등 대표 작품 역시 AI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것으로 판명됐다. 원고 측은 애플의 AI가 저작권 침해와 시장 가치를 희석했다는 점도 강조하며, 해당 소송을 집단 소송으로 확대해 수천명의 피해 작가를 대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2025년 9월 초 미국에서 ‘기업용 슈퍼차저(Supercharger for Business)’ 프로그램을 공식 출시하며, 기업들이 자사 부지에 슈퍼차저를 직접 구매·설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였다. Teslarati, Notateslaapp, EcofactorTech, Electrek에 따르면, 기존에 테슬라가 직접 투자·운영했던 7만여개 이상의 슈퍼차저 인프라를 이제는 기업 고객이 소유하게 하면서 테슬라가 운영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구조다. 프로그램 도입 조건으로는 최소 4개 이상의 슈퍼차저 스톨(충전 공간)을 구매해야 하며, 테슬라는 24시간 7일 운전자 지원과 예방적 유지보수, 네트워크 운영을 포함하는 풀 서비스 패키지를 제공한다. 특히 97%에 달하는 업계 최고 수준의 가동률을 보장하며, 이는 테슬라 글로벌 네트워크의 신뢰도를 동일하게 유지한다. 충전기는 최신 V4 모델로, 최대 8개 스톨/캐비닛 당 설치가 가능하며 최고 충전 속도는 250kW에 달한다. 또한 모든 전기차에 호환된다. 기업 입장에서는 충전 요금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 자체 수익 모델 설계가 가능하다. 테슬라의 검증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챗GPT 개발업체 오픈AI가 내년부터 브로드컴과 협력해 자체 AI 칩을 생산한다는 소식에 9월 5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와 브로드컴 주가가 극과 극의 반응을 보였다. 오픈AI의 독자 칩 생산이 AI 반도체 시장의 패권 구조에 변화를 예고하면서 투자자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5일 뉴욕 증시에서 브로드컴 주가는 9.4% 급등한 334.89달러를 기록하며 시가총액 1조5750억 달러로 치솟았다. 반면, AI 칩 시장을 장악해 온 엔비디아는 2.9% 하락해 166.65달러로 떨어져 8월 최고가 대비 약 9% 낮은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AMD 역시 6.6% 급락하며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이번 협력은 오픈AI가 2023년부터 브로드컴과 손잡고 자체 AI 모델 훈련과 운영에 특화된 맞춤형 칩을 공동 설계해 왔으며, 2026년 중 본격 생산에 들어갈 계획임이 복수의 소식통과 로이터, 파이낸셜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CNBC, 블룸버그 등의 보도를 통해 확인됐다. 브로드컴의 호크 탄 CEO는 실적 발표에서 이 대형 주문의 고객사명을 밝히지 않았으나, 업계는 100억 달러 규모 주문의 발주처가 오픈AI라고 보고 있다. 이 칩은 주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 유비테크(UBTech)가 9월 3일(현지시간) 중국 내 선도기업과 2억5000만 위안(약 3500만 달러) 규모의 단일 휴머노이드 로봇 수주 계약을 체결하며 업계 최대 규모의 계약 기록을 경신했다. CNBC, Shenzhen Daily, Gasgoo, 36Kr, Metal.com, Robotics and Automation Magazine 등에 따르면, 이번 계약은 유비테크의 차세대 산업용 휴머노이드 로봇인 Walker S2를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올해부터 순차적으로 납품이 시작될 예정이다. 이로써 유비테크의 워커 시리즈 누적 계약액은 약 4억 위안에 육박하며,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이 연구개발 단계를 넘어 실질적 기업 도입 단계에 진입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 Walker S2는 혁신적인 '핫스왑 가능 자율 배터리 시스템'을 탑재해 24시간 365일 연속 가동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 1.7m 높이의 로봇은 듀얼 배터리 시스템을 통해 한쪽 배터리가 소모되면 자동으로 교체해 가동을 멈추지 않으며, 실시간 전력 모니터링과 동적 에너지 밸런싱 시스템을 갖춰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