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올해 8월 22일 우리은행에서 24억2280만원 규모의 금융사고가 또다시 발생했다.
이번 사고는 기업시설대출을 받은 외부인이 담보로 설정된 기계 및 기구를 임의 매각하면서 은행의 담보권이 훼손된 사건으로, 사고 기간은 2023년 3월부터 2025년 5월까지로 공시됐으나, 최근에는 ‘발생 시점 미상’으로 정정됐다. 은행 측은 수사 의뢰를 통해 정확한 시점 규명에 나섰으며, 올해 4월경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이번 금융사고는 지난 6월 인도네시아 현지법인(우리소다라은행)에서 무려 1078억원 규모의 대형 금융사고가 적발된 지 불과 두 달 만에 재차 발생한 것이다. 이로써 우리은행은 단기간 내 두 건의 대형 금융사고에 연달아 휘말리는 불명예를 안게 됐다.
은행 측은 “해당 외부인을 수사기관에 고소하고, 매각 가능한 담보물을 처리해 손실 금액을 회수할 예정”이라며 "은행 직원이 연루된 정황은 없었다"고 밝혔다.
올 들어 1000억원 육박…잇따르는 시중은행 금융사고 ‘적신호’
우리은행뿐 아니라 국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0억원 이상 대규모 금융사고는 올해 16건, 누적 피해액은 952억341만원에 달한다. 하나은행 6건(536억3601만원), KB국민은행 6건(157억2047만원), NH농협은행 2건(221억5072만원), 신한은행 2건(37억521만원) 등이다. 토스뱅크(27억8600만원), SC제일은행(130억3100만원) 등 인터넷전문·외국계 은행 사례를 더하면 피해 규모는 더욱 커진다.
주요 사고 유형은 대출 담보물 사기, 외부인의 사기, 내부 직원의 횡령·배임 등 다양하다. 특히 은행 내부관리 시스템의 허점을 노린 사건들이 반복되고 있어, 실질적인 내부통제 강화와 시스템 개선에 대한 금융권 전반의 자성 목소리가 크다.
관리체계 취약, 금융사고 ‘악순환’
금융업계 관계자는 “외부인이 수십억원대 담보물을 임의 처분할 때까지 은행이 이를 파악하지 못했던 것 자체가 관리 부실을 입증하는 것”이라며, 단기간 수천억대와 수십억원대 사고가 잇따른 점을 들어 “은행 관리체계의 구조적 취약성을 방증한다”고 꼬집었다.
전문가들은 반복되는 초대형 금융사고 문제의 근본 원인을 선제적 리스크 점검 미흡, 형식적인 서류관리, 담보 실물관리 임의화, 이상징후 자동탐지 시스템 미비 등으로 지목한다.
은행들은 사고 발생 후 뒷북 대응에 그칠 것이 아니라, AI 기반 실시간 리스크 점검, 담보물 실태조사 강화, 상시 리스크점검팀 신설 등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신뢰 회복이 가능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글로벌 비교와 조치 방향
최근 싱가포르, 영국 등 주요국 은행들은 실물담보 주기적 현장점검과 AI 이상거래 조기탐지 등 내부통제 시스템을 고도화해, 대형 금융사고 발생 건수와 피해액을 5년 새 70% 이상 줄인 바 있다.
국내 은행들도 단순 서류 점검을 넘어 담보 실물에 대한 정기적 체크, AI 신기술 도입, 사고 발생 시 자동이력감사 시스템 등 입체적 리스크 체계 혁신 없이는 사고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어렵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