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민연금이 5% 이상 투자한 종목이 지난해 말 기준 271곳으로 1년 전인 2023년 말(285곳)과 비교해 14곳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10% 이상 투자한 종목도 43곳에서 35곳으로 8곳 감소했다. 지난해 국민연금이 지분율을 가장 많이 늘린 종목은 6.67%p를 늘린 HDC현대산업개발이었으며, 지분율을 가장 많이 줄인 종목은 7.09%p 줄인 씨앤씨인터내셔널로 조사됐다. 15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국내 상장회사 중 국민연금이 5% 이상 투자한 기업을 조사한 결과, 국민연금이 5% 이상을 투자한 종목은 2023년 말 285곳에서 2024년 말 271곳으로 1년 새 14곳 감소했다. 국민연금이 지분 10% 이상을 보유한 기업도 2023년 말 43곳에서 지난해 말 35곳으로 8곳 줄었다. 국민연금이 지난해 지분율을 늘린 종목은 121곳인 반면, 줄인 종목은 173곳이나 됐다. 국민연금이 최대주주인 종목도 2023년 말 7곳에서 지난해 말에는 5곳으로 2곳 줄었다. 지난해 주식시장 한파로 국내 주요 기업의 시가총액이 감소하면서 국민연금의 투자도 소극적으로 변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국민연금이 지난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항공기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항공사는 에어뉴질랜드로 나타났다. 14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항공 안전성 및 서비스 평가 전문 웹사이트인 에어라인레이팅스닷컴은 최근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대형항공사(FSC)와 저비용항공사(LCC) 상위 25곳을 선정해 발표했다. 에어라인레이팅스닷컴은 385개 항공사를 대상으로 항공사의 중대 사건이나 최근 사망 사고, 항공 관련 정부 및 업계 기관의 감사, 전문 조종사 훈련 평가, 항공기 연식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요소를 고려해 안전도를 평가한다. 다만 조류 충돌이나 난기류 고장 등 천재지변으로 인한 사고는 제외된다. FSC 평가에서는 에어뉴질랜드가 콴타스항공을 근소한 차이로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에어라인레이팅스닷컴은 “두 회사의 차이는 1.5점에 불과했다”며 “두 항공사 모두 최고의 안전 기준과 조종사 훈련을 유지하고 있지만, 에어뉴질랜드의 항공기가 더 최신 기재였다”고 말했다. 3~5위는 캐세이퍼시픽,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에티하드 항공이 차지했다. 6~10위는 전일본공수(ANA), 에바항공, 대한항공, 알래스카항공, 터키항공으로 조사됐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한국의 재래식 군사력이 세계 5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은 지난해보다 2순위 오른 34위로 조사됐다. 14일(현지시각) 미국의 군사력 평가 전문기관인 글로벌파이어파워(GFP)가 145국 군사력 순위를 조사한 ’2025 군사력 랭킹(2025 Military Strength Ranking)‘을 발표했다. 한국은 군사력 평가지수에서 0.1656점을 받아 5위를 차지했다. 군사력 평가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완벽한 군사력을 의미한다. 한국의 군사력 순위는 2011년 7위를 차지해 처음으로 10위권 내에 들었다. 이후 2020년 6위로 올랐고 지난해 처음으로 5위에 올랐다. GFP에 따르면 한국의 국방예산은 463억달러(약 68조원)였으며, 현역 군인은 전체 인구의 1.2%인 60만명, 예비군은 310만명, 준군사조직은 12만명이었다. 한국 공군은 항공기를 총 1592대 보유하고 있다. 육군은 탱크 2236대, 다연장로켓시스템(MLRS) 426대, 자주포 3270대, 견인포 4400대를 보유하고 있다. 한국 해군은 잠수함 22척, 구축함 13척 등 총 227개의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 해군 자산의 총톤수는 34만4786톤이다. G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식음료 브랜드 앱 1위는 스타벅스가 차지했다. 2위 버거킹, 3위 메가커피 순으로 나타났다. 4~10위는 맥도날드, 투썸, 롯데잇츠, 빽다방, 컴포즈커피, KFC, 이디야 순으로 조사됐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Android+iOS)를 표본 조사해 '2024년 12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식/음료 브랜드 앱'을 발표했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식/음료 브랜드 앱은 ‘스타벅스’로 월간 사용자 수 773만명을 기록했다. 