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8월 8일, 지구 근처를 대형 소행성 두 개가 드문 이중 근접 비행으로 안전하게 통과했다. Indiatimes, Moneycontrol, Economic Times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이를 공식적으로 ‘근접 접근(close approach)’으로 분류했으나, 두 소행성 모두 수백만 마일 떨어진 거리를 유지하며 지구와 충돌 위험은 전혀 없다고 밝혔다. 이번 동시 근접 비행은 전 세계 천문학자들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다양한 강력 망원경 관측을 통해 이들 소행성에 대한 귀중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회가 됐다. 첫 번째 소행성인 2025 OJ1은 약 300피트(약 91미터) 직경으로, 이는 30층 건물 높이에 해당한다. NASA의 지구근접천체(NEO) 추적 시스템에 따르면 이 소행성은 지구로부터 약 320만 마일(약 515만 킬로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근접 통과했다. 이는 지구와 달 사이 평균 거리(약 24만 마일)의 약 13배에 해당하는 거리지만 천문학적으로는 매우 가까운 수준이다. 두 번째 소행성인 2019 CO1은 약 200피트(약 61미터)로, 보잉 747 여객기 길이와 비슷하며,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나이지리아의 에구시(egusi) 멜론 씨앗이 2025년 7월 31일(현지시간)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 커내버럴에서 스페이스X 팰컨 9 로켓을 타고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발사되어, 서아프리카 원산 작물이 처음으로 우주에서 실험되는 역사적인 기록을 세웠다. Space in Africa, Punch Newspapers, technext24, Phys.org 등의 매체와 기관들의 보도와 발표에 따르면, 이 씨앗들은 NASA의 Crew-11 임무 일환으로 발사되어 여러 날 동안 미세중력과 우주 환경에 노출된 후 8월 초 태평양에 착수하며 지구로 귀환했다. 이 프로젝트는 Space in Africa의 창립자이자 프로젝트 수석 과학자인 테미다요 오니오순 박사가 나이지리아 오요주에서 직접 조달했으며, 전 세계 여러 나라(이집트, 아르메니아, 파키스탄 등)와 협력하는 글로벌 “Earth Seeds for Space Initiative”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귀환한 에구시 씨앗은 미국 플로리다 대학교의 와그너 벤드라메 박사 연구실과 나이지리아 국제열대농업연구소의 연구진, 그리고 브라질 과학자들과 협력해 집중적인 연구에 들어갔다. 시험관 내 발아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사운드하운드 AI(SOUN)가 2025년 2분기 기록적인 실적을 발표하며 주가가 프리마켓에서 25% 이상 급등했다. 이 회사는 전년 동기 대비 217% 증가한 4270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해 월가 예상치 3290만 달러를 크게 넘어섰다. SoundHound 공식 IR자료와 Yahoo Finance, MarketScreener, Investing.com의 보도에 따르면 , 사운드하운드 키반 모하제르 CEO는 이번 분기를 “역대 최강 분기”라 평가하며, "2024년 전략적 인수가 성과를 내며 모든 사업 부문에서 두드러진 성장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재무 측면에서 SoundHound는 GAAP 기준 매출 총이익률 39%, 비GAAP 매출 총이익률 58.4%를 기록했으나, 관련 인수로 인한 저마진 사업 구성이 확대되면서 이익률은 작년 대비 다소 하락했다. 순손실은 GAAP 기준 7470만 달러였고, 비GAAP 기준으로는 1190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주당순손실은 GAAP 0.19달러, 비GAAP 0.03달러로 애널리스트들의 0.09달러 예상 손실보다 훨씬 적은 손실을 나타냈다. 회사는 이러한 견조한 실적에 힘입어 2025년 연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본 최대 일간지 요미우리신문이 미국의 생성형 AI 검색 스타트업 퍼플렉시티를 상대로 자사 온라인 기사 무단 사용에 따른 저작권 침해 혐의로 손해배상 소송을 도쿄지방법원에 제기했다. 