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기후 변화가 산불의 발생 빈도와 강도를 극심하게 높이며 전 세계 대기질 악화와 인명 피해를 심화시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Deutsche Welle, Reuters, ABC News, climatecentre.org, Al Jazeera English, wildfire in Europe in 2025, Harvard T.H. Chan School of Public Health의 발표와 보도에 따르면, 세계기상기구(WMO)는 2024년과 2025년 산불이 만들어낸 미세먼지와 각종 유해 물질이 지구 전역의 대기질을 심각하게 저하시켰다고 경고했다. 특히, 아마존, 캐나다, 시베리아 등 산불 피해 지역에서 배출된 미세먼지가 먼 도시까지 건강 위협을 확산시키고 있다. WMO 코 배럿 부사무총장은 “기후 변화와 대기질 문제는 분리해서 다룰 수 없다”며 통합적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2025년 여름 스페인과 포르투갈에서 발생한 유례없는 대규모 산불은 기후 변화와의 직접적 연관성을 명확히 보여준다. 세계기상속성연구단(WWA)의 분석 결과, 이베리아 반도에 영향을 준 극단적 고온, 건조, 강풍이라는 산불 유발 조건이 산업화 이전 대비 약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스콧 선장이 이끈 비운의 남극 탐험선 테라노바호(SS Terra Nova)가 1943년 그린란드 해안에서 침몰한 이후 82년 만에 해저에서 처음으로 자세한 수중 영상으로 촬영됐다. 이 영상은 선박이 어떻게 번성하는 해양 생태계로 변화했는지와 함께 역사의 항해에서 중요한 부분들이 보존된 모습을 보여준다. BBC News, Explorer's Web, MercoPress, journals.plos., Wikimedia Foundation, ukaht.org, divernet의 자료와 보도에 따르면, 이 영상은 170미터 수심 아래에서 목조 선체가 해양 생물로 뒤덮인 생태계로 변모했으며, 조타핸들, 윈치, 돛대 같은 선박의 주요 구조물이 여전히 뚜렷하게 보존된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테라노바호는 1884년 건조된 57미터 길이의 목조 선박으로, 빙해를 뚫기 위한 두꺼운 선체가 특징이었다. 이 배는 1910~1912년 캡틴 로버트 팔콘 스콧이 이끈 남극점 탐험에서 과학 연구 및 극지 탐험의 상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1912년 1월, 스콧과 그의 팀은 노르웨이 탐험가 로알 아문센이 34일 먼저 남극점에 도달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비극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뜨거운 햇빛 아래에 방치된 PET 생수병(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은 미세 플라스틱은 물론, 안티몬(Sb)과 비스페놀A(BPA) 등 유해물질이 물에 용출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실험으로 드러난 생수병의 위험 Fan et al., Environmental Pollution, Food Packaging Forum, Fox News, Science Direct등의 발표와 보도에 따르면, 중국 난징대와 미국 플로리다대 공동 연구진이 16개 브랜드의 생수병을 70℃에서 4주간 보관하는 실험을 실시한 결과, 안티몬은 20.3~2,604ng/L, BPA는 2.89~38.9ng/L까지 검출돼 온도와 시간이 높아질수록 독성물질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했다. 허용 기준과 실제 수치 이 연구에서 대부분의 시료는 미국 환경보호청(USEPA) 허용치(안티몬 6μg/L, BPA 2,500ng/L)를 넘지 않았으나, 한 브랜드는 4주 후 안티몬이 2,604ng/L로 초과했다. 체중을 감안한 일일 만성섭취량(CDI) 기준에서도 일부 어린이는 WHO 권고치(400ng/kg bw/day)를 넘어 위험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비스페놀A 역시 장기 노출시 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과학자들은 번개가 대기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실시간으로 추적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으며, 뇌우가 자동차 배기가스 오염에 필적하는 속도로 질소 산화물을 대기 중에 주입하는 과정도 밝혀냈다. 8월 31일(현지시간)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연구팀이 NASA의 첨단 정지궤도 대기질 관측 위성 TEMPO(2023년 발사)를 활용, 번개가 대기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10분 단위로 실시간 추적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연구 결과, 미국 동부 일대에서 2025년 6월 말 집중적으로 발생한 뇌우에서 번개가 자동차 배기가스와 맞먹는 수준의 질소 산화물(NOx)을 대기에 직접 주입하는 점이 확인됐다. 