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미주리 주, 일레븐 포인트 강 근처. 레이첼 간츠는 남편 존이 사라진 지 3개월이 넘은 지금도 매일 아침 “존재하고 싶지 않은 현실”에서 깨어난다. 극심한 홍수 속에서 남편을 잃은 그녀는 전문가들이 ‘모호한 상실(ambiguous loss)’이라 부르는 상태에 갇혔다. 이는 전 세계 수많은 가족들에게 닥친 현실이다. 전통적 애도와 다른 ‘모호한 상실’의 본질 모호한 상실은 ‘확실한 끝’이 없는 상실이다. 1970년대 미네소타대 폴린 보스 박사가 처음 명명한 이 개념은, 사랑하는 사람의 실종처럼 남겨진 가족이 실질적인 이별조차 할 수 없는 고통을 의미한다. 장례식도, 사망 진단서도 없기에 애도와 수용의 의식이 부재하다. 보스 박사는 “이분법적 관점(흑백·생사)을 버리지 않으면 그 고통에서 결코 벗어날 수 없다”며, 남겨진 이들의 상실감과 트라우마는 “평생 얼어붙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특히 반복적 언론 노출, 그 후 찾아오는 ‘정적’은 슬픔을 더욱 심화시킨다. 리디아 루덴코 등 많은 실종자 가족들은 “어떤 이는 아무 것도 할 수 없고, 또 어떤 이는 나서서 행동하게 된다”고 토로한다. 글로벌 실종자 규모와 현황 모호한 상실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7월 18일(현지시간), 미니애폴리스발 스카이웨스트 운항 델타 커넥션 3788편(Embraer E175)이 노스다코타주 마이놋 국제공항(MOT) 접근 도중 미 공군 B-52 스트라토포트리스 폭격기와의 근접 충돌을 피하기 위해 갑작스럽고 과감한 회피 기동(고 어라운드)을 실시했다. 비행기의 승객과 승무원들은 격렬한 선회에 놀랐고, 착륙 후 조종사 역시 "이런 상황은 상상도 못했다"며 승객들에게 솔직하게 사과했다. 현장 목격과 조종사의 육성…"아무도 우리에게 말하지 않았다" 승무원 모니카 그린이 촬영한 녹음 영상과 CNN, Times of India, Bloomberg, AInvest 등의 보도에 따르면, 조종사는 "비행기 오른쪽에 무언가 다가오는 걸 봤을 승객들이 있을 것"이라며, “관제탑에서는 우회전을 지시했다가, 갑자기 좌회전 명령으로 바뀌었다. 그제야 우리보다 훨씬 빠른 B-52임을 인지하고 곧장 그 뒤로 우회하는 것이 최선이라 판단했다”고 전했다. 조종사는 "아무런 경고도 못 받았다. 군 비행장에서는 분명 레이더가 있는데 말이다"라며, 미흡한 민·군 정보 공유에 아쉬움을 드러냈다. 비행 중 기내는 짧은 침묵과 긴장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폴로 11호 달 착륙 56주년을 맞은 2025년 7월 20일(현지시간), 교황 레오 14세가 이탈리아 카스텔 간돌포에 위치한 바티칸 천문대를 방문했다. 이어 올해 95세를 맞은 우주비행사 버즈 올드린에게 전화를 걸었다. 이번 행보는 신앙과 과학, 인류의 도전이 교차하는 상징적 순간으로 ABC News, Indiatimes, Philstar.com,barrons.com 등 해외 주요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첫 팝 콘택트, 신앙과 과학의 만남 교황은 여름 별장에서의 삼종기도(Angelus) 이후, 천문학자와 학생들이 참여하는 전통 여름 프로그램 현장을 찾아 수십 년간 빛나는 연구를 이어온 망원경 등 주요 천문 장비를 직접 살펴봤다. 이 자리에서 교황은 “56년 전 인류의 달 착륙 성취는 인간 창의성의 증거이자, 창조의 신비·위대함을 되새기게 한다”는 소회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에 남겼다. 뒤이어 진행된 버즈 올드린과의 통화에서 교황은 “인류의 역사적 업적, 인간 정신의 한계를 넘고자 했던 순간”을 회상하고 그와 가족·협력자들에게 교황청의 축복을 전했다. 올드린 역시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오늘 교황 레오 14세로부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엔비디아 빠져도, 중국 AI는 결코 멈추지 않는다." 글로벌 반도체 산업을 선도하는 엔비디아의 젠슨 황(Jensen Huang) CEO가 중국을 찾아 의미심장한 메시지를 던졌다. “중국에서 엔비디아가 없어도, 화웨이와 같은 혁신 기업들이 자체 해법을 찾아낼 것”이라는 그의 발언은 미·중 기술 패권 여부를 넘어, 향후 글로벌 AI·반도체 경쟁 구도 전반에 중대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 “엔비디아 없으면 화웨이가 길을 낼 것”…자립 가능한 中 AI에 대한 낙관 젠슨 황 CEO는 7월 20일 중국 관영 매체 CCTV ‘페이스 투 페이스’ 프로그램에 출연해 "중국의 AI 시장은 엔비디아가 있든 없든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화웨이는 