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애플 출신 개발자들이 2023년 설립한 스타트업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스(Software Applications Incorporated)’를 인수했다고 10월 23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CNBC, 블룸버그, 테크크런치, 테크버즈에 따르면, 해당 스타트업이 개발한 맥OS 전용 인공지능 기반 자연어 인터페이스 ‘스카이(Sky)’는 사용자가 글쓰기, 계획 수립, 코딩, 업무 관리 등 다양한 작업을 AI와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혁신적인 도구다. 스카이는 화면에 나타난 정보를 이해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어하는 기능을 갖추어 기존 챗GPT의 텍스트 응답을 넘어 실제 작업 수행까지 확장된 AI 경험을 제공한다. 오픈AI는 스카이의 깊이 있는 맥OS 통합 및 제품 설계 역량을 챗GPT에 접목시켜, 사용자들이 매일 사용하는 컴퓨터 툴에 AI를 직접적으로 융합하는 미래 지향적 비전을 구현할 계획이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스는 애플에서 워크플로우(Workflow)라는 자동화 앱을 개발한 인력 일부가 2023년 퇴사 후 공동 창업했으며, 워크플로우는 애플에 인수돼 현재 ‘쇼트컷(Shortcuts)’이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성격이 인간들의 수명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는 사실이 연구로 밝혀졌다. 최근 프랑스 몽펠리에대,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영국 에든버러대, 아일랜드 리머릭대 공동 연구진이 미국 대규모 종단 연구 2만20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성격 특성이 수명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밝혀냈다. 특히 기존 빅파이브(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신경성) 모델보다 이를 세밀한 하위 특성별로 나누어 분석했을 때 사망 위험 예측력이 약 두 배까지 향상됐다. 연구 결과 신경성(불안, 기분 변화 심함) 점수가 높을수록 사망 위험은 증가했고, 외향성·친화성·성실성 점수가 높을수록 사망 위험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개방성은 일관된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2025년 9월 국제 학술지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에 게재됐다. 사망 위험 감소와 가장 강하게 연관된 성격 특성은 '활동적'(외향성 영역)으로 이 경우 사망 위험이 21%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서 '생기 있다'(외향성), '체계적이다', '책임감 있다', '근면하다', '꼼꼼하다'(성실성), '기꺼이 돕는다'(친화성)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독일 과학자들이 항공기 연료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합금을 개발했다. 독일 칼스루에공과대학교(Karlsruhe Institute of Technology, KIT) 연구진이 항공기 엔진과 가스 터빈의 연료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고온 내열 합금을 개발해 항공산업 연료혁명을 예고했다. 칼스루에공대 KIT 연구 발표(Nature, 2025), 글로벌 초합금 시장 보고서, 항공산업 연료 비용 통계, Sofie Reimer, Future Market Insights, eplaneai, NMG Aerospace에 따르면, 이 크롬-몰리브덴-실리콘 합금은 약 2000도(화씨 약 3632도) 고온에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상온에서는 연성을 갖추고 산화 저항성도 뛰어난 특징을 지녔다. 수십 년간 항공재료 분야의 난제로 꼽혀온 상반된 특성의 조합을 이뤄낸 이번 연구는 10월 8일 세계적 권위지 《네이처》(Nature)에 게재되며 주목받았다. 