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NASA가 2025년 10월 전 세계 4개 대륙, 16개 달·화성 아날로그 거주지에 걸쳐 200명 과학자, 25개국 참여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동시 아날로그 우주 시뮬레이션 '세계 최대 아날로그' 임무를 진행 중이다. NASA, The World's Biggest Analog, globaltimes.cn, Globetrender, Scripps News에 따르면, 이 임무는 10월 13일 개시해 10월 26일까지 이어지며, 유타주의 화성 사막 연구 기지, 요르단 와디 럼 사막, 폴란드 LunAres 기지 등 지구 곳곳의 다양한 화성·달 유사 환경 거주지에서 인류 탐사 임무를 재현한다. 동시에 NASA는 10월 19일부터 4명의 자원 봉사자가 휴스턴 존슨 우주 센터 내 3D 프린팅된 1700평방피트 규모 화성 주거지 'Mars Dune Alpha'에 378일간 머무는 두 번째 CHAPEA (Crew Health and Performance Exploration Analog) 장기 화성 탐사 시뮬레이션에 돌입했다. 세계 최대 아날로그 임무의 의미와 구성 이번 '세계 최대 아날로그' 임무는 단일 시뮬레이션에 다수의 국제 아날로그 거주지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블랙프라이데이 세일을 앞둔 지난 9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쇼핑 앱 순위는 쿠팡, 올리브영, 에이블리 순으로 조사됐다. 22일 실시간 앱·결제 데이터 기반 시장/경쟁사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이 주요 쇼핑 앱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를 조사해 발표했다. 와이즈앱·리테일이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Android + iOS)를 표본 조사한 결과, 블랙프라이데이 세일(코리아세일페스타)을 앞둔 2025년 9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쇼핑 앱 TOP3는 쿠팡(3,427만명), 올리브영(959만명), 에이블리(938만명) 순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4위~10위는 알리익스프레스(916만명), 테무(830만명), 11번가(794만명), 무신사(703만명), G마켓(684만명), 네이버플러스 스토어(513만명), 다이소몰(438만명) 순이었다. 11위~20위는 지그재그(409만명), 컬리(366만명), NOL(야놀자)(362만명), 여기어때(353만명), 오늘의집(330만명), GS SHOP(296만명), 삼성닷컴(291만명), 옥션(276만명), 퀸잇(270만명), 알라딘(269만명) 순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실시간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등 국내 5대 그룹의 자산이 최근 5년 새 445조원 가량 증가한 1588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5대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47개 그룹의 자산은 367조원 늘어난 1121조원에 그쳐, 5대 그룹으로의 자산쏠림이 더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별로 보면, 삼성, SK, 현대차가 자산 증가액 톱3 체제를 굳혔다. 반면, 교보생명보험, 부영, 두산 등 3곳은 자산이 축소됐다. 자산 외에 매출과 영업이익 등 실적 증가세도 5대 그룹이 47개 그룹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대차는 5년간 매출액이 100조원 이상 증가해 증가액 1위를 기록했고, 삼성과 SK도 매출이 큰 폭으로 늘었다. 반면, 태영·두산·DL·부영 등 6개 그룹은 지난해 매출액이 5년 전보다 줄어들며 역성장했다. 2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 중 2019년과 2024년 결산 기준 자산총액 비교가 가능한 52곳을 대상으로 자산 규모와 실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52개 그룹의 전체 자산규모는 2019년 1897조2869억원에서 2024년 2709조8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캐나다의 대표 저가 항공사(LCC) 웨스트젯이 최근 일부 항공기 이코노미 좌석의 등받이 조절 기능을 유료 옵션으로 전환하면서 현지뿐 아니라 글로벌 항공업계에 적지 않은 파장이 일고 있다. 