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스페이스X의 드래곤 우주선이 국제우주정거장(ISS)의 궤도 고도를 올리는 역사적인 첫 실작동 테스트에 성공하며, 상업 우주선이 ISS 궤도 유지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음을 공식 입증했다. NASA 공식 블로그, Space.com, The Register, NASA.gov, TechCrunch, Politico에 따르면, 2025년 9월 3일(현지시간), NASA의 33번째 상업 보급 임무에 참여한 드래곤 화물선은 트렁크에 장착된 두 개의 드라코 엔진을 5분 3초 동안 점화해 ISS의 최저 궤도 고도를 약 1마일(1.6km) 상승시켰다. 이 결과 ISS는 지구로부터 약 260.9 x 256.3마일(419.9 x 412km) 궤도에 자리하게 됐다. 이번 성공은 그간 ISS 궤도 상승 임무를 거의 독점해온 러시아 프로그레스 우주선과 더불어, 최근 일부 역할을 맡고 있는 노스럽 그러먼의 시그너스 화물선에 대한 상업적 대안이 될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러시아는 2028년 경 ISS 파트너십에서 철수할 계획을 밝힌 상황에서, 미국과 NASA는 스페이스X와 노스럽 그러먼 차량을 통한 궤도 유지 능력 확보에 전략적 집중을 하고 있다. 특히 드래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우주과학 연구진이 구글 딥마인드(Google DeepMind)의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중력파 검출기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중력파가 별의 폭발, 블랙홀 병합, 중성자별 충돌 등 거대 우주 사건을 관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지진·바람·온도 등 다양한 외부 요인과 제어 시스템 잡음이 신호 감지에 방해가 돼 왔다. 이번 AI 기반 제어기술은 그러한 잡음을 기존보다 최대 100분의 1로 크게 줄여 관측 민감도와 정확성을 대폭 향상시켰다. 중력파 검출기 라이고(LIGO)는 레이저 간섭계 기반으로 4km 길이의 진공 터널 내부 양 끝에 설치된 거울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해 중력파를 관측한다. 기존 제어 시스템은 거울 위치 제어 시 발생하는 잡음 때문에 10~30헤르츠(Hz) 저주파 대역에서 신호 탐지에 한계가 있었고 특히 중간 질량 블랙홀이나 중성자별 충돌 초기 신호를 선명히 감지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연구진은 강화학습 기반 AI 기법인 ‘딥 루프 셰이핑(Deep Loop Shaping)’을 도입해 라이고 거울의 위치 제어를 최적화했다. AI는 자체 시뮬레이션을 반복하며 잡음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학습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위성 인터넷 프로젝트인 ‘프로젝트 카이퍼(Project Kuiper)’가 미국 저가 항공사 제트블루와 첫 고객 계약을 체결하며 항공 분야 시장 진입에 성공했다. 아마존은 2027년부터 제트블루가 보유한 항공기 약 4분의 1에 카이퍼 위성 기반 인플라이트 와이파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프로젝트 카이퍼는 현재까지 102기의 위성을 저궤도에 발사했으며,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의 일정에 따라 2026년 7월 말까지 위성 1600기, 2029년까지 총 3236기의 위성을 궤도에 배치하는 목표를 추진 중이다. 서비스 상용화는 2025년 말 또는 2026년 초 시험 테스트를 시작으로 이루어질 예정이다. 카이퍼 위성단말은 최대 1G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항공기 내에서 고속 인터넷 환경을 제공한다는 것이 아마존 측 설명이다. 이는 현재 시장을 선도하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Starlink, 약 8000기의 위성 운용) 대비 속도 측면에서 경쟁 우위를 점할 전망이다. 한편,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 서비스는 이미 에어프랑스, 카타르항공, 유나이티드항공 등 대형 항공사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아마존이 최근 자사의 위성 인터넷 프로젝트인 ‘프로젝트 카이퍼(Project Kuiper)’가 테스트 중 다운로드 속도 1기가비트(Gbps)를 넘겼다고 발표하며 위성 인터넷 분야에서 중요한 기술적 진전을 이루었다. PCMag, Heise, About Amazon, MarketsandMarkets, GeekWire에 따르면, 이번 시연에서 프로젝트 카이퍼는 Ookla의 Speedtest를 통해 최대 1,289 Mbps(1.29 Gbps)의 다운로드 속도를 기록해 초고속 우주 인터넷 서비스 가능성을 입증했다. 