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랑은 같지만, 사랑의 방식은 매일 다르게 연습된다 저녁을 준비하는데, 쌍둥이 중 한 아이가 울면서 말했다. “엄마는 연우만 좋아해.” 그 말이 낯설지 않다. 며칠 전, 다른 아이도 비슷한 말을 했었다. 표현만 다를 뿐, 둘의 마음의 결은 같다. 이란성 쌍둥이. 성별도 생일도 같지만, 모든 것이 정반대다. 한 명은 한식을 좋아하고, 다른 한 명은 빵을 좋아한다. 한 명은 책상에 앉아 집중하고, 다른 한 명은 바닥에 누워 공부한다. 한 명은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고, 다른 한 명은 침묵 속에 감정을 쌓는다. 나는 때로는 통역사가 되고, 때로는 탐정이 되어 각자의 언어를 읽어내야 한다. 그래서 감정도 두 배, 해석도 두 배. 미안함도 두 배다. 이런 날, 엄마의 감정은 서랍 속 깊숙이 밀어 넣은 편지처럼 구겨져 있다. 꺼내면 더 어지러워질 것 같아 급하게 다시 닫아둔다. 그래서 누군가 나에게 “요즘 가장 자주 드는 감정이 뭐예요?”라고 묻는다면, 아마 나는 ‘미안함’이라고 대답할 것이다. 아이에게, 배우자에게, 그리고 오랫동안 뒤로 미뤄둔 나 자신에게도. ◆ 코칭에서는 ‘개별화’를 중요한 태도로 바라본다 모든 사람은 온전하고, 창의적이며, 스스로 답을 찾을
◆ 말보다 조금 더 느린 방식으로 칼럼 연재 제안을 받았을 때, 잠시 멈칫했다. 말을 하는 건 어렵지 않았다. 오히려 나는 말과 질문으로 사람의 마음을 여는 일을 오래 해왔다. 그런데 글은 조금 다르다. 말은 눈을 마주하고, 마음의 결을 따라 흐르지만 글은 그 결을 조심스럽게 눌러 담아야 한다. 이 칼럼은 내게 말보다 조금 더 느린 방식으로 사람의 마음에 닿아보려는 시도다. 그래서, 나는 이 제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코칭을 공부하며 마음속에 오래 남아 있던 한 문장이 있었다. “마음은 언제나 말보다 먼저 있다.” 그 마음의 움직임을 먼저 알아채고, 그 조용한 틈에 머무는 사람이 되고 싶었다. ◆ 빨래비누에서 래비(LABi)까지 어릴 적 부터 나는 ‘빨래비누(bbalebinu)’라는 아이디를 썼다. 사람들은 재미있다고 했지만, 내겐 하나의 태도였다. 빨래비누는 화려하지 않다. 눈에 잘 띄지도 않는다. 하지만 묵묵히 얼룩을 지우고, 본래의 색을 되찾게 해준다. 곁에 있으면 편안한 존재, 나도 그런 사람이 되고 싶었다. 처음엔 마케팅으로 시작했지만, 시간이 흐르며 나는 조직문화와 인권을 다루는 일을 하게 되었고 지금은 코칭이라는 새로운 언어로 사람을 만난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