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소비자가 농산물 1만원어치를 구매할 때 유통 단계에서 발생하는 비용이 약 49.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가 낸 1만원 가격 중 절반 가까운 4920원이 유통업체 몫으로 돌아가는 셈이다. 이는 2013년 45.0% 대비 4.2%포인트, 1999년 38.7%와 비교하면 10%포인트 이상 상승한 수치다. 최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2023년 농산물 유통비용률 통계에 따르면, 쌀 등 식량 작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35.9%인 반면, 조미 채소류인 대파와 양파는 60.8%, 엽근 채소류인 배추와 무는 64.3%의 유통비용률을 기록했다. 특히 월동무(78.1%), 양파(72.4%), 고구마(70.4%) 등 일부 품목은 유통비용이 70%를 넘어서며, 생산자가 소비자가격에서 얻는 몫이 매우 제한적임을 보여준다. 이처럼 유통비용이 높은 배경에는 인건비 상승과 복잡한 유통구조, 그리고 유통업체들의 이윤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지적된다. 실제로 2023년 유통이윤은 14.6%로 10년 전보다 1.2%포인트 증가하였는데, 농산물 유통과 관련된 세금이 없고, 도매·소매업체의 시장지배력이 크기 때문에 생산자가 유통과정에서 불리한 위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서울시는 2025년 9월 18일 오전 11시부터 국내 최초의 친환경 수상 대중교통수단인 ‘한강버스’를 정식 운항한다고 15일 공식 발표했다. 총 28.9km에 달하는 마곡에서 잠실까지 한강을 따라 7개 선착장(마곡, 망원, 여의도, 옥수, 압구정, 뚝섬, 잠실)을 연결하며, 운행 초기에는 8척의 친환경 선박이 투입된다. 하루 14회, 1시간에서 1시간 30분 간격으로 왕복 운항해 시민들에게 새로운 대중교통 경험을 제공한다. 운임은 1회 이용시 3000원으로, 기후동행카드를 통한 월 5000원 추가 결제 시 횟수 제한 없이 무제한 탑승이 가능하며, 기존 대중교통 환승 할인도 적용된다. 실제 운행 정보는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 등 주요 모빌리티 앱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친환경·안전 설계 강화 한강버스에 투입되는 선박 12척 중 8척은 하이브리드, 4척은 전기 추진 선박으로, 하이브리드 선박은 기존 디젤기관 대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약 52% 감축하는 친환경 첨단 선박이다. 전기 선박은 무탄소 배출 설계로 기후 위기 대응에 기여한다. 모든 선박은 좌석 199석 규모로 쾌적하며, 3-3-3-3 배열의 편안한 좌석과 접이식 테이블,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2024년 미국 항공업계에서 비행기 객실로 유입되는 유독성 연기 사고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승무원과 조종사들은 NFL 선수의 뇌진탕에 준하는 뇌 및 신경 손상을 입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월스트리트저널, 뉴욕포스트, FAA, EASA, 영국 AAIB, COT, Medical Independent, PubMed, MoneyControl의 최신 보도 및 국내외 각종 연구에 따르면 가장 심각한 증가는 에어버스 A320 계열 기종에서 나타나 2024년 미국 주요 항공사에서 보잉 737에 비해 사고율이 7배 이상, 제트블루(JetBlue)와 스피릿(Spirit) 등 에어버스 주력 항공사는 2016년 대비 660% 증가를 기록했다. FAA 공식수치와 국제 데이터 비교 FAA 및 NASA에 공식 보고된 연기 사고는 2024년 100만번의 출발당 약 108건으로, FAA의 2015년 추정치(100만번당 33건) 대비 세 배 이상 증가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지난 15개년 100만건 이상의 FAA·NASA 기록을 머신러닝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 사고의 상당수가 에어버스에서 발생했으며, 2010년 이후 항공사들이 수천건의 사고를 공식 보고했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북극 해역이 미·러 간의 전략적 무력 과시의 신냉전 무대로 급부상하고 있다. 