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승원 기자] 미국 래퍼 트래비스 스캇(Travis Scott)의 내한 공연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지진급 콘서트’로 주목받고 있다. 2025년 10월 25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열리는 이번 공연은 아시아 투어의 일환으로, 이미 전 세계에서 수만명의 관객이 동시에 점프하며 실제 지진과 유사한 진동을 유발한 전례가 있어 국내 팬들의 기대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 지진과 착각한 콘서트 진동, 과학적으로도 입증 2023년 8월 7일 이탈리아 로마의 고대 경기장인 서커스 막시무스(Circus Maximus)에서 열린 트래비스 스캇의 공연은 약 6만명의 관객이 동시에 점프하며 지진계에 1.3 규모의 지진과 유사한 진동을 기록했다. 이탈리아 지구물리학 및 화산학 연구소(INGV)는 당시 “트래비스 스캇 팬들의 열광이 명확하게 지진계에 기록됐다”고 공식 확인했으며, 현지 주민들은 창문이 흔들리고 침대가 흔들리는 현상을 경험하며 실제 지진을 우려하기도 했다. 한 지질학자는 6만 명이 평균 70kg의 체중으로 15cm 높이에서 점프할 경우, 매 점프마다 약 1.3×1091.3×109줄(J)의 에너지를 방출하며, 이는 1.3 규모의 지진과 동등한 수준이라고 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가 2025년 10월 4일(현지시간) 공개한 36초 분량의 영상에서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 지도자와 함께 쿵푸 동작을 연습하며 놀라운 균형 감각과 동적 움직임 능력을 선보였다. teslarati, Humanoids Daily, Humanoid Robotics Technology, Drive Tesla Canada, tandardbots.com, TrendForce에 따르면, 이번 시연에서 옵티머스는 원격 조종 없이 온보드 AI를 통해 실시간으로 반응해 블록, 킥, 전투 자세 등의 무술 동작을 자연스럽게 펼쳐 이전에 사람이 조작하던 초기 시연과 달리 독자적 학습 능력을 갖추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옵티머스는 인간 스파링 파트너로부터 밀려도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고, 예측과 적응이 필요한 복합 동작을 수행해 AI 기반 제어와 센서 데이터 실시간 처리의 기술 진보를 드러냈다. 머스크는 X(구 트위터)에서 옵티머스를 ‘테슬라의 가장 중요한 제품 중 하나’로 평가하며, AI 소프트웨어 부사장 아쇼크 엘루스와미는 자동차 자율주행 AI와 옵티머스 로봇 AI 모델의 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테슬라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세계 최대 암호화폐 채굴기업 비트마인(BitMine)의 회장 톰 리(Tom Lee)가 이더리움이 향후 비트코인을 넘어서 시장 지배력을 차지할 것이라 과감히 예측했다. 그는 1971년 닉슨 대통령의 금본위제 폐기 이후 미국 달러가 금을 대체하며 세계 주력 통화로 떠오른 역사적 변곡점을 근거로, 이더리움 역시 광범위한 자산 토큰화라는 메가트렌드 속에서 비트코인의 자리를 대체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Yahoofinance, Cointelegraph, CoinLaw, ark-invest에 따르면, 이 예측은 10월 16일 아크 인베스트(ARK Invest)의 CEO 캐시 우드(Cathie Wood)와의 인터뷰에서 공개됐다. 이더리움 가격이 2030년까지 6만 달러에 도달해 현재 대비 1500% 넘는 상승 가능성을 제시했다. 닉슨 쇼크 이후 미국 달러 부상과 유사한 시나리오 톰 리는 “1971년 닉슨 쇼크”를 설명하며, 금으로 뒷받침되던 미국 달러가 완전한 합성 통화가 되면서 초기 금 가격이 급등했지만, 월가가 머니마켓 펀드, 모기지담보증권(MBS) 등 혁신 금융상품을 개발하여 달러의 글로벌 지배력을 40년대비 크게 확대시켰다고 전했다.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서울 강남구의 D 산후조리원이 2주 특실 요금 4020만원을 기록하며 국내 산후조리원 이용료 최고가를 경신했다. 전국 최저가는 전북 군산의 일반실 120만원, 전남 강진군 공공 산후조리원 특실이 154만원으로, 최고-최저 요금 격차가 무려 33.5배에 달했다. 산후조리원 가격, 지역 따라 천차만별 10일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국회의원(서울송파구병, 보건복지위)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일반실 기준으로 강남의 산후조리원 2곳(A·H)은 각 1700만원, 반면 전북 군산 M조리원은 120만원으로 조사됐다. 