라지브 바디알(Project Kuiper 기술 부문 부사장)은 링크드인을 통해 “우리가 알기로는, 저궤도 위성에서 1 Gbps 이상의 속도를 제공하는 상업용 위상배열(phased array) 안테나는 카이퍼가 최초”라고 밝히며 이번 성과가 엔터프라이즈용 고객 터미널(19×30인치 크기)을 통해 이루어진 점을 강조했다. 이는 기업 고객용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겨냥한 것으로, 가정용 또는 일반 고객용 터미널은 최대 400 Mbps 속도를 목표로 한다. 프로젝트 카이퍼는 최종적으로 3,236기의 위성으로 구성된 거대한 저지구궤도(L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브룩헤이븐(Brookhaven) 국립 연구소의 1000톤 규모 대형 입자 검출기 sPHENIX가 최근 진행된 ‘표준 촉광(standard candle)’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하며, 빅뱅 직후 극한 환경에서 존재했던 쿼크-글루온 플라즈마(QGP)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MIT News, Gizmodo, Sciencesprings, scienmag, ATLAS등에 따르면, 이는 검출기의 정밀성과 속도를 입증하는 중요한 이정표로, 초기 우주의 신비로운 원시 물질을 해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음을 과학계에 알렸다. 이번 3주간의 시험에서는 브룩헤이븐의 고에너지 핵 물리 연구시설인 RHIC(상대론적 중이온 충돌기)에서 거의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가속된 금 이온을 충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전 입자의 수와 에너지를 측정했다. sPHENIX는 특히 충돌의 ‘정면 충돌(head-on collision)’ 여부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정면 충돌에서는 스쳐 지나가는 충돌보다 10배 많은 하전 입자가 10배 더 높은 에너지로 방출되는 현상을 정확히 포착했다. 이는 검출기가 설계대로 극한 환경에서도 입자 데이터를 정확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태양 플레어 내 입자들이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약 6.5배나 더 높은 온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 세인트앤드루스 대학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태양 플레어의 이온이 6000만 도 이상까지 가열될 수 있음을 보여주어, 태양의 외부 대기에서 통상 관찰되던 1000만 도보다 훨씬 강력한 폭발적 에너지 방출 현상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전기점이 다. University of St Andrews,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의 발표와 Phys.org, Innovation News Network, SSB Crack News 등 국내외 과학 뉴스 보도에 따르면, 태양 플레어는 태양 대기에서 갑작스럽게 거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으로, 이때 태양 대기의 플라즈마를 구성하는 이온과 전자가 높은 온도로 가열된다. 기존의 태양물리학에서는 이온과 전자가 거의 동일한 온도를 공유하는 것으로 가정해 왔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주도한 알렉산더 러셀 박사는 "자기 재결합(magnetic reconnection)"이라는 메커니즘을 통해 이온이 전자보다 최대 6.5배 더 뜨겁게 가열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냈다. 이 현상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국제 천문학자 70명으로 구성된 연구진은 우리은하 근처의 금속 함량이 낮은 왜소은하인 소마젤란운에서, 질량이 태양의 15배에서 60배에 이르는 초거대 O형 별의 70% 이상이 동반자 별과 중력적으로 결합된 쌍성계임을 발견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 저널 『네이처 애스트로노미(Nature Astronomy)』 2025년 9월호에 게재됐으며, 이러한 비율은 금속 함량이 풍부한 우리은하 내 초거대 별들과 거의 동일해 별 형성과 진화 이론에 중요한 통찰을 제시한다. Nature Astronomy, Phys.org, ICC Barcelona, SpaceDaily에 따르면, 3개월간 유럽 남반구 천문대(ESO)의 초거대 망원경(VLT)과 다중 별을 한 번에 관측 가능한 FLAMES 분광기를 활용해 139개의 O형 별들을 9차례 관측한 결과 이들의 속도에서 가속과 감속 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는 중력적으로 결합된 동반성의 존재를 의미한다. 