그 뒤를 이어 버거킹 267만명, 메가커피 210만명, 맥도날드 208만명, 투썸하트 191만명, 롯데잇츠 100만명, 빽다방 99만명, 컴포즈커피 85만명, KFC 68만명, 이디야 66만명 순으로 나타났다. 2024년 12월 기준 상위 10개 식/음료 브랜드 앱 중 이디야를 제외한 모든 앱의 사용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증가했다. 특히 메가커피는 사용자 수가 51% 증가하며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그다음으로 KFC 47%, 빽다방 34%, 투썸하트 19%, 스타벅스 13%, 컴포즈커피 13%, 맥도날드 10%, 롯데잇츠 10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2024년 12월 온라인쇼핑 카드결제 금액(체크·신용카드 기준) 순위에서 쿠팡(3조2300억원)이 2위와의 압도적인 금액차로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2위는 G마켓(3875억원), 3위는 CJ온스타일(3003억원), 4위는 11번가(2845억원)가 차지했다. 이같은 자료는 14일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 12월 온라인쇼핑 카드결제 금액(체크·신용카드 기준) 순위에 따른 것이다. 5위는 GS샵, 6위는 ssg.com, 7위 현대홈쇼핑, 8위 옥션, 9위 알리익스프레스, 10위 롯데홈쇼핑으로 조사됐다. 해당 기간 온라인쇼핑 업종에서 카드 결제 증가액이 가장 높은 기업은 CJ온스타일었다. 이번에 3위에 오른 CJ온스타일의 카드 결제 금액은 전월(2826억원) 대비 6% 증가한 수치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12월 1인당 결제 단가(21만원)가 가장 높았던 기업도 CJ온스타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는 쿠팡(20만원), ssg.com(18만원), 현대홈쇼핑(17만원) 순이었다. 성별 결제자 비중에서도 CJ온스타일의 여성의 비율이 84%로 TOP10 기업 중 가장 높았다. 현대홈쇼핑과 GS샵의 여성고객 비율은 82%, 롯데홈쇼핑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4년 한해 동안 가장 많이 검색된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메가MGC커피'로 조사됐다. 2018년 이후 매년 1위 자리를 지켰던 '도미노피자'는 2위에 올랐다. 그뒤를 이어 '맥도날드', '투썸플레이스', '명륜진사갈비'가 3~5위에 올랐다. 6~10위는 '파리바게뜨', '배스킨라빈스', '요거트 아이스크림의 정석', 'BBQ치킨', '교촌치킨'도 TOP10 안에 이름을 올렸다. 업종별로는 패스트푸드 브랜드가 5개로 가장 많으며, 커피 업종 브랜드가 4개, 치킨이 3개, 한식과 아이스크림/빙수 브랜드가 2개씩, 피자와 제과제빵, 일식과 분식 브랜드가 각 1개씩 순위에 포함됐다. 소비자 빅데이터기업인 아하트렌드에서 매월 5800개 이상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에 대한 검색 데이터를 조사, 분석한 결과를 담은 ‘2024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검색 분석 연간 리포트’가 발행했다.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5806개의 2018년부터 2024년까지의 검색 데이터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18년 이후 처음으로 작년도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연간 검색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검색량은 2018년 이후 코로나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2025 서울 부동산 계급도처럼 전국 시도별로 아파트 평균 매매가 계급도, 순위는 어떻게 될까? KT에스테이트가 2024년 12월 KB부동산 데이터를 기초로 전국 시도별 아파트 평균 3.3㎡당 매매가를 기준으로 등급을 만들었다. 최상위는 역시 서울로, 3.3㎡당 평균 아파트 매매가가 4992만9000원으로 압도적인 금액으로 1위를 차지했다. 두 번째로 평균 아파트 매매가가 높은 지역은 경기도와 세종시로, 이들 지역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2000만원 이상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는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1500만원 이상인 지역으로 인천과 부산이 차지했다. 네 번째 지역은 평당 매매가 1000만원 이상인 곳들로 대전시, 대구시, 울산시, 광주시, 경상남도 등 5개 지역이다. 