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련된 안전관리자가 24시간 현장을 지키듯 인공지능(AI)이 기업의 든든한 '디지털 파수꾼'으로 나선다. 복잡한 법규와 까다로운 안전관리 업무로 고민하던 사업주들에게 AI 기술이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하며 산업안전의 패러다임을 송두리째 바꾸고 있다. 최근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한국산업보건학회 하계학술대회는 이러한 변화의 현주소를 생생히 보여준 무대였다. 특히 대한중대재해예방협회가 선보인 AI 기반 안전관리 솔루션과 노사정이 함께한 라운드테이블은 산업안전 분야의 디지털 전환이 더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님을 확인시켜 주었다. 현장이 원하는 실용적 AI의 등장 중소기업 현장에서 안전관리는 딜레마였다. 법적 의무는 까다로워지는데 인력과 예산은 부족하고, 전문성은 갖추기 어렵다. 이런 현실에서 대한중대재해예방협회의 'AI 안전비서 KAPA 솔루션'은 반가운 소식이다. 이 솔루션의 핵심은 '실용성'에 있다. 위험성 평가부터 현장 점검, 법정 교육 관리까지 복잡한 업무를 자동화하되 현장 실무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특히 근골격계 부담 조사 같은 전문적 업무를 클릭 한 번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한 것은 중소기업 현장의 고충을 정확히 파악한 결과다. 더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들어 글로벌 항공업계에 승객 및 반려동물 관련 규정이 파격적으로 개정되고 있다. Newsweek, Euronews, Forbes, Pet Abroad에 따르면, 미국 사우스웨스트항공은 내년 1월부터 최저 15.5~17.8인치(약 39.4~45.2cm) 표준 좌석 폭 내에 신체가 완전히 들어가지 않는 승객에게 사전 ‘좌석 추가 구매’를 의무화하는 새 정책을 시행한다. 또 이탈리아에서는 올 5월부터 대형견도 항공기 객실 동반이 가능해졌다. 전 세계 항공산업 규제가 빠르게 새 패러다임으로 전환 중인 것이다. 미국: “좌석 넘는 승객, 예외없이 추가 결제…환불은 제한” 사우스웨스트항공은 2026년 1월 27일부터 ‘Customer of Size’ 정책을 개편해, 양쪽 팔걸이를 모두 내린 상태에서 좌석 내에 신체가 들어가지 않는 경우 모든 승객이 반드시 사전 추가 좌석을 구매하도록 한다고 발표했다. 기존에는 별도 비용 없이 두 좌석을 예약하고, 경우에 따라 전액 환불도 받았으나, 앞으로는 항공기 출발 시 빈 좌석이 있을 때만 제한적으로 환불이 가능하다. 환불은 동일 예약 클래스에서 예매하고, 비행 종료 90일 이내 신청해야 한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최근 5년간 한국에서 미성년자에게 투여가 금지된 의약품이 약 13만건 처방된 것으로 확인돼 의약품 안전관리 체계의 심각한 허점이 드러났다. 13일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미성년자 대상 금기약제 처방은 12만9228건에 달했으며, 2020년 1만1128건에서 2024년 7만1234건으로 6배 이상 급증했다. 올해만도 1만9467건으로 집계됐다. 금기 의약품은 총 22종이며, 이 중 11종은 실제 의료기관에서 처방돼 청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처방된 약품은 항균제 ‘레보플록사신’(9만7338건)으로, 2023년 12월 보건복지부의 급여 예외 인정 고시 이후 급증했으나, 식약처 지정 연령금기 상태는 유지되고 있다. 뒤이어 수면제 ‘트리아졸람’(2만913건), 발기부전 치료제 ‘실데나필’(비아그라 성분, 5116건)이 포함됐다. 트리아졸람은 의존성과 인지장애 위험으로 18세 미만 사용 금지, 실데나필도 심혈관계 부작용 위험으로 소아 투여가 금지된 약물이다. 이외에도 마약성 진통제 ‘부토르파놀’(203건), 항우울제 ‘노르트립틸린’(2,034건), 골다공증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중국이 지난 8월 북극 해빙 아래에서 첫 유인 심해 잠수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극지 해양 탐사 역량에서 획기적 도약을 이루었다. 중국 국영 매체 CCTV, CGTN, 글로벌 타임스에 따르면, 이번 잠수는 중국의 최대 규모인 15번째 북극해 과학 탐사 ‘오션 보이지 92’(Ocean Voyage 92) 임무의 일환으로 약 10회 이상의 심해 잠수를 실시했으며, 세계 최초로 유인 잠수정 자오롱(蛟龙)과 원격조종무인잠수정(ROV)이 동시 작전을 펼치는 신기술을 선보였다. 