요미우리는 2025년 2월부터 6월까지 약 11만9000여건에 달하는 기사 무단 복제로 인해 자사 웹사이트 방문자 수가 감소하고 광고 수익이 줄어들었다며, 총 21억6800만엔(약 204억원)의 배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번 소송은 일본 주요 언론사가 생성형 AI 기업을 상대로 제기한 최초의 저작권 침해 소송으로 평가된다. 요미우리 측은 퍼플렉시티가 AI 기반 검색 서비스로서 이용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인터넷 최신 정보를 수집해 요약해 제공하는 과정에서 무단으로 자사 기사를 복제·송신해 복제권과 공중송신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런 무단 이용이 뉴스 사이트 직접 방문을 줄여 정확한 기사접근성을 저해하고 이는 곧 민주주의 기반을 흔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에서도 2024년 12월 월스트리트저널과 뉴욕포스트의 모회사인 다우존스가 뉴욕 연방법원에 퍼플렉시티를 상대로 유사한 저작권 소송을 제기한 바 있어 글로벌 미디어 기업과 AI 스타트업 간 갈등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국제 연구진이 23만6000명 이상의 유전 데이터를 분석해 동일한 유전자가 모계 또는 부계에서 유전받았는지에 따라 극적으로 다른, 심지어 정반대의 효과를 낼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했다. 이 연구는 2025년 8월 6일 세계적 학술지 'Nature(Parent-of-origin effects on complex traits in up to 236,781 individuals (2025))'에 발표됐으며, 기존 유전에 대한 근본적 가정을 뒤엎는 중대한 발견으로 평가받는다. SIB Swiss Institute of Bioinformatics, News-Medical, Nature 관련 뉴스를 기초로 이 연구결과를 알아봤다. 같은 유전자, 어느 부모로부터 왔느냐에 따라 정반대 효과 과학자들은 유전적 변이가 모계 또는 부계로부터 유전되는지에 따라 극적으로 다르거나 심지어 정반대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유전에 대한 근본적인 가정에 도전하고 개인 맞춤 의학을 위한 새로운 길을 열어주고 있다. 연구팀은 '부모 기원 효과(Parent-of-Origin Effects, POEs)'라 불리는 유전자 현상을 34개 확인했는데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최근 물리학자들이 양자역학 영역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이뤄냈다. 오사카 메트로폴리탄 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원의 공동 연구팀은 반 고흐의 걸작 ‘별이 빛나는 밤’에 등장하는 소용돌이치는 하늘 패턴과 매우 흡사한 양자 소용돌이를 양자 켈빈-헬름홀츠 불안정성(Quantum Kelvin-Helmholtz Instability, KHI) 현상으로 처음으로 직접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eurekalert.org, openaccessgovernment.org, bioengineer.org의 발표자료를 바탕으로 핵심내용을 알아봤다. 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Nature Physics에 2025년 8월 발표되며 양자 난류와 위상학적 결함 연구에 새 지평을 열었다. 켈빈-헬름홀츠 불안정성은 서로 다른 속도로 흐르는 두 유체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전통적 유체역학 현상으로, 바람에 휩쓸린 바다 파도나 구름의 소용돌이처럼 겉으로 관측 가능한 파동과 덩어리를 형성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리튬 원자 가스를 절대온도 근처로 극저온 냉각해 다성분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라는 양자 초유체 상태를 만들어 서로 다른 속도로 흐르는 두 개의 양자 흐름을 구현했다. 이 경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01년 9월 11일 세계무역센터(WTC) 테러 공격 발생 약 24년이 지난 2025년 8월, 뉴욕시 수석 검시관실(OCME)은 진보된 DNA 분석기술을 통해 세 명의 희생자 신원을 새롭게 확인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에 확인된 희생자는 라이언 피츠제럴드(26세, 뉴욕 플로럴 파크 출신 외환 트레이더), 바바라 키팅(72세, 캘리포니아 팜스프링스 출신 은퇴 비영리 단체 임원), 그리고 가족 요청에 따라 신원이 공개되지 않은 여성 한 명이다. 이로써 9/11 당시 2753명 중 세계무역센터 희생자로 공식 확인된 총 인원은 1653명에 이르게 됐다. 