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Culture·Life

[내궁내정] 이발소 삼색등(Barber's Pole), 인류 의료사의 단면…이발사·외과의사가 동일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거리를 걷다보면 이발소가 유독 눈에 자주 띈다. 그 이유는 이발소가 있음을 알려주는 빨강, 파랑, 흰색이 회전하는 삼색등 때문이다. 이 삼색등을 바버의 폴(Barber's Pole)이라 부른다.

 

삼색등(Barber's Pole)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다. 중세 시대 이발사와 외과의사(Barber-Surgeons)의 역사적인 역할과 관련된 상징이다.

 

현대의 이발소에서는 단순한 미용업을 의미하지만, 과거를 돌이켜 보면 중세 의학과 이발사의 역할 변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유물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삼색등의 깊은 의미를 모르지만, 그 회전하는 모습에는 인류 의료사의 한 단면이 담겨 있다.

 

 

중세 유럽에서 이발사는 단순히 머리카락을 자르는 사람이 아니었다. 당시 외과적 시술은 주로 성직자들이 담당했지만, 교회에서 피를 흘리는 행위를 금지하면서 이 역할이 이발사들에게 넘어갔다.


이발사들은 면도칼과 가위를 다루는 기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수술 및 다양한 의학적 시술까지 수행하게 된 것이다. 이발사들은 발치(치아 뽑기), 피를 빼는 사혈(瀉血, Bloodletting), 상처 봉합, 골절 치료, 유양돌기 절제술(귀 감염 치료) 등의 기본적인 외과적 절차까지 수행했다.


특히, 사혈(Bloodletting) 은 중세 의학에서 흔한 치료법으로, 몸속의 나쁜 피를 제거하면 건강이 회복된다고 믿었다.

 

 

이런 이발사의 역할로 인해 이발소 삼색등(Barber's Pole)이 생겼다. 즉 세 가지 색깔(빨강, 흰색, 파랑)은 바로 중세 시대 이발사-외과의사들이 수행했던 사혈 행위의 흔적이다. ​

 

빨간색은 피(Blood, 동맥)를 의미하며, 파란색은 정맥(Veins)을 상징한다. 즉 사혈(Bloodletting) 치료를 상징한다. 흰색은 붕대(Bandage) 또는 붕대를 감은 막대기(Rod with bandages)를 나타낸다. 


게다가 이 삼색등이 회전하는 이유는 당시 이발소에서 사혈을 받은 환자가 붕대를 감고 팔을 높이 들고 혈액이 배출되도록 했던 모습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사혈 후, 피 묻은 붕대가 막대기에 감겨 말려지면서 생긴 나선형 패턴이 삼색등의 기원인 셈이다.

 

1540년 영국에서 '이발사-외과의사 조합(The Company of Barber-Surgeons, Guilds)'이 설립됐다. 하지만, 18세기 들어 점차 의학이 발전하면서 1745년 이발사와 외과의사가 공식적으로 분리되었고, 외과의사들은 독립적인 직업군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이발소는 남성 전용 공간으로 발전했고, 이발 뿐만 아니라 면도, 수염 관리, 스타일링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영국에서는 이발사-외과의사 조합이 해체된 후에도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계속해서 이발사들이 기본적인 외과적 시술을 담당했다. 반면, 미국에서는 현대적인 외과의사가 등장하면서, 이발사들은 순수한 미용업으로 전환됐다. 미국에서는 빨강과 흰색만 있던 삼색등에 파란색을 추가해, 미국 국기(Stars and Stripes)와의 유사성을 강조했다는 설도 있다.


1800년 영국 왕립 외과의사 학회(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가 설립되면서, 외과의사들은 정식으로 의학을 배우고 수련을 받도록 제도화되었다. 미국에서는 19세기 후반 존스 홉킨스 대학(Johns Hopkins University) 등의 의과대학이 등장하며 현대 외과의 토대가 확립됐다.

 

하지만 과학적 의학이 발전하면서 사혈이 오히려 해롭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결국 이발사들이 하던 사혈(Bloodletting)은 점차 폐기됐다. 특히 루이 파스퇴르(Louis Pasteur), 로버트 코흐(Robert Koch) 등의 미생물학자들이 질병의 원인이 감염과 세균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면서, 사혈의 의학적 효용이 완전히 사라졌다.

 

 

19세기 중반에는 무균 수술(Aseptic Surgery) 개념이 등장했다. 조셉 리스터(Joseph Lister)가 소독법을 개발하면서 외과 수술의 성공률이 급격히 높아졌다.