탑승식 심해 잠수정 자오롱은 연구선 선하이-1에 탑재되어 북극 추코치 해역과 캐나다 분지, 북극 중앙해 등을 탐사하며 생물 및 퇴적물 샘플을 수집했다. 특히 8월 14~15일에는 ROV와 연동해 수중 통신 및 위치 확인 시스템을 시험하며 잠수정의 단독 운항 전통을 넘어 협업 잠수 기술을 완성했다. 심해공학기술센터 이더웨이 부센터장은 “각 잠수정의 역량을 합친 시너지 효과로 더 많은 과학적 성과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이번 원정대는 중국 최초 자국 기술로 만든 극지 쇄빙선 쉬에롱 2호를 포함해 쉬에롱 2, 지디, 선하이-1, 탄쑤오-3 등 4척의 선박으로 구성되었으며,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9월 24일 오전 11시 16분,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가 별도의 연료 소모 없이 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동결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했다. 우주항공청은 이번 동결궤도 전환으로 다누리가 2027년 12월까지 추가 임무를 수행하면서 달 표면 관측과 과학 탐사 성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동결궤도가 뭐지? 동결궤도는 달의 중력 분포 특성에 의해 별도의 궤도 조정용 연료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도 자연적으로 궤도 유지가 가능한 타원형 궤도다. 다누리는 이 궤도에서 낮은 지점은 60km, 높은 지점은 200km의 고도를 오가며 안정적으로 달 주위를 돌게 된다. 기존 원형 궤도와 달리 타원형 궤도 진입은 다누리가 궤도 유지에 쓸 연료를 극적으로 절약할 수 있게 해 임무 기간 연장을 가능하게 했다. 다누리는 2022년 8월 5일 스페이스X 팰컨9에 실려 발사됐으며, 2023년 2월 19일부터 고도 100km의 원형 궤도 대신 60km 저궤도 임무를 7개월간 수행했다. 이후 잔여 연료와 우주선 상태가 양호해 두 차례 임무 연장을 거쳐 2027년 12월까지 운영하기로 했다. 향상된 과학 관측 임무 동결궤도에서는 다누리 탑재 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 스타트업 AheadForm Technology가 최근 공개한 ‘Elf V1’ 휴머노이드 로봇이 생체모방 피부와 30개의 정밀 안면 근육 액추에이터를 통해 전례 없는 초현실적 인간 표정을 구현하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CGTN, Interesting Engineering, Designboom, TechNode, HouseBots에 따르면, 이 로봇은 고성능 AI와 감성 인식 기술을 결합해 인간의 미묘한 감정 변화를 실시간으로 읽고 반응할 수 있어, 오랫동안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가 직면한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현상을 극복하는 새로운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다. Elf V1은 컬럼비아 대학 박사 출신 Yuhang Hu가 2024년에 설립한 AheadForm이 개발했으며, 초소형 브러시리스 마이크로 모터가 얼굴 전체에 분포돼 눈썹, 입술, 시선 등을 자연스럽게 조절한다. 부드럽게 늘어나고 주름지는 독자 개발 실리콘 복합 소재의 바이오닉 스킨은 사람의 피부 질감을 사실적으로 모사하며, 내장된 카메라와 마이크는 시각-청각 정보를 실시간 AI 처리 시스템에 전달해 대화와 감정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AheadForm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대법원이 10월 16일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의 이혼 소송 상고심에서 약 1조3808억원의 재산분할을 명령한 2심 판결을 파기환송함에 따라, 8년 넘게 이어진 SK그룹의 ‘경영권 리스크’가 사실상 해소됐다. 이번 판결로 SK는 미국과 유럽을 잇는 인공지능(AI)·반도체 신성장사업에 총력을 집중할 수 있는 경영 환경을 되찾게 됐다. 경영권 불확실성 제거…지배구조 위험 해소 대법원 1부(주심 서경환 대법관)는 원심이 인정했던 노태우 전 대통령의 300억원 자금이 불법 비자금으로, 재산 형성 기여분으로 간주될 수 없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최 회장이 노소영 관장에게 지급해야 할 재산분할금 규모는 1조3808억원에서 655억원 수준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이번 결정으로 SK㈜ 지분 매각이나 SK실트론과 같은 핵심 계열사 지분 처분 가능성이 줄어들어, 그룹 지배구조의 지속 안정성이 확보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최 회장은 SK㈜ 주식 1297만5472주(17.9%)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54.9%인 713만3588주는 이미 금융권 담보로 설정돼 있었다. 