이번 신원 확인은 거의 20여년 전 테러 당시 WTC 현장에서 수습된 미세한 인체 유해물들이 최신 DNA 기술로 재분석되면서 가능해졌다. 과거의 DNA 분석 기술로는 식별이 어려웠던 상태였던 유해들에서 극소량의 유전정보를 읽어내는 역량이 최근 크게 향상된 결과다. 뉴욕시 수석 검시관 제이슨 그레이엄 박사는 “시간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과학의 약속과 가족들과의 지속적인 협력이 이뤄낸 성과”라며 “잃어버린 이들을 기리는 헌신의 일환으로 계속 이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바바라 키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2025년 8월, 노안(근거리 시력 손실) 치료를 위한 최초의 약물학적 치료법이자 아세클리딘 기반 안약인 VIZZ(아세클리딘 안과용 용액 1.44%)를 공식 승인했다. 이로써 약 1억2800만명에 달하는 미국의 노안 환자들과 전 세계 수십억 명의 연령 관련 근거리 시력 저하 문제에 혁신적이고 비수술적 치료 대안이 제시됐다. LENZ Therapeutics 공식 보도자료, Managed Healthcare Executive, IMARC/Straits Research의 시장 보고서와 Medical Xpress, Eyewire News, CRST Global, Vision Monday의 보도에 따르면, VIZZ는 렌즈 테라퓨틱스(LENZ Therapeutics)가 개발했으며, 하루 한 번 점안으로 동공 크기를 2mm 이하로 수축해 '핀홀 효과'를 통해 초점 심도를 확장, 30분 내 근거리 시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최대 10시간 동안 지속된다. 임상시험에서 확인된 효과 지속 시간은 기존 필로카르핀 기반 치료제보다 크게 향상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VIZZ는 동공 선택적 축동제 역할을 하는 아세클리딘을 활성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6월 26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의 한 주택 지붕을 강타한 운석이 지구 나이보다도 약 2000만년 더 오래된 45억6000만년의 연대를 가진 것으로 과학자들에 의해 확인됐다. NASA와 조지아 대학교(University of Georgia, UGA)는 공식 발표를 통해 이 우주 암석을 파편 23그램을 분석한 후 공식적으로 ‘맥도나 운석(McDonough Meteorite)’이라 명명했다. 이 운석은 화성와 목성 사이에 위치한 주(主) 소행성대에 속하는 저금속(L) 보통 콘드라이트(L ordinary chondrite)로 분류되며, 약 4억7000만년 전 한 대형 소행성의 분해와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연구진은 설명했다. 스콧 해리스(Scott Harris) UGA 행성 지질학자는 “이 운석은 45억6000만년 전에 산소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형성되어 지구 자체보다 나이가 더 많다”고 밝혔다. 충돌 당시 운석은 시속 약 3만마일(약 4만8280km)을 달리며 대기권에 진입했고, 높이 약 27마일(43km) 상공에서 분해되면서 TNT 20톤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방출했다. 운석 충격은 조지아 헨리 카운티의 한 주택 지붕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플로리다주가 심각한 생태계 파괴를 일으키는 외래 침입종인 대형 버마비단뱀 퇴치를 위해 첨단 ‘로봇 토끼’를 활용하는 혁신적인 방안을 도입했다. USA투데이, BBC, Palm Beach Post, South Florida Water Management District, University of Florida, Florida Fish and Wildlife Conservation Commission 등의 보도와 발표자료를 취합한 바에 따르면, 플로리다 남부 수자원관리국과 플로리다대 연구진이 공동 개발한 40대의 태양열 작동 원격조종 로봇 토끼는 최대 서식지인 에버글레이즈 습지 일대 곳곳에 배치돼, 포식자로서 뛰어난 적응력과 번식력을 보이는 비단뱀을 유인해 제거하는 데 투입되고 있다. 비단뱀의 폭발적 증식과 생태계 교란 심각 1970년대 해외 파충류 애호가들이 기르다 버린 비단뱀이 야생화한 버마 비단뱀은 2024년 기준 플로리다 전역에 30만 마리 이상으로 추정되며, 몸길이 최대 6m에 이르고 한번에 최대 100개의 알을 까는 고번식력으로 고질적인 생태계 위협으로 자리 잡았다. 이들은 주로 에버글레이즈를 포함해 레이크 오키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