이번 정책 변화는 업계의 추가 수익 창출을 위한 새로운 요금 체계로 평가되면서 소비자와 전문가들의 날선 비판을 동시에 받고 있다. 웨스트젯, 좌석 재설계로 ‘고정식’ 확산…43대 항공기 적용 웨스트젯은 총 43대에 이르는 항공기를 대상으로 전 좌석을 이코노미석으로 재설계하고, 뒤로 젖혀지지 않는 ‘고정식’ 좌석을 기본으로 도입한다는 방침을 공개했다. 이는 전체 보유 항공기의 약 3분의 1 미만에 해당한다. 등받이 조절(리클라이닝) 기능은 앞으로 ‘익스텐디드 컴포트’ 혹은 프리미엄석에만 한정 제공된다. 웨스트젯 관계자는 ABC와 CBS 등 현지 언론에 "고객 테스트 결과 절반 이상이 타 승객의 공간 침범을 피하기 위해 고정식 좌석을 선호한다고 답했다"고 밝혔고, 사만다 테일러 웨스트젯 부사장도 "새 객실 배치는 다양한 고객 선호를 반영한 것"이라며 “레그룸과 편의시설이 더 많은 프리미엄석 혹은 저렴한 일반석 중 선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업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펼치는 ‘초대형 AI 컴퓨팅 확보’ 전략이 글로벌 반도체·클라우드 대기업부터 미국 증시와 경제 전반의 위험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10월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심층 보도 「How Sam Altman Tied Tech’s Biggest Players to OpenAI」에 따르면, "올트먼이 젠슨 황 CEO에게 FOMO(조급함, 불안감)을 심어주려고 의도하지는 않았을지 모르지만, 실제 그런 영향을 미쳤다"라고 보도했다. 엔비디아, AMD, 브로드컴 등 세계 최대 반도체사들은 올해 잇따라 오픈AI와 합계 26GW(엔비디아 10GW, AMD 6GW, 브로드컴 10GW) 규모의 AI 칩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엔비디아는 최대 1000억 달러(약 140조원) 규모의 투자 의향을 공개했고, 브로드컴도 자사 매출의 10% 안팎에 달하는 거대 물량 계약을 맺은 상황이다. 엔비디아는 실제로 첫 100억 달러를 투자해 2026년 하반기 1GW 규모의 차세대 AI 데이터센터 “베라 루빈” 시범 구축에 착수하며, AMD 역시 대규모 신주인수권(data not disclosed) 등 공격적 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과학계에서는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이 고도화된 외계 문명의 탐지를 극도로 어렵게 만드는 주요 원인일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주목받고 있다. ScienceAlert, Astrobiology.com, MoneyControl, UniverseToday에 따르면, 맨체스터 대학교 조드렐 뱅크 천체물리학 센터의 마이클 가렛 박사는 2025년 9월 발표 논문에서 AI 주도의 기술 가속화는 문명이 탐지 가능한 기술적 신호를 방출하는 시기를 수십년 내로 극단적으로 축소시키는 '탐지 창(detection window)' 현상을 초래한다. 이 연구는 1970년대 칼 세이건이 제안한 '통신 지평선(communication horizon)' 개념을 현대 AI 발전 속도를 반영하여 재검토했다. 세이건 당시에는 문명이 약 1000년 동안 탐지 가능한 단계에 머물 것이라 추산했으나, 가렛 박사는 AI 기술이 몇 년 단위로 성능을 두 배로 향상시키는 현재 추세에 비추어 탐지 단계가 불과 수십 년으로 축소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즉, 문명의 기술 진화 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지면서 인간의 탐지 능력과 포착 가능한 신호 발신 기간이 거의
◆ 고쳐야 한다는 말의 무게 "나 이런 성격 좀 고치고 싶어." 회사에서는 리더로서 단호하고 냉정해야 하고, 집에서는 엄마로서 아이들에게는 좀 더 차분히 기다려주고 다정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일이 꼬이면 금세 마음이 조급해지고, 말 한마디에 오래 머무르며, 지나간 일에 괜히 해석을 덧붙인다. 직급이 올라가고 나이는 들어가지만 나는 여전히 '고쳐야 할 나'와 '그래도 괜찮은 나' 사이에서 늘 흔들린다. 그래서 요즘 셀프 코칭을 통해 그 감정의 습관을 조금씩 고쳐보는 중이다. 사람들은 흔히 '부정적인 사람'과 '긍정적인 사람'을 둘로 나눠 말한다. 그러나 사람은 결코 둘 중 하나로 단정되지 않는다. 사람은 누구나 다양한 감정을 품고 있으며, 살아온 경험과 환경 그리고 지금의 상황에 따라 달리 드러난다. 어떤 시기에는 불안이 더 크고, 어떤 날에는 기쁜 마음이 앞선다. 