규모와 인재, 기술력에서 매우 강력한 회사"라며 "AI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낼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중국이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를 받는 상황에서도 자체적인 공급망을 바탕으로 AI 기술을 자립할 수 있다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실제로 황 CEO는 "중국 개발자들은 자원의 제약 속에서도 놀라운 기술적 창의성과 적응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를 방문해 오픈AI 샘 올트먼(CEO)과 전격 회동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SK와 오픈AI 간 고성능 AI 반도체 협력의 실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연산 효율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주문형 반도체(ASIC)에 고대역폭메모리(HBM) 솔루션을 결합하는 ‘초고집적 HPC 반도체 동맹’이 실현될 경우,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의 판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산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는 지난 2월 서울 회동 이후 5개월 만의 후속 만남으로, 업계에서는 단순한 우호 교류 이상의 전략적 결속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번 회동에는 SK하이닉스 곽노정 CEO도 동행했으며, 실질적인 메모리 공급-탑재 전략 등에 관한 논의가 오간 것으로 평가된다. 오픈AI, 엔비디아 의존 줄이려 자체 AI 칩 생태계 구축 중 오픈AI는 최근 협력사 브로드컴(Broadcom)과 함께 자체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셋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 칩에 탑재될 고성능 메모리로 SK하이닉스의 최신 HBM 솔루션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HBM(High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뉴욕 증시가 AI 기대감과 금리 인하 가능성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가운데, 시장을 이끈 핵심 빅테크 기업들이 줄줄이 2분기 실적(2025년 4~6월)을 공개한다. 이번 실적 시즌은 AI 투자 확장, 전기차 시장 둔화, 클라우드 경쟁, 반독점 리스크 등 다양한 변수 속에서 주요 ‘트리거’로 작용할 전망이라고 Bloomberg, CNBC, WSJ 등이 보도했다. 테슬라 vs 시장 기대…“머스크의 입” 주목 가장 먼저 7월 23일 실적을 발표하는 전기차 기업 테슬라(Tesla, Nasdaq: TSLA)는 2분기 인도량 감소라는 악재 속에서 향후 AI 기반 로보택시(Robotaxi) 전략과 원가 절감 성과가 실적 이상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분기 인도량은 44만4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1% 하락으로 전망됐다. 하지만주가 추이는 6월 $293 → 7월 현재 $329로 상승한 상황이다. 로보택시 출시관련해 6월 오스틴 시험 서비스 시작, 8월 8일 정식 발표 예정을 앞두고 있다. 시장에서는 테슬라의 AI 기반 자율주행 기술(Full-Self Driving, FSD)과 조지아주 'Dojo 슈퍼컴퓨터' 투자 증대가 향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한국 스타트업 업스테이지가 자체 개발한 차세대 거대언어모델(LLM) ‘솔라 프로2’가 독립 성능 평가기관 ‘아티피셜 애널리시스(Artificial Analysis)’의 ‘지능 지표(Intelligence Index)’에서 국내 유일, 세계 10대 프런티어 모델로 전격 선정됐다. 특히 솔라 프로2는 310억 파라미터라는 비교적 소형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1000억~1조7000억 파라미터급의 글로벌 초대형 LLM들과 직접 성능 대결에서 밀리지 않는 성과를 거두었다. 빅테크 제친 성능, ‘지표’로 입증 업스테이지 솔라 프로2의 상세 점수는 글로벌 벤치마크에서 58점. 이는 프랑스 미스트랄의 '스몰'(55점), 오픈AI 'GPT-4.1'(53점), 메타 라마4 매버릭(51점), 오픈AI GPT-4o(41점) 등 빅테크의 플래그십 LLM을 제쳤다. 