 

오늘날 외과의사는 일반 외과(General Surgery), 신경외과(Neurosurgery), 심장외과(Cardiothoracic Surgery) 등 다양한 전문 분야로 세분화됐다. 현대 의료 시스템에서는 최소 침습 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 및 로봇 수술(Robotic Surgery) 기술까지 발전하며, 중세의 이발사-외과의사 개념과는 완전히 다른 직업군이 됐다.

 

한국에서는 1895년(고종 32년)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단발령이 내려지면서 서구식 이발이 시작됐다. 이전까지는 유교 사상에 따라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았으나, 단발령 발표 후 전통적인 상투 문화를 없애고 고종과 대신들이 머리를 자르며 이를 선도했다. 이로 인해 이발소 문화가 형성됐으며, 단발령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을미 의병운동의 계기가 됐다.

 

 

1888년 미국 애틀랜타에서 마사 매튜스(Martha Matilda Harper)가 최초의 현대적 개념의 미장원을 설립했다.

 

'Harper Method'라는 브랜드를 통해 미용 교육 및 프랜차이즈까지 운영했고, 이를 시작으로 20세기 초, 프랑스와 미국에서 미용실이 대중화됐다.


이후 이발소는 남성들의 사교 공간이자 사회적 정보 교환의 중심지로 발전했고, 미장원은 여성들의 아름다움을 위한 공간에서 현대적인 종합 뷰티 공간으로 확장됐다. 오늘날에는 이발소와 미장원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남녀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중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방한 앞둔 뉴캐슬 유나이티드 '욱일기 논란' 사과...서경덕 "좋은 선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한국 방한을 앞둔 잉글랜드 프로축구 뉴캐슬 유나이티드가 새 시즌 유니폼을 공개하는 영상에 욱일기가 연상되는 장면을 포함한 것에 대해 사과했다. 뉴캐슬은 7월 2일(한국시간) 구단 SNS를 통해 "2025-2026시즌 서드 유니폼을 공개한 영상에 의도치 않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장면이 포함됐다. 죄송하다"며 해당 장면을 영상에서 삭제했다. 편집 전 영상에는 두 명의 팬이 욱일기와 유사한 모양의 깃발을 들고서 환하게 웃는 장면이 나와 누리꾼들 사이에서 논란이 됐다. 특히 뉴캐슬은 이달 말 아시아 프리시즌 투어를 위해 한국과 싱가포르 방문을 앞두고 있어 욱일기 연상 장면은 더욱 비난을 받을만 했다. 이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뉴캐슬의 발빠른 조치를 환영한다"며 "이번 일은 앞으로 유럽 축구리그에서 사용되는 욱일기 문양을 없애는데 좋은 선례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서 교수는 유럽 4대 축구리그(프리미어리그, 라리가, 분데스리가, 세리에A)에서 욱일기가 등장할 때 마다 전 구단을 대상으로 항의 메일을 꾸준히 보내왔다. 서 교수는 "무엇보다 월드컵 때 등장한 욱일기 문양을 국제축구연행(FIFA)에 항의하여 없앤 사

[내궁내정] 죽음을 칭하는 단어 25개 이상 "존칭·종교·시대의식까지"…죽음의 단어 속뜻과 죽음을 높이는 이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우리말에는 ‘죽음’을 뜻하는 단어가 유난히 많다. 일상적으로 쓰이는 ‘죽음’, ‘사망’ 외에도, 높임말로 ‘별세’, ‘작고’, ‘영면’, ‘서거’, ‘타계’ 등이 존재한다. 게다가 이 가운데 ‘사망’을 빼면 대부분 죽음을 높인다. 각 단어 역시 쓰임새와 뉘앙스가 미묘하게 다르다. 죽음을 뜻하는 단어의 속뜻과 이렇게 죽음을 높이는 이유를 알아봤다. 죽음을 이르는 단어, 25개 이상 별세(別世)는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 작고(作故)는 고인이 되었다, 영면(永眠)은 영원히 잠들다, 서거(逝去)는 죽어서 세상을 떠남(특히 지위가 높은 이에게 사용), 타계(他界)는 인간계를 떠나 다른 세계로 갔음, 특히 귀인(貴人)의 죽음의 표현이