번개, 전 세계 질소 산화물의 최대 15% 차지 NASA의 자료와 phys.org, miragenews, enn.com, wn.com의 보도에 따르면, 기존 연구에서도 천재지변으로 간주된 번개가 오존 생성 등 대기 화학 변화에 영향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으나, 이번의 정밀 계측을 통해 번개가 전 세계 대기 질소 산화물 전체의 10~15%를 차지한다는 구체적 수치가 처음 제시됐다. 참고로 질소 산화물은 자동차, 공장, 발전소 등 인류 산업활동의 부산물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태양이 내리쬐는 뜨거운 모로코가 혁신적인 파일럿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는 수십년 만에 최악의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북아프리카 왕국에서 처음으로 시행되는 사업이라 더욱 관심이 모아진다. 모로코가 사상 최악의 가뭄과 물 부족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탕헤르 인근 우에드 르멜(Oued Rmel) 저수지에 설치한 플로팅 태양광 패널 프로젝트가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Al Monitor, DAWN, Morocco World News, Aquatech Trade, Societe Generale, Smart Water Magazine, US Commercial Service등의 자료와 보도에 따르면, 모로코 정부측은 이른바 ‘플로토볼타익(floatovoltaic)’ 기술을 적용해 약 13메가와트(MW) 전력을 생산함과 동시에 하루 3000㎥ 이상의 증발수 손실을 30%가량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수치는 여름철에는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하며, 2022년 10월~2023년 9월 사이 전역에서 매일 올림픽 수영장 600개 분량의 물이 증발로 증발됐다. 모로코의 저수지 총 저장 용량은 2025년 8월 기준으로 168억㎥ 중 34%인 57억㎥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열대우림 파괴가 전 세계 더위 사망자 증가에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며, 매년 약 2만8000명의 추가 사망자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리즈대학교를 중심으로 한 국제 공동 연구진이 과학 저널 Nature Climate Change에 발표한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열대 지역의 산림 감소가 지역 기온을 평균 0.7도까지 상승시켜, 총 3억4500만 명이 위험한 온난화에 노출되었음을 밝히며, 이로 인한 열 관련 사망자가 연간 2만8000명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Nature Climate Change, University of Leeds의 공식발표를 비롯해 Euronews, fiocruz.br, Carbon Brief에 따르면, 산림이 손실된 지역은 산림이 유지된 지역 대비 평균 0.5도 이상 더 급격한 온난화를 겪고 있으며, 이 온도 상승은 국지적인 더위 사망률을 높이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한다. 산림은 나무 그늘과 증산작용을 통해 자연 냉각 기능을 담당하는데, 이 기능이 사라지면서 지면 근처의 열 축적이 가속화되어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한다는 것이다. 지역별 피해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전 세계 과학자들이 해저 아래 거대한 담수 저장고와 메탄 기반 생태계 등 복잡하고 역동적인 지하 해양 세계의 비밀을 속속 밝혀내고 있다. 