현재 상용되는 니켈 기반 초합금은 최대 1100도 수준에서만 안정 작동이 가능해 엔진 효율성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KIT 연구진은 “터빈 작동 온도만 100도 올려도 연료 소비를 약 5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최근 "인간과 AI 에이전트가 혼합된 미래의 기업 인력 구조"를 제시하며, 이미 자사 사이버보안 부서에서 AI 에이전트가 인간 직원 수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fortune, businessinsider, yahoo, axios에 따르면, 황 CEO는 10월 20일 열린 Citadel Securities의 'Future of Global Markets' 컨퍼런스에서, AI 에이전트가 기업 내 HR 부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며, IT 부서가 곧 디지털 직원의 채용과 온보딩을 맡는 인적자원(HR) 부서로 진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황 CEO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모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와 칩 디자이너(100%)는 이미 Anysphere가 개발한 AI 코딩 어시스턴트 'Cursor'를 사용 중이다. Cursor는 지난 1년간 사용량이 100배 증가해 100만명 이상의 개발자, 특히 오픈AI, 삼성, Shopify 같은 대기업에서 폭넓게 채택되고 있다. Cursor는 일상적인 코딩 작업과 디버깅을 자동화해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도구로 자리잡았다. 황 CEO는 앞으로 기업들이 오픈AI(언어모델), Harve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얼음의 나라’로 불리는 아이슬란드에서 사상 최초로 모기가 자연 서식하는 현상이 발견되면서 전 세계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다시 한 번 일깨우고 있다. 2025년 10월 21일(현지시간) 아이슬란드 자연과학연구소 소속 곤충학자 마티아스 알프레드손(Mattias Alfredsson)은 수도 레이캬비크 북쪽 약 30km 지역에서 암컷 모기 2마리와 수컷 1마리 총 3마리의 줄무늬모기(Culiseta annulata)를 포획했다고 AFP통신과 영국 일간 가디언 등 여러 매체가 보도했다. 아이슬란드는 혹독한 추위와 긴 겨울 덕분에 남극과 더불어 전 세계에서 모기가 서식하지 않는 몇 안 되는 청정지역이었다. 그러나 최근 전 세계 평균보다 약 4배 빠른 속도로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여름이 길어지고 겨울은 더 따뜻해지는 등 기후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25년 5월 일부 지역의 기온은 평년보다 섭씨 18도 이상 높은 기록적인 폭염을 기록했고, 앞바다에서 발견되는 어종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줄무늬모기는 유럽과 북아시아, 북아프리카 등, 비교적 추운 지역에도 적응력이 높은 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발견된 모기들은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글로벌 패션 브랜드 유니클로(UNIQLO)가 ‘2025 FW 유니클로 and JW 앤더슨(UNIQLO and JW ANDERSON)’ 컬렉션을 오는 10월 17일 출시한다. 영국 전통의 아웃도어 웨어에서 영감을 받은 이번 컬렉션은 디자인과 실용성을 겸비한 클래식한 브리티시 스타일을 새롭게 해석했다. 이번 컬렉션의 퍼프테크 유틸리티 재킷은 헌팅 재킷을 기반으로 디자인되었으며, 와이드 테이퍼드 실루엣의 코듀로이 워크 팬츠는 영국식 워크웨어 스타일의 앞주머니가 포인트다. 착용감이 부드러운 판초는 담요로도, 아우터로도 활용할 수 있다. 기능성과 디자인이 조화를 이루는 점 또한 이번 컬렉션의 특징이다. 가볍고 따뜻한 고기능성 충전재 퍼프테크(PUFFTECH)가 사용된 쇼트 재킷은 크롭된 기장으로 트렌디한 룩을 완성한다. 두 가지 컬러가 어우러지는 헤링본 패턴의 램스울 크루넥 스웨터는 젠더리스 아이템으로 누구나 쉽게 연출할 수 있으며, 다채로운 색상과 위트 있는 디자인으로 매 시즌 사랑받는 히트텍 삭스는 5가지 디자인, 10가지 색상으로 만날 수 있다. 본 컬렉션의 디자이너인 조나단 앤더슨(Jonathan Anderson)은 “전통적인 브리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공무상 출장 등으로 쌓인 외교관의 항공기 마일리지를 환수할 규정이 없어 퇴직시 해당 마일리지가 개인에게 귀속되는 금액이 5년간 무려 4억6000만원에 달했다. 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 9월 20일까지 외교부 퇴직자 662명이 공무 출장으로 쌓은 항공 마일리지가 총 2328만 마일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4억6000만원에 이르는 규모다. 해당 마일리지는 인천과 뉴욕 구간을 1700회 왕복할 수 있는 양이다. 