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서울시가 한강변 주요 거점과 관광명소에 강남과 강북을 잇는 곤돌라 설치를 추진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9일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는 오 시장이 첫 임기 때인 2007년 추진했던 '한강 르네상스 사업'의 2.0 버전이다. 아직 정식 노선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뚝섬에서 잠실을 잇는 안이 유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서울 내에서 케이블카는 주로 관광 목적으로 운영돼 왔다. 하지만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설치되는 곤돌라는 관광을 넘어 시민의 발역할인 교통수단 역할까지 수행하게 될 전망이다. 뚝섬에서의 잠실까지의 거리는 1.6㎞ 내외로, 4~5㎧ 속도의 곤돌라로 일일 2000명 정도를 수송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여장권 서울시 균형발전본부장은 "잠실 주경기장부터 뚝섬 유원지역까지 환승을 포함해 30분 정도가 걸리는데, 곤돌라를 타면 5~6분 정도면 이동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어느 정도 경제적 타당성이 나오고 대중교통 수요가 나올 수 있을지, 곤돌라 속도 등을 변화시켜서 더 많은 효과를 줄 수 있을지는 앞으로 더 고민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서울 마포구 상암동 하늘공원에 180m 높이의 대관람차 ‘서울링’이 지어진다. 서울의 새로운 명물, 랜드마크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서울시는 고리 형태 대관람차로는 세계 최대 규모라며, 연간 35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서울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키우겠다는 포부를 8일 밝혔다. 서울링은 영국 런던에 있는 ‘런던아이’ 같은 큰 바퀴 모양의 대관람차다. 기존 대관람차와 달리 바퀴살이 없는 고리 형태인 게 특징이다. 높이는 180m 안팎으로 설계됐으며, 고리형 디자인 기준으로는 세계 1위 규모다. 전세계에 있는 모든 대관람차와 비교해도 아랍에미리트의 ‘아인 두바이’ 다음인 세계 2위 높이다. 탑승 가능한 인원은 1시간 당 1474명, 1일 최대 1만 1792명으로 기획했다. 연간으로는 약 350만명 이상의 관광 수요가 발생할 것이라는 게 서울시의 예측이다. 민간투자사업 방식으로 이뤄지는 서울링의 예상 사업비는 약 4000억원이다. 서울시는 별다른 난관이 없으면 2025년에는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시측은 "지리적으로 북한과 가까운 이 곳은 남북 통일 시대가 오면 새로운 관문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조망이 우수해 서울 도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서울시가 대관람차 '서울링'과 제2 인공섬에 이어 한강 보행교 건설을 추진한다. 조선일보 7일자 보도에 따르면, 서울시는 강남구 압구정동과 성동구 성수동 서울숲을 잇는 한강의 첫 보행교를 추진될 예정이다. 서울시는 조만간 한강 종합 개발 프로젝트 ‘한강르네상스 2.0′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강 동호대교와 성수대교 사이에 보행자와 자전거가 다닐 수 있는 1㎞ 길이의 다리를 놓겠다는 것이다. 보행교 건설 비용은 1000억원 이상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관계자는 “보행교가 생기면 한강 위에서 일출이나 일몰을 감상할 수 있는 명소가 될 것”이라며 “강남과 강북 주민들이 걸어서 오갈 수 있는 새로운 길을 만든다는 의미도 있다”고 말했다. 건설비용은 압구정 아파트를 재건축하면서 재건축조합에서 보행교를 기부 채납 받는 방식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강르네상스 2.0′은 한강 곳곳에 랜드마크(도시를 상징하는 건축물)와 전망대, 공연장 등을 지어 관광 명소로 만들겠다는 개발 프로젝트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한강 보행교 뿐 아니라 상암동에 서울링, 여의도에 서울항(港), 노들섬에 전망대와 수상 예술 무대 설치등도 추진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