중국 딥시크(DeepSeek) V3(53점), 문샷AI 키미 K2(57.59점) 등도 모두 추월했다. 특히 기업용으로 널리 활용되는 GPT-4.1을 뛰어넘는 고난도 추론 능력을 보이며, 비용 대비 성능(운영 효율성)에서도 주요 경쟁 모델인 클로드 4 소넷, 마지스트랄 스몰 등에 앞선 것으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4년 12월 29일 전남 무안공항에서 발생해 179명이 사망한 제주항공 참사가 채 1년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제주항공 공식 틱톡 계정에 올라온 승무원 숏폼 영상이 거센 사회적 논란에 휩싸였다. 문제의 영상은 지난 7월 11일 올라와 21일까지 조회수 200만회, 좋아요 17만8000개, 댓글 1000여개를 기록하며 급속히 확산됐다. 영상 속 승무원들은 객실 내에서 밝게 춤을 추고 손가락 브이(V)자를 그리며 경쾌한 분위기를 연출했으나, 이를 두고 "참사 이후 반년도 지나지 않은 시점에 이런 영상을 올리는 건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 포털 댓글창을 중심으로 이어졌다. 반면 "승무원들도 희생자인데 괜한 비난은 지나치다"는 반박 여론도 상당해, 사회적 애도와 일상의 복원이 어디서 균형을 찾아야 하는지 첨예한 인식 차가 드러났다. 유가족 및 시민사회 "추모와 조기 일상 복귀, 적절성 논쟁" 일부 네티즌과 유가족들은 "유가족 진상규명 기다리느라 장례 얼마 안 지난 걸로 안다. 가족이 사고 당했는데 이런 영상 보면 불쾌할 수 있다", "최소 1년은 공식 애도기간을 가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를 냈다. 반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김정영 기자]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이 1심에서 200억원대 횡령·배임 혐의로 징역 3년형을 받고 법정구속됐지만, 이후 잔존한 리스크가 겹치며 첩첩산중의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총수 리스크’ 현실화…징역 3년 법정구속, 경영권 흔들리는 한국앤컴퍼니 2심 재판이 8월로 예정됐지만, 이미 경영과 투자계획, 그룹의 지배구조 전반에 심각한 불확실성을 낳고 있다. 특히 일부 임원에 대한 유죄 판결과 조 회장의 반복된 구속 이력은 한국 기업 거버넌스 미비와 ‘오너 리스크’의 민낯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는 평가이다. 법원은 계열사 자금 50억원을 개인적 친분을 내세워 지인 운영 회사에 부당 대여한 점, 회사 법인카드를 사적 목적으로 5억8000만원 상당 사용한 점 등을 유죄로 판단했다. 논란이 된 계열사 MKT 부당지원 혐의(타이어몰드 875억원 구매과정, 131억원 손실 추정) 등 일부 혐의는 ‘합리적 근거 부족’을 들어 무죄 판단했다. ‘오너 리스크’ 방치…임원직 유지·폭증한 보수에 거센 비판 조 회장은 구속 이후에도 한국앤컴퍼니 및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임원직을 공식 유지해 논란을 키웠다. 모회사에는 등기임원, 자회사에는 미등기임원 신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47대 대통령의 장남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합류한 벤처투자회사 1789캐피탈이 한국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면서, 한미 재계의 새로운 파워 네트워크 조성이 현실화되고 있다. 신세계그룹 정용진 회장과의 막역한 개인적 인맥, 더불어 한미 보수 재계연합의 움직임이 서울을 글로벌 보수 투자 트렌드의 중심으로 끌어올리고 있다는 평가다. 1789캐피탈, 서울에 아시아 투자 거점 마련 본격화 2025년 상반기부터 1789캐피탈은 아시아사무소(1789파트너스)를 통해 서울 비공개 오피스를 설립하고 핵심 인력 채용에 착수했다. 투자업계 복수 관계자들에 따르면, 미국 보수 진영·실리콘밸리·월가에서 유치된 자금을 바탕으로, 올해 시작 1억달러(약 1380억원) 규모의 첫 펀드 결성을 마무리지었고 이는 향후 수천억원대로 확대될 전망이다. 1789캐피탈이 추구하는 전략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반대, ‘탈세계화’, 미국 내 ‘애국(anti-woke) 투자’라는 확실한 보수 성향의 아이덴티티다. 미국의 피터 틸, 일론 머스크 등 혁신 IT 거물 자본도 투자자로 거론되고 있다. 정용진·트럼프 Jr.의 ‘브로맨스’, 재계 네트워크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