러시아와 미국이 수일 간격으로 첨단 무기 실험을 실시하며 극지방에서 군사적 긴장감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Arabnews, english.aawsat.com, Devdiscourse, Deutsche Welle, Statista, Newsweek, Aerospace Global News, arcticmilitarytracker, New York Post에 따르면, 지난 9월 12일부터 16일까지 러시아와 벨라루스가 2년마다 실시하는 대규모 합동군사훈련인 ‘자파드 2025(Zapad 2025)’를 개시하면서, 러시아 측은 MiG-31 전투기에 극초음속 탄도미사일 ‘킨잘(Kinzhal)’을 탑재해 바렌츠해 중립수역을 4시간 동안 순찰하는 무력 시위를 감행했다. 러시아 국방부는 북방함대의 최신형 프리깃 ‘아드미랄 골로브코’(Admiral Golovko)함에서 지르콘(Zircon) 극초음속 크루즈미사일을 9월 14일 발사, 바렌츠해 내의 표적에 직격했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해당 미사일이 “음속의 9배 속도로 최대 1000km 떨어진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으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정부가 산업재해 사망사고 감축을 목표로 역대 최강의 경제적 제재안을 내놓았다. 연간 3명 이상의 산재 사망자가 발생한 기업에 대해 영업이익 최대 5% 상당의 과징금과 최소 30억원의 하한액 부과가 새롭게 도입된다. 이는 기존 처벌 방식이 주로 소액 벌금과 집행유예에 머물렀던 관행을 근본적으로 뒤바꾸는 조치다. 영업이익 5% 과징금과 30억원 하한 노동부는 영업이익 5% 이내에서 산재 사망자 수와 사고 발생 횟수에 따라 과징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공식화했다. 영업이익을 산정하기 어려운 공공기관, 적자기업 등에도 최소 30억원의 하한액을 적용해 기업 규모와 무관하게 실질적 경제적 부담을 가하게 된다. 해당 과징금은 '산업재해예방보상보험기금'에 편입되어 산재 예방과 보상에 활용된다. 예를 들어, 현대자동차와 같은 대기업 영업이익이 10조원에 달할 경우 과징금 한도는 5000억원까지 산정 가능하며, 이는 이전 '매출 3% 과징금'보다 훨씬 강화된 수준이다. 글로벌 기준과 비교할 때 유럽연합(EU)은 산업안전 위반 시 최대 1000만 유로(약 145억원) 수준의 과징금이지만, 한국은 대형사고 발생 시 현저하게 높은 처벌 강도를 도입하는 셈이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전 세계적 양극화 문제와 CEO 초고액 보상 논란이 교황청 공식 발언을 통해 다시 조명됐다. 교황 레오 14세는 취임 후 첫 인터뷰에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1조 달러(약 1353조원) 성과 보상안'을 직접 언급하며, 빈부 격차 심화를 강하게 우려했다. 교황은 14일(현지시간) 가톨릭 매체 크룩스와의 인터뷰에서 “어제 머스크 CEO가 세계 최초로 1조 달러 부자가 될 것이라는 기사를 봤다. 만약 이것이 가치 있는 유일한 것이라면 우리는 큰 문제에 직면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테슬라 이사회는 지난 5일 주주총회 위임장을 통해 전체 보통주 12%(4억2374만3904주)를 2035년까지 12단계에 걸쳐 머스크에게 지급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현재 발행 주식 수 기준으로 이 보상 패키지는 약 9750억달러, 미국 기업 역사상 최대 규모에 해당한다. 레오 14세는 “60년 전 CEO들은 노동자들보다 4~6배만 받았지만 최근 수치를 보면 평균 노동자의 600배를 받는다”며, “인간 삶과 가족, 사회적 가치에 대한 감각을 잃어버린다면 무엇이 더 중요하겠는가”라고 지적했다. Newsweek, cnn, Le Monde, n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삼성물산 리조트부문(사장 정해린)이 운영하는 에버랜드가 세계 최고 수준의 동물원에 부여되는 국제 기준 'AZA 재인증'을 획득했다고 15일 밝혔다. AZA 인증은 미국 동물원수족관협회(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ums)에서 주관하는 세계적 권위의 동물원 분야 인증 제도다. 미국 내 약 2800개 야생동물 관련 기관 중 AZA 인증을 받은 곳이 10%가 되지 않을 정도로 인증 과정이 까다롭다. AZA 인증을 받은 후에도 매해 기준이 강화되며, 5년마다 전체 심사를 다시 거쳐 재인증을 받아야 한다. 에버랜드는 2019년 서울대공원 동물원과 함께 아시아 최초로 AZA 인증을 획득한 이후 올해 갱신 심사를 진행했으며, 한국시간 9월 14일 밤 미국 플로리다주 템파에서 열린 AZA 연례회의 최종 청문회에서 재인증에 성공하며 국제적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AZA 인증은 동물복지를 바탕으로 멸종위기종 보전을 위한 동물원의 역할을 충실히 담당하는 최고 수준의 동물원에게만 주어진다. 