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조직 쇄신을 위해 임원 100여 명 중 절반 이상을 교체하는 초강수 혁신안을 발표했다.
이번 혁신안은 ▲계열사 대표 및 임원 50% 이상 교체 ▲책무구조 조기 도입으로 대표이사에 대한 문책 강화 ▲수의계약 원칙적 금지 ▲향후 5년간 108조원 규모의 ‘생산적·포용금융’ 지원 확대 등이 핵심 내용이다. 그러나 금융권 내부에서는 강 회장이 1억원대 뇌물수수 혐의로 수사 대상에 오른 ‘사법 리스크’를 안고 있는 상황에서 쇄신안이 국면 전환용 ‘꼬리 자르기’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특히 강 회장 취임 후 요직을 차지한 ‘친강(親姜)’ 라인 금융 계열사 CEO들마저 이번 임원 교체 태풍에 휩쓸릴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내부 긴장은 고조되고 있다. 강 회장의 최측근이자 입지가 탄탄할 것으로 예상됐던 강태영 NH농협은행장은 올해 4월 257억원 규모 부당대출 사고와 금융사고로 인해 부정적 기류에 놓여 있다. 농협중앙회의 쇄신안에 포함된 ‘내부통제 강화’와 ‘책무구조도 도입’이 과거 금융사고 사례에 소급 적용될지도 관전 포인트다.
내년 3월 임기 만료를 앞둔 윤병운 NH투자증권 대표와 임정수 NH농협리츠운용 대표의 거취도 이번 인사안에 따라 관심이 집중된다. 윤병운 대표는 IB(기업금융) 부문과 리테일 부문의 고른 성과로 무난한 연임 전망이 나오지만, 강호동 회장의 사법 리스크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미지수다. 임정수 대표 역시 부동산 경기 불확실성 속 견고한 실적을 유지해왔다.
금융권 관계자는 “사법 리스크로 거취가 불분명한 수장이 책임감을 지지 않는 상황에서 아랫사람들만 고통 분담을 강요받는 모양새”라며 “리더십 정당성이 흔들리는 가운데 나온 개혁안의 실효성에 의문이 든다”고 전했다.
강호동 회장은 지난해 1월 농협중앙회장 선거 과정에서 농협 계열사 거래 관계에 있는 용역업체 대표로부터 1억원 규모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서울경찰청 반부패수사대에서 수사를 받고 있다. 경찰은 강 회장의 집무실 등을 압수수색하며 강도 높은 수사를 진행 중이며, 최근 강 회장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를 내렸다. 이 사건은 그가 당선이 유력할 때 발생한 것으로, 농협 내부와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집중 질타를 받은 바 있다.
이번 강 회장의 임원 교체 및 조직 쇄신은 농협 내부의 ‘친강’ 권력 재편뿐 아니라, 농협금융 전반에 걸친 신뢰 회복과 경영 투명성 강화를 위한 중대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