이처럼 소마젤란운은 우주 탄생 초기, 대략 수십억 년 전의 낮은 금속 환경을 재현하여 초기 우주 별들의 진화를 들여다보는 ‘우주 타임머신’ 역할을 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한다. 암스테르담 대학의 공동 저자 줄리아 보덴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중국 베이징 항공우주 연구 및 훈련 센터의 연구진이 우주에서 최소한의 물과 세제 없이 우주비행사의 의류를 세탁할 수 있는 세탁기를 개발해 전 세계 우주 기술 경쟁에 새로운 화두를 던지고 있다. SCMP, Yahoo News, NASA, Economic Times, Frontiers in Space Technologies에 따르면, 이 세탁기는 정육면체 모양으로 무게가 12kg이며, 휴대용 여행가방 정도의 크기다. 한 번 작동에 400ml의 물만을 사용해 최대 800g의 의류를 세탁할 수 있는데, 기존 지상 세탁에 비해 물 사용량이 75%나 절감된다. 이 물은 초음파 분무 기술을 통해 초미세 안개로 의류에 분사되어 세정효율을 높인다. 기존 세제 대신 자외선으로 오존을 생성하는데, 이 오존은 강력한 살균제로 세탁물을 최대 다섯 번까지 착용 가능하도록 멸균 효과를 제공한다. 현재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는 우주비행사들이 속옷 등 의류를 최대 일주일까지 반복 착용하고, 더러워진 옷은 화물 캡슐에 넣어 대기권 재진입 시 소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ISS에서는 한 명의 우주비행사가 15일마다 셔츠 1벌, 3일마다 속옷을 교체하며, 세탁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상업용 제트기 크기에 해당하는 소행성 2025 QD8이 2025년 9월 3일(현지시간),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약 57%인 13만5465마일(약 21만8000킬로미터) 거리까지 근접하며 지구를 빠르게 통과할 예정이다. Virtual Telescope Project,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 근지구천체연구센터(CNEOS)의 발표와 Space.com, Yahoo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이 소행성의 크기는 지름 약 55피트(17미터)에서 124피트(38미터)로 추정되며, 초당 2만8000마일(약 4만5000km/h)이 넘는 속도로 이동한다. 지구나 달에 피해를 줄 위험은 전혀 없는 것으로 NASA의 궤도 분석 결과 밝혀졌다. 이 소행성 2025 QD8은 2025년 8월 26일 처음 발견되어 NASA 제트 추진 연구소(JPL)와 근지구천체연구센터(CNEOS)에서 이후 집중적으로 궤도를 추적해왔다. CNEOS는 근지구 천체 중에서도 이처럼 비교적 대형이면서 지구에 근접하는 천체를 엄격히 모니터링하며, 단기 및 장기 충돌 위험 가능성을 평가한다. 현재까지 2025 QD8과 관련해 지구 충돌 위험 가능성은 전무한 상태라고 공식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NASA 소속의 최고령 현역 우주비행사 돈 페티트(Don Pettit, 70세)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매우 희귀한 붉은 오로라를 촬영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페티트 우주비행사가 2025년 8월 30일 자신의 X(구 트위터)에 공개한 이 영상은 지구 대기권 상공 약 240km 이상 고도에서 나타나는 붉고 선명한 오로라를 담고 있어, ISS 임무 기간 중 6개월에 2~3차례 정도만 발생하는 드문 현상임을 보여준다. Digital Trends, Space.com, Aljazeera, NASA, NOAA SWPC, TS2.Tech, The New York Times, Sky at Night Magazine등은 이 붉은 오로라가 태양으로부터 방출된 입자들이 고고도 대기 중 산소 원자를 들뜨게 하면서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녹색 오로라가 주로 100~200km 고도에서 나타나는 반면, 붉은 오로라는 이보다 더 높은 고도에서 발생해 색상도 달라진다. 페티트는 “태양이 ‘트림’을 하면 대기가 붉게 변한다”고 특유의 유머러스한 표현으로 이 현상을 묘사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번 붉은 오로라 현상은 우주 기상 활동이 급증한 시기와 맞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