특실의 경우 강남 D 산후조리원 4020만원과 강진군 공공산후조리원 154만원이 극적인 대조를 이룬다. 상위 10곳 중 7곳이 강남에 몰려 있고, 나머지는 서울 용산·강서, 경기 성남시에 분포했다. 상위 10곳 평균 요금은 1260만원, 하위 10곳은 150.1만원으로 8.4배 차이가 났다. 럭셔리 산후조리원들은 배우 손예진(현빈)·이민정(이병헌)·한가인(연정훈)·고소영(장동건)·이보영(지성)·박신혜(최태준)등의 톱스타 부부들이 이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유명세를 탄 곳이다. 공공산후조리원, 저렴한 비용에도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월 10일(현지시각) “11월 1일부터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 미중 무역전쟁에 다시금 불을 붙였다. 이 극단적 조치는 전날 중국 정부가 희토류(rare earth) 수출 제한을 전폭적으로 확대한다고 밝힌 데 대한 즉각적 맞불이자, 한동안 잠잠했던 세계 경제의 리스크를 부각시켰다. PBS, Reuters, Yahoo Finance등에 따르면, 월스트리트와 전 세계 금융시장은 즉각적으로 요동쳤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하루 만에 878포인트(1.9%) 급락했고 S&P 500은 2.7%, 나스닥종합지수는 무려 3.6% 밀리며 4월 이후 최악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대표 IT주인 엔비디아(Nvidia)가 4.89%, AMD가 7.72%, 테슬라가 약 5.06% 각각 급락했다. 퀄컴(QUALCOMM)은 중국 반독점 이슈로 7.2% 떨어졌다. 비트코인 역시 11만3000달러대로 급락했다. 공포심을 반영하는 CBOE 변동성지수(VIX)는 26% 치솟았으며, 투자자들은 금(0.8% 상승)과 미 국채로 대피하는 반응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LG화학이 2조원대 주가수익스와프(PRS, Price Return Swap) 계약을 단행하며 LG에너지솔루션 주가가 10% 가까이 급락, 10일 단 하루 만에 시가총액 9조원 이상이 증발했다. 이 사건은 단순한 지분 매도를 넘어 글로벌 법인세 규정 변화가 한국 대표 배터리 기업의 시장가치에 큰 악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업계와 투자자 심리에 깊은 파장을 남겼다. 단 하루에 9조원 증발…시장서 ‘지분 처분 악재’ 직격탄 10월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9.90% 급락하며 35만9500원에 마감했다. 직전 거래일 기준 시총 93조3660억원에서 84조1230억원으로 하루 만에 9조2430억원이 사라졌다. 불과 일주일 전 연저점 대비 48% 가까이 급등하며 40만원에 근접했던 주가는 장중 최대 11.65% 낙폭을 기록했다. 모기업 LG화학의 PRS 전략과 글로벌 법인세 규제 급락 배경에는 LG화학이 LG에너지솔루션 주식 575만주(지분율 2.46%)를 기초자산으로 국내 주요 증권사들과 PRS 계약을 체결, 약 2조원 규모 자금 조달에 나섰다는 점이 지목된다. PRS는 만기 조건에 따라 자회사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글로벌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이 암호화폐 시장의 ‘역사적 폭락’ 이후 포트폴리오를 대대적으로 조정하며 비트코인에서 이더리움으로 무게중심을 옮기고 있다. 이는 10월 10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100% 관세 발표로 촉발된 암호화폐 대폭락 이후 기관 투자자들의 전략 재편 흐름과 맞닿아 있다. 2836만 달러 비트코인 매도 후 4547만 달러 이더리움 매입 CoinCentral, CoinDesk, The Economic Times, Fox Business, The Tribune, Citation Needed, Yahoofinance에 따르면, 10월 16일 블록체인 분석사 룩온체인(Lookonchain)에 따르면 블랙록은 약 2836만 달러(272.4 BTC) 규모의 비트코인을 코인베이스 프라임(Coinbase Prime)에 예치하는 동시에, 4547만 달러(1만2098 ETH) 상당의 이더리움을 인출했다. 이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가 비트코인의 단기 약세를 피해 상대적으로 안정세를 보인 이더리움으로 전략적 비중을 전환했다는 해석을 낳고 있다. 비트코인은 10월 6일 사상최고치였던 12만6272달러에서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에 대한 증권가 기대감이 최고조에 달했다. 