다섯 번째는 충청북도, 강원도, 충청남도로, 이들 지역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3.3㎡ 900만원 이상이다. 여섯 번째 지역은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등 3개 지역으로 평당 800만원 이상으로 조사됐다. 이 데이터에 따르면, 서울과 전북·전남·경북 등의 아파트값 차이가 3.3㎡당 4100만원 이상 벌어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요즘 부동산 커뮤니티에서 2025 서울 부동산 계급도가 화제다. KT에스테이트가 KB부동산 데이터를 기초로 서울 25개구 아파트 평균 매매가를 기준으로 등급을 만든 것인데, 5년전인 2020년 당시의 부동산 계급도와 비교해 더욱 관심을 끌고 있다. 해당 내용은 총 6계급의 피라미드 형식으로 구성돼 있다. 최상위에 위치해 있는 지역은 강남구와 서초구다. 흔히 강남(권)이라 불리며,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7200만원 이상이이었다. 두 번째로 높은 지역은 용산구와 송파구로, 이들 지역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5400만원 이상이다. 세 번째 지역은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가 4100만원 이상인 성동구, 마포구, 광진구, 양천구다. 네 번째는 영등포구, 강동구, 동작구, 중구, 종로구로, 이들 지역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3.3㎡ 3700만원 이상이다. 다섯 번째는 서대문구, 강서구, 동대문구, 성북구, 은평구, 관악구 6개구로 평당 매매가는 2500만원 이상이었다. 마지막 여섯 번째는 노원구, 구로구, 중랑구, 금천구, 강북구, 도봉구 6개구로 평당 2000만원 이상으로 조사됐다. 5년 전인 2020년 서울 부동산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4년 국내 주식 성적은 부진을 면치 못했다. 작년 초 대비 올해 동기간 기준 시가총액(시총)은 250조원 정도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는 재작년 대비 작년 초 기준 국내 상장사 시총이 490조원 넘게 증가했던 것과 비교해보면 180도 달라진 형국이다. 최근 1년 새 시총 덩치는 10% 정도 쪼그라졌고, 국내 주식종목 10곳 중 7곳꼴로 시총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올해 초 가입한 시총 1조 클럽은 작년 초 때보다 20여 곳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주식시장 한파에서도 단일 주식종목 중에서는 SK하이닉스가 최근 1년 새 20조원 넘게 시총 체격이 커졌고, HD현대중공업과 HD현대일렉트릭도 10조원 이상 불어나 주목을 받았다. 특히 작년과 올해 초 시총 TOP 20위권에는 6곳이 탈락하거나 신규 진입하는 등 국내 주식시장을 이끄는 상위권의 순위에도 부침이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13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 1월 초 대비 2025년 1월 초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주식종목은 우선주를 제외한 2749곳이고, 작년과 올해 각 1월 2일 시총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4년 국내선과 국제선 항공 여객 수가 1억2000만명을 기록하며 코로나19 이전과 근접한 수준까지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토교통부 항공통계포털에 따르면, 작년 국내 공항을 이용한 전체 항공 여객 수는 1억2005만8371명(국내선 3113만명, 국제선 8892만명)으로, 전년(1억50만명)보다 19.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최고치인 2019년 1억2336만명의 97.3% 수준으로 회복한 것이다. 지난해 국내선 여객 수는 2023년보다 3.3%, 2019년보다 5.6% 적은 수준인 반면 국제선은 1년 사이 30.2% 증가하며 2019년의 98.4%까지 회복했다. 해외여행 제한이 사라지면서, 국내 여행보다 가까운 외국으로 향한 승객들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해외 지역별 국제선 노선 승객을 보면 일본이 2514만명으로 개별 국가 중 가장 많았다. 1년 전보다는 29.7%, 2019년보다는 33.3% 증가했다. 엔저(엔화 약세) 현상이 이어지고 국내외 항공사의 항공편 공급도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일본에 이어 중국은 1377만명으로 2위를 차지했다. 중국 노선 승객은 중국인의 한국 단체관광 재개,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