[지구칼럼] '생태계 영웅' 하루살이…하루만 살까?·찰나를 위한 오랜 기다림·에너지 흐름의 단순화·종의 생존과 유전자의 전달·먹이공급자로 '희생'·거대한 ‘에너지 폭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하루살이처럼 산다.” 내일이 없이, 하루하루 무의미하게 살아가는 사람에게 보통 이렇게 말한다. 때론 삶의 덧없음과 순간의 허무를 상징한다. 하지만 이 말은 하루살이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쓰는 말이다. 하루살이의 생애를 깊이 들여다보면, 그 짧은 생이 자연과 인간 모두에게 던지는 묵직한 메시지와 철학적 질문이 숨어 있다. 하루살이의 성충(어른벌레) 시기는 단 하루, 길어야 2~3일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 짧은 생애가 자연 생태계, 특히 먹이사슬에 미치는 영향은 결코 짧지 않다. 하루살이 역시 지구의 구성원으로서 하찮아 보이지만 너무나도 큰 역할을 수행중이다. 1. 하루살이, 정말 하루만 살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살이(영어: Mayfly, 학명: Ephemeroptera)가 이름처럼 단 하루만 살다 사라진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이는 절반만 맞는 이야기다. 하루살이의 성충(어른벌레) 시기는 대개 1~2일, 길어야 3일까지다. 이 시기에는 입이 퇴화해 먹이도 못 먹고, 오로지 짝짓기와 산란만을 위해 존재한다. 하지만 진짜 하루살이의 인생은 물속에서 시작된다. 유충(애벌레) 시기는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까지도 지속된다. 즉, 하

"폭염·장마엔 뽀송한 호캉스가 제격"…여의도 메리어트, ‘레이니 서머 칠’ 패키지로 드라이하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여의도 메리어트 이그제큐티브 아파트먼트(이하 ‘여의도 메리어트 호텔’)가 무더위와 습기로 외출이 꺼려지는 장마철, 뽀송한 쉼을 선사하는 ‘레이니 서머 칠 (Rainy Summer Chill)’ 객실 패키지를 새롭게 선보인다. 이 패키지는 비오는 날 호텔 내에서 다양한 액티비티와 진정한 휴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도록 기획됐다. 투숙객에게는 호텔 내 컨템포러리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 ‘파크카페’와 한식 레스토랑 ‘수 라운지’에서 식음료 크레딧이 제공되며 장마철 필수품인 UV 차단 골프 우산도 특별 증정한다. 또한 약 2000평 규모의 피트니스 센터, 실내 수영장, 실내 골프 연습장, 스쿼시룸, 사우나, GX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어, 비로 인한 야외 활동 제약에도 지루할 틈 없이 건강하고 활기찬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여의도 메리어트 호텔 관계자는 “장마철 야외 활동이 어려운 시기에도 쾌적하고 활기찬 도심 속 호캉스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혜택을 마련했다”며 “실내 액티비티와 미식, 휴식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레이니 서머 칠’ 패키지로 장마철을 더욱 특별하게 보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제는 경험비” 희소성 추구하는 식음료 新패러다임…음식과 공간, 브랜드까지 '어벤져스 마케팅' 뜬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인증샷을 염두에 둔 비주얼 중심의 보여주기식 외식 문화보다, 실패 없는 맛을 보장하는 셰프와 메뉴에 주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최소한의 시간을 투자해 최대한의 만족과 경험을 추구하는 이른바 ‘경험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인증 스티커가 붙은 입구 사진이나 전문가 추천 맛집 등 비주얼보다도 음식에 대한 심도 있는 설명을 다룬 콘텐츠들이 증가하는 것도 이러한 흐름을 보여준다. 식음료업계가 최근 변화에 맞춰 소비자들의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만족도 높은 경험을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인증된 맛집들과 함께하는 특별한 미식 주간, 코카-콜라 레드리본 위크 2025 코카-콜라는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8곳의 레스토랑과 협업해 ‘레드리본 위크’를 운영 중이다. 매주 목요일 캐치테이블 앱을 통해 사전 예약이 진행되는데, 몇몇 레스토랑은 예약이 페이지 오픈 10분 내 마감되는 등 많은 관심을 받았다. 26일에는 조준모 대표의 짚불구이 전문점 ‘몽탄’ 예약이 예정돼 있다. 레드리본 위크는 검증된 맛집에서 제공되는 한정 메뉴라는 희소성이 소비자들의 경험 욕구를 자극하며, 차별화된 외식 경험을 제공한다는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