그러나 이 공적 마일리지는 환수나 공적 사용에 관한 명확한 규정이 없어 퇴직자 개인에게 귀속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어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고위직 평균 보유 마일리지 9만3370마일…소멸분도 2244만 마일 올해 기준으로 장·차관급 고위직의 경우 1인당 평균 9만3370마일, 일반 직원은 평균 1만3042마일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마일리지 누적량이 많고 관리가 어려워 유효기간 내 사용하지 못해 폐기되는 공적 마일리지도 상당하다. 최근 5년간 만료로 소멸한 마일리지는 약 2244만 마일에 달한다. 이러한 마일리지의 비활용은 국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대만이 2003년 이후 처음으로 1인당 국내총생산(GDP) 세계 순위에서 한국을 앞지르는 경제적 대변혁이 현실화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최신 전망에 따르면, 대만의 1인당 GDP는 올해 11.1% 증가한 3만7,827달러로 38위에서 35위로 상승하는 반면, 한국은 0.8% 감소한 3만5,962달러에 머물며 34위에서 37위로 하락할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의 기술 주도 성장과 AI 반도체 호황 이 경제 역전의 핵심에는 대만의 반도체 산업, 특히 세계 시장 점유율 70%를 자랑하는 대만반도체제조사(TSMC)의 급성장이 자리잡고 있다. AI 기술 부문의 세계적 수요 폭발로 TSMC를 비롯한 반도체 생태계가 전례 없는 수출 호조를 보이고 있어 대만 경제를 강력하게 견인 중이다. 지난 2분기 대만 경제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8.01%에 달했고, 이로 인해 정부는 당초 3.1%였던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4.45%로 상향 조정했다. 아시아개발은행은 대만의 2025년 GDP 성장률을 5.1%로 예측했으며, 노무라는 6.2%까지 상향 조정했다. 수출 규모 측면에서도 대만은 올해 8월 처음으로 월간 수출액에서 한국을 앞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고려아연을 비철금속 세계 1위로 키워낸 ‘비철금속업계 거목’ 최창걸 명예회장이 향년 84세(1941년생)를 일기로 타계했다. 고려아연은 최 명예회장이 숙환으로 영면했다(1941~2025)고 6일 밝혔다. 최 명예회장은 서울 연건동 서울대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아왔다. 임종은 유중근 여사(전 대한적십자사 총재)와 최윤범 회장 등이 지켰다. 최 명예회장은 고려아연을 비철금속 세계 1위 반열에 올리고, 한국의 제련산업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등 ‘비철금속업계 거목’으로 평가받는다. 1941년 황해도 봉산에서 태어난 최 명예회장은 1974년 창립 때부터 고려아연에 몸담아왔으며, 자원빈국이자 아연제련업 불모지였던 우리나라에서 불과 30년 만에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전세계 제련소들을 제치고 고려아연을 세계최고의 종합비철회사로 성장시켰다. 덕분에 고려아연은 전세계 제련소를 대표해 세계최대 광산업체와 벤치마크 제련수수료(TC)를 협상하는 명실상부한 ‘세계 1위’ 업체로 우뚝 섰다. 장례는 7일부터 4일간 회사장으로 치러진다. 이제중 고려아연 부회장이 장례위원장을 맡는다.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20호실)에 마련되며, 영결식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항구물범은 그들의 수염만을 이용해 17.6밀리미터의 미세한 수중 소용돌이 폭 차이를 감지함으로써, 도망치는 물고기의 정교한 도주 전략을 간파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Phys.org, Earth.com, Miragenews에 따르면, 독일 로스토크 대학교 연구진은 항구물범 필루(Filou)를 훈련시켜 눈을 가린 상태에서 서로 크기가 다른 회전 소용돌이 고리를 수염 감각만으로 구분하도록 했으며, 필루는 80% 이상의 높은 정답률을 기록해 이 해양 포식자의 수염이 놀라운 감각 기관임을 입증했다. 이 연구결과는 2025년 9월말 《실험생물학 저널》(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에 발표됐다. 물고기는 도주할 때 세 방향으로 거의 동시에 물줄기(젯트)를 발사해 물속 '연기 고리'라고 할 수 있는 소용돌이 고리를 형성한다. 이는 포식자가 물고기의 실제 도주 방향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일종의 속임수다. 하지만 연구진에 따르면, 도피 물고기가 반대 방향으로 만든 더 큰 소용돌이 고리를 수염으로 판별할 수 있으면 물개는 진짜 도주 방향을 파악해 먹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