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비대위원장은 최근 자신의 SNS를 통해 쿠팡 물류센터 상하차 아르바이트 후기를 공개하며 생생한 현장 경험과 임금, 노동 환경을 고발했다.
박 전 위원장은 “새벽 1시부터 오전 9시까지 8시간 근무 후 받은 임금은 19만9548원으로 추가수당 덕분에 ‘꽤 짭짤한’ 수입이었다”고 전했다. 현장에서는 각종 상품 분류와 무거운 박스 작업 등 밤샘 고강도 육체노동이 이어졌으며, 여자와 남자 비율은 대략 반반, 다양한 연령대가 함께 일한다고 설명했다.
현장 노동 강도는 고질적 문제로 지목된다. 쿠팡 물류센터의 근무 환경은 “화장실까지 멀고, 물도 미제공”, “쉬는 시간 부족, 반복적 육체노동” 등 현장 아르바이트생들의 증언으로 악명이 높다.
앞서 지난달 쿠팡 용인물류센터 냉동창고에서 일하던 50대 노동자 A씨가 알 수 없는 이유로 쓰러진 뒤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특히 최근 5년간 쿠팡 물류센터에서 일하다 사망한 노동자는 23명(2020년~2025년 기준)으로, 이 중 절반이 물류센터에서 일어난 것으로 노동계가 집계했다.

노동계는 쿠팡의 적응기간 없는 고강도 야간근무, 반복적 사고 등 구조적 문제를 질타한다. 쿠팡의 ‘PNG 리스트’로 불린 블랙리스트 운영, 야간근무·과로·인권침해 등도 사회적 논란거리로 여전히 남아있다. 쿠팡은 최근 공식적으로 블랙리스트 운영 사실을 인정하고 사과했으며, 사망사건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책임 추궁에는 지속적으로 법적 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노동환경 개선을 요구하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2025년 6월엔 쿠팡 전체 직원을 아우르는 통합 노조 ‘쿠니온’이 발족되어, 근로환경 개선과 임금·인센티브 현실화, 장시간 야간노동 감축 등을 촉구하고 있다.
쿠팡은 약 8만명을 직접·간접 고용 중이며, 노동계는 “희생과 과로가 회사 성장의 기반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쿠팡은 인권 침해 및 노동자 사망 사고 책임 회피 비판에 대해 “산재로 인정된 사망은 업계 평균 이하”라고 해명하고 있으나, 노동계와 시민사회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