뿐만 아니라 운영 시스템, 직원의 역량, 교육 및 연구 기능, 안전 관리 등 모든 분야에서 국제적인 수준의 엄격한 기준을 통과해야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샤워공간은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가장 잘 보장되는 은밀한 공간일 뿐 아니라, 사색과 감정적 공감을 위한 심리적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양한 사회학적·심리학적 연구와 매체 보도, 커뮤니티 논의를 근거로 관련 분석 내용을 정리했다. 샤워공간은 현대인에게 단순한 위생 행위를 넘어 신체적·심리적 안정을 추구하는 장소로 자리잡고 있다. 미국 UCLA 연구진의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고립감이나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따뜻한 물로 샤워나 목욕하는 빈도와 시간, 더 높은 수온 선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일대 심리학자 John Bargh 등의 연구(The Substitutability of Physical and Social Warmth in Daily Life, 2011년)에서도 "만성적 외로움이 높은 사람들이 더 자주, 더 오래, 그리고 더 뜨거운 물로 샤워하거나 목욕하는 경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이 연구에서 외로움 정도와 샤워 빈도, 지속 시간, 선호 수온 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외로움이 클수록 따뜻한 물에서 더 오랜 시간을 보내며 물리적 온기를 통해 사회적 차가움을 보상하려는 심
새로운 프로젝트가 주어지고, 낯선 미션이 떨어질 때 우리는 가장 먼저 부담감이라는 녀석과 마주하게 됩니다. ‘이직한 지 얼마나 됐다고 이런 걸 시키지?’ ‘궁금한 게 산더미인데 물어봐도 될까?’ ‘괜히 물었다가 이것도 모르냐는 소리 들으면 어쩌지?’ 익숙하지 않은 동료들, 다른 업무 환경, 처음 접하는 사내 시스템…. 심지어 이메일 한 통 쓰는 것도 서툰 상황에서, 입사 한 달도 채 안 된 이직자에게 업무가 주어지는 현실. 사실 이직은 대부분 기존 경력을 기반으로 하지만, 막상 새로운 조직에서는 신입과 다를 바 없습니다. 그러나 조직은 이들을 곧바로 숙련된 전문가로 기대합니다. 물론 ‘허니문 기간’이라는 말처럼 초반에는 서툰 부분을 이해해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먼저 그 관용을 기대하기보다, 스스로 배움의 자세를 유지하는 편이 훨씬 건강합니다. ◆ 코칭에서의 ‘What else’ 질문 기법 “말씀해주신 것 외에 또 다른 방안은 무엇이 있을까요?” “뭐라도 좋습니다. 하나만 더 말씀해주시겠어요?” “끝으로 한 번만 더 짚어보실래요?” 겉으로는 다소 집요해 보일 수 있지만, 이 질문은 고객의 창의적 사고와 실행을 자극하는 강력한 코칭 기법입니다. ◆ 이직자에게 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의 이사장 마이클 세일러가 2025년 9월 13일(현지시간) 자신의 비트코인 중심 전략이 연평균 91%라는 놀라운 투자 수익률을 기록하며 기술 업계 최강자들로 불리는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 기업들의 성과를 크게 앞섰다고 공개해 주목받고 있다. 이 회사는 테슬라, 엔비디아,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알파벳 등 주요 기술기업과 비교해도 압도적인 수익률 차이를 보여줬다. Fortune, CoinGape, Yahoo Finance, CryptoRank, BitcoinTreasuries.NET, FundStrat에 따르면, 세일러는 "비트코인 스탠다드 전략 도입 이후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연간 수익률은 91%로, 엔비디아 72%, 테슬라 32%를 훨씬 능가했다"며 "알파벳,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은 이보다 훨씬 낮은 수치를 보였다"고 강조했다. 특히 비트코인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대비 시가총액 비율 면에서도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100.5%로 테슬라(26%) 등 경쟁사들을 크게 앞섰다. 세일러는 “비트코인은 매그니피센트 7보다 훨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