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틀즈 멤버인 링고 스타와 폴 매카트니(오른쪽) [SNS] 비틀즈 멤버인 링고 스타와 폴 매카트니(오른쪽) [SNS]](/data/photos/202311/1335_1348_4629.png)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영국의 팝그룹이자 세계음악팬들의 영원한 우상인 비틀즈의 마지막 곡이 AI기술로 완벽히 복원됐다.
유니버설 뮤직은 2일(현지시간) AI기술을 활용해 고(故) 존 레논의 목소리를 담아 만든 비틀즈의 마지막 신곡인 '나우 앤 덴(Now and then)'을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 곡은 10일 발매 예정인 비틀즈의 ‘레드·블루’ 리마스터 앨범에도 수록될 예정이다.
이 노래는 사망한 존 레논이 1970년대 말에 제작한 데모 테이프에 들어있던 미완성곡을 바탕으로 제작한 것이다. AI를 이용해서 그의 목소리를 추출하고 여기에 사망한 조지 해리슨의 일렉트릭 및 어쿠스틱 기타 연주를 추가하고, 생존해 있는 폴 매카트니와 링고스타가 기타 솔로와 드럼 파트를 새롭게 추가해 곡을 완성했다.
나우 앤드 덴은 존 레논이 생전 자택에서 피아노로 녹음한 곡이다. 1980년 12월 존 레논이 뉴욕 아파트 밖에서 총에 맞아 사망한 뒤, 아내 오노 요코가 해당 카세트 테이프를 폴 맥카트니에 전달했다.
매카트니는 그때부터 이 노래를 완성하기를 원했고 남은 멤버들은 이 곡을 녹음하려고 했지만, 기타리스트 조지 해리슨이 음질이 좋지 않다고 반대해 작업이 중단됐다.
그러나 이후 지난해 피터 잭슨 감독의 비틀스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에 사용된 인공지능(AI) 기반 음성 분리 기술을 통해 녹음본에서 존 레논의 보컬을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
비틀즈 멤버들은 이 곳을 완성하는 과정이 초현실적 경험이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폴 매카트니는 "존 레논의 목소리가 선명하게 들렸을 때 무척 감동이었다"며 "다른 멤버들의 연주까지 더해져 진정한 비틀스의 노래가 탄생했다"고 피력했다.
링고 스타는 "존을 다시 만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순간이었다"며 "마치 존이 그 자리에 있는 것 같았다"며 소회를 밝혔다.
나우 앤드 덴은 현재 유튜브 뮤직, 애플 뮤직 등 각종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감상할 수 있다.
한편 1960년 결성된 비틀즈는 수많은 히트곡을 낸 후 1970년 해체했다. 멤버 4명 중 존 레넌은 1980년 12월 미국 뉴욕의 자택으로 귀가하던 중 열성 팬이 쏜 총에 맞아 숨졌다. 조지 해리슨은 폐암으로 2001년 세상을 떠났다. 현재는 폴 매카트니와 드러머 링고 스타만 생존해 있다.
NYT는 "매카트니는 신시사이저나 샘플링처럼 음악의 흐름을 바꾼 신기술들을 빠르게 작업에 활용한 이력이 있는 호기심 많은 예술가"라고 평가했다.
AI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최근 유튜브 등 소셜미디어에는 AI를 활용한 음원이 인기를 얻고 있다. 록밴드 퀸의 보컬 프레디 머큐리 목소리를 AI에 학습시켜 김광석의 ‘서른 즈음에’를 부른 영상도 화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