최첨단 시추 탐사와 심해 탐험를 통한 이들의 발견은 지상 환경만큼이나 다양한 생명체와 중요한 지질·기후 과정들이 해양 지하에 존재하며 우리의 지구 환경 이해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주목받고 있다. IODP와 미국 국립과학재단 공동 탐사 성과, 하와이 서부 해안 해저 담수 대수층 탐사 보고서, 네이처 논문, 심해 메탄 기반 생명의 세계, 일본 해구 단층대 치큐 시추 탐사 결과 등의 보고서와 nelha.hawaii.gov, vineyardgazette, Astrobiology, University of Hawaiʻi System News, bigislandnow.com, University of Leicester, Nature, science.org, joidesresolution.org, j-desc.org의 보도, 발표에 따르면 2025년 8월 초 마무리된 국제 공동 탐사단은 미국 뉴잉글랜드 연안 대서양 해저 9개 지점에서 과학 시추를 통해 약 5만 리터의 담수를 추출하는 데 성공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본 도쿄 정부가 8월 26일 ‘일본 화산재해 예방의 날’을 맞아 인공지능(AI) 기반의 후지산 분화 시나리오 영상 시뮬레이션을 공개했다. 이 영상은 후지산이 예고 없이 폭발적으로 분화할 경우, 약 100㎞ 떨어진 수도권 도쿄가 몇 시간 만에 화산재에 뒤덮여 교통 체계가 마비되고 필수 서비스가 중단되는 최악의 상황을 사실적으로 그려내며 대도시권 3700만 주민의 대비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있다. NDTV, Sky News, BBC News, Times of India, World Economic Forum, Global Volcanism Program등의 보도와 발표에 따르면, 영상에서는 분화가 시작된 지 1~2시간 내에 화산재가 도쿄 도심을 덮치고, 도시 서부 지역에서는 최대 30cm의 두꺼운 화산재가 쌓이는 장면이 시뮬레이션된다. 2~10cm만 쌓여도 철도, 항공편 등이 멈추고, 전력과 통신이 마비되며 도로는 미끄러워져 운전 안전에 심각한 위협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도시 기능이 사실상 마비되는 참극이 현실로 닥칠 수 있음을 경고한다. 도쿄도청은 현재 후지산 분화에 대한 특별한 징후는 없다고 밝히면서도, “이 시뮬레이션은 주민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500년 이상 전설과 음모론에 싸여 온 버뮤다 삼각지대의 미스터리에 대해 최근 과학자들이 초자연적인 이론에서 벗어나 자연 현상 중심의 해석을 제시하며 해빙이 일어나고 있다.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 research & Live Science, NOAA official statements and Lloyd’s of London insurance data의 공식 연구발표와 New York Post, Popular Mechanics, Yahoo News, Unilad의 보도에 따르면, 영국 사우샘프턴 대학교의 해양학자 사이먼 박설 박사는 채널 5 다큐멘터리 '버뮤다 삼각지대의 수수께끼'에서 "이 지역에 발생하는 거대하고 치명적인 ‘괴파(rogue waves, 예상치 못하게 마치 거대한 벽처럼 솟아오르는 초대형 파도)’가 선박과 항공기 실종의 주요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박설 박사는 "남쪽과 북쪽에서 발생하는 폭풍이 만나고 여기에 플로리다에서 발생한 폭풍까지 겹치면서 높이가 30m가 넘는 거대한 파도가 형성된다"며 "이 거대한 파도는 대형 선박을 두 동강 내고 순식간에 침몰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기후 변화로 인한 해양 산성화가 가속화되면서 상어 이빨의 구조적 손상이 전례 없이 심각해지고 있다. 독일 뒤셀도르프 하인리히 하이네 대학교 막시밀리언 바움(Maximilian Baum) 연구팀이 Frontiers in Marine Science에 발표한 최신 연구결과에 따르면, 해양 pH가 현재 8.1에서 2300년까지 7.3까지 떨어질 경우, 상어가 평생 교체하며 사용하는 이빨이 두 배 이상 가속적으로 부식되고 구조적 완전성이 크게 훼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EurekAlert, Mongabay, New York Post, IFLScience, Newsweek의 보도에 따르면, 연구팀은 오버하우젠 씨라이프 수족관에서 사육 중인 10마리 검은지느러미 산호상어가 자연 탈락한 약 600여개의 이빨을 수거해, 8주간 산성화된 바닷물(pH 7.3)과 현재 해수 조건(pH 8.1)에서 비교 실험했다. 산성 환경에 노출된 이빨은 균열, 구멍, 뿌리 부식, 표면 거칠기 증가 등 눈에 띄는 손상이 확인됐으며, 이는 절단 기능은 일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나 전체적인 이빨 강도를 약화시켜 사냥 성공률 저하와 이빨 교체 주기의 과부하를 초래할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