결국 완벽히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사람은 없다는 말이다. ◆ 반드시 고쳐야만 할까 마틴 셀리그만은 기존 심리학이 병든 마음을 '치료'하는 데 집중해왔다고 비판했다. 그는 "심리학은 인간의 결함을 고치는 학문이 아니라, 인간의 강점을 발전시키는 학문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코칭 역시 이 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의사들이 제일 싫어하는 과일은 무엇일까? 이 과일은 아침에 먹으면 '금'이라고 할 만큼 건강에 유익하기로 소문나 있다. 위액 분비를 촉진해 소화흡수를 돕고 배변기능에 도움을 준다. 장미과에 속하며, 낙엽수의 왕이라고 불릴 만큼 효능이 많은데, 대표적인 성분이 식이섬유인 '펙틴'이다. 펙틴은 장을 약산성으로 유지하며 나쁜 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 이 과일에 들어 있는 유기산은 몸 안에 쌓인 피로 물질을 제거해 준다. 이렇게 건강에 좋으니, 이 과일을 먹고 병원에 오지 않을까봐 의사들이 싫어한다는 말까지 생긴 것이다. 이 과일은 바로 사과(apple)다. 구글 검색을 하면 부사, 국광, 홍옥, 홍로, 스타킹, 골덴, 엔비, 감홍, 선홍, 추광, 아오리, 시나노 골드 등 전세계에 분포하는 사과의 종류만 7500개가 넘을 정도다. 필자는 먹는 사과의 종류가 아니라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으로 의미를 지닌 사과의 종류를 조망해보고자 한다. 첫 번째는 미국 빅테크기업 '애플의 사과'다.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등을 판매하는 애플은 미국에서 마이크로소프크(MS)와 시총 1위자리를 다툴만큼 세계 최고의 기업이다. 이른바 세계에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전례 없는 두 건의 우주 쓰레기 관련 사고가 전 세계 항공 및 우주 안전 우려를 증폭시키고 있다. The Independent, Wired, Times of India, AeroTime, ABC News Australia, ESA Space Environment Report 2025에 따르면, 2025년 10월 16일 덴버에서 로스앤젤레스로 향하던 유나이티드 항공 1093편(보잉 737-8 MAX)은 3만6000피트 상공에서 조종석 앞유리가 의심스러운 충격을 받아 솔트레이크시티로 긴급 회항했다. 조종사는 파편에 팔에 베인 부상을 입었으나, 탑승 승객 134명과 승무원 6명은 무사히 착륙했다. 충격 지점에 그을음과 유리가 파편화된 모습이 사진으로 공개됐으며, 이는 일반적인 우박이나 새와는 거리가 먼 높이에서 발생한 충격이었다. 이틀 뒤, 서호주 뉴먼 인근 사막에서 광산 노동자들이 커다란 탄소 섬유 소재의 불타는 잔해를 발견했다. 호주 교통안전국 조사 결과 해당 잔해는 상업항공기에서 나온 것이 아니며, 우주 고고학자 앨리스 고먼은 이 물체가 9월 말 발사된 중국 지에롱(Jielong) 3 로켓의 4단계 연료 탱크 또는 압력 용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대만이 2003년 이후 처음으로 1인당 국내총생산(GDP) 세계 순위에서 한국을 앞지르는 경제적 대변혁이 현실화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최신 전망에 따르면, 대만의 1인당 GDP는 올해 11.1% 증가한 3만7,827달러로 38위에서 35위로 상승하는 반면, 한국은 0.8% 감소한 3만5,962달러에 머물며 34위에서 37위로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의 기술 주도 성장과 AI 반도체 호황 이 경제 역전의 핵심에는 대만의 반도체 산업, 특히 세계 시장 점유율 70%를 자랑하는 대만반도체제조사(TSMC)의 급성장이 자리잡고 있다. AI 기술 부문의 세계적 수요 폭발로 TSMC를 비롯한 반도체 생태계가 전례 없는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어 대만 경제를 강력하게 견인 중이다. 지난 2분기 대만 경제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8.01%에 달했고, 이로 인해 정부는 당초 3.1%였던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4.45%로 상향 조정했다. 아시아개발은행은 대만의 2025년 GDP 성장률을 5.1%로 예측했으며, 노무라는 6.2%까지 상향 조정했다. 수출 규모 측면에서도 대만은 올해 8월 처음으로 월간 수출액에서 한국을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