국내 유수 증권사들이 31일 일제히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실적 발표에 힘입어 내년(2026년) 목표주가를 15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며, 82조원이 넘는 사상 최대 영업이익 달성을 전망했다. 3분기 역대 최대 실적…반도체 부문 수익성 급증 삼성전자는 2025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86조1000억원, 영업이익 12조2000억원을 기록,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8%, 32.5% 증가하며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달성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영업이익 7조원으로 전 분기 4000억원 대비 17배 급증했다. HBM3E(고대역폭 메모리) 제품을 전 고객 대상으로 양산 판매에 들어간 점이 수익성 개선을 견인했다. 서버 SSD 판매도 확대되며 메모리 매출은 분기 최대 기록을 세웠다. 폴더블 신모델과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로 인한 모바일 경험(DX) 부문 매출도 전 분기 대비 11% 증가했다. 연구개발비도 3분기 누계 기준 역대 최대인 26조9000억원을 집행하며 미래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 증권가, 15만원 목표주가 상향…"내년 영업이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가 앞으로 10년 내 사라질 수 있다는 파격적인 전망이 나왔다. 발언의 주인공은 스텔란티스의 전 최고경영자(CEO) 카를로스 타바레스. 그는 최근 프랑스 일간지 르에코스와의 인터뷰에서 “테슬라는 혁신적이지만 BYD의 효율성에 밀려 10년 후에도 존재할지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르에코스, Fortune, Statista, Teslarati, Car News China에 따르면, 타바레스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이미 휴머노이드 로봇, 우주탐사(스페이스X),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며 “머스크가 결국 자동차 산업을 떠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머스크는 테슬라의 자율주행차 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면서도 최근 여러 신사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테슬라의 시장 변동성은 주요 지표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난다. 테슬라의 2025년 3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281억 달러(약 40조2700억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지만, 영업이익률은 급감했고 주당순이익(EPS)은 시장 기대를 하회했다. 특히 중국 시장에서 테슬라의 EV 인도량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성인 콘텐츠 구독 서비스 온리팬스(OnlyFans)가 42명의 직원으로 2024 회계연도에 약 14억1000만 달러(약 2조3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직원 1인당 매출 3760만 달러(약 541억원)를 달성, 구글·메타·애플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훌쩍 뛰어넘는 생산성을 자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eekNews, Net Influencer, Hypebeast, toolify.ai에 따르면, 이는 엔비디아(360만 달러), 애플(240만 달러), 메타(220만 달러), 구글(190만 달러), 마이크로소프트(110만 달러) 등 대규모 인력을 보유한 빅테크 기업보다 10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온리팬스의 총 거래액은 72억2000만 달러(약 10조3800억원)에 달하며, 이 중 20%를 플랫폼이 수수료로 취해 매출로 기록한다. 나머지 80%는 460만명 이상의 콘텐츠 창작자들에게 돌아가며, 창작자가 직접 콘텐츠 제작과 이용자 확보를 책임지는 ‘이용자 주도형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이다. 온리팬스의 2024년 세전 이익은 6억8400만 달러(약 9840억원), 순이익은 5억2000만 달러(약 7480억원) 수준으로, 최소 인력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