만약 원심이 확정됐다면 SK그룹의 경영권 자체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피터 하윗 미국 브라운대 명예교수(79)가 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한 혁신과 성장 동력 유지를 위해서는 강력한 반독점 정책이 필수적이라고 13일(현지시간)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강조했다. nobelprize, Business Standard, The Economic Times, CBC에 따르면, 하윗 교수는 "성공한 국가일수록 기존 대기업들이 혁신을 가로막지 못하도록 확고한 반독점 규제가 필요하다"며 "경쟁적 시장 환경 속에서 선도 기업들이 혁신을 이어갈 유인이 유지돼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에서도 최근 몇 년간 독점권력이 커지면서 혁신과 경제성장에 악영향을 미친 사례를 들며 반독점 정책의 중요성을 힘주어 설명했다. 창조적 파괴 이론의 새로운 해석 하윗 교수와 필리프 아기옹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는 전통적인 조지프 슘페터의 창조적 파괴 이론에 대해 새로운 수학적 모델을 제시했다. 슘페터 이론은 독점적 지위에서 기대되는 이익이 혁신을 유발한다고 봤으나, 하윗 교수는 "시장 경쟁이 치열할수록 기존 기업들이 뒤처지지 않기 위해 더 많이 혁신하는 ‘경쟁 회피 효과(escape competition effec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KT가 글로벌 AI 플랫폼 기업 팔란티어와 한국에서 첫 CEO 회동을 갖고, 사내 적용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 산업 전반에 팔란티어 플랫폼을 확산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 3월 KT는 팔란티어와의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국내에서 최초로 팔란티어의 ‘프리미엄 파트너’ 지위에 올랐다. 팔란티어는 KT의 대한민국 AX 산업 환경에 대한 이해도와 우수한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시장의 문을 두드린다. KT 김영섭 대표와 팔란티어 알렉스 카프 CEO는 KT 광화문 빌딩에서 다시 만나 그간 추진한 팔란티어 플랫폼 적용 성과를 점검하고 이를 국내 기업에 확산하기 위한 실행 전략을 재정비했다. KT는 알렉스 카프 CEO 방한을 맞이해 제2회 ‘AX 리더 써밋(AX Leader Summit)’도 개최했다. AX 리더 써밋은 각 산업에서 AX 흐름을 선도하는 대기업 경영 리더들과 글로벌 경영 리더 간의 포럼이다. 이번 행사에는 대한항공 우기홍 부회장, 메리츠금융지주 김용범 부회장, LS일렉트릭 구자균 회장, 포스코홀딩스 이주태 대표이사 등이 참석해 세계적인 불확실성 속에서 산업별 대응 방안을 고민하고 팔란티어 알렉스 카프 CEO와
꼬리를 흔들며 사무실 복도를 누비거나, 쇼핑몰 카페에서 ‘멍푸치노’를 마시는 반려견의 일상이 낯설지 않다. 작은 발톱 소리가 도시 공간의 새로운 리듬을 만들어내고 있다. 국내 4가구 중 1가구(26.7%)가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지금,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도 ‘네 발 혁명’이 시작됐다. 1546만 명의 반려인구가 만들어내는 펫코노미는 단순한 소비 트렌드가 아니라, 공간의 가치와 전략을 근본적으로 재정의하는 게임 체인저가 되고 있다. ◇오피스, ‘펫 프렌들리’가 경쟁력이다 직장에서의 변화는 극적이다. 2025년 3월 기준 국내 최소 630개 기업이 반려동물 동반 출근을 허용하고 있으며, 이는 2040세대 중심의 펫팸족 확산과 맞물려 빠르게 늘고 있다. 하림펫푸드, 한국마즈, 펫프렌즈 등 펫 관련 기업들이 선도하였지만, 이제는 회사의 업종을 가리지 않는다. 글로벌 사례를 보면 확실하다. 아마존은 2025년 기준 1만 5,000마리 이상의 반려견이 등록돼 사무실에 출근하고 있다. ‘Amazon Puppers Chat’이라는 전사적 커뮤니티까지 운영한다. 미국 HABRI 연구에 따르면, 반려견과 함께 출근하는 직장인의 91%가 ‘업무에 몰입하고 있다’고 응답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