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 김혜주 기자, 이종화 기자] 중국의 안마의자업체 누하스(대표 김택)가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며 생존의 기로에 서있다. 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누하스의 영업이익은 전년(-40억원)에 이어 지난해도 -59억원을 기록, 2년 연속 영업손실을 냈다.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34억원)에 이어 지난해도 -60억원을 기록, 2년 연속 당기순손실을 낸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매출은 2022년 306억원에서 2023년 428억원으로 40%가량 성장했다. 광고선전비를 전년보다 50%가량 늘린 60억원을 집행했다. 악화된 경영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무리하게 광고비를 집행한 것으로 분석된다. 급여비는 45억원, 판매촉진비로 5억원가량을 집행했다. 지난해 연구개발비도 2.7억원에 불과했다. 한국 안마의자 업체들의 연구개발비가 연간 200억원이상인 것과 비교된다. 단기차입금도 무려 94억원에 달했다. 기부금은 1600만원에 불과했다. 누하스는 안마용의자의 판매를 주사업목적으로 2019년 7월에 설립됐다. 현재 팬시홈즈 인베스트먼트가 주식 100%를 보유중이다. 팬시홈즈 인베스트먼트 유한회사는 중국 사무용 가구 회사인 행린가구(Henglin
[뉴스스페이스= 김희선 기자, 이종화 기자] 명품수입가구를 전문적으로 수입해 판매하는 디사모빌리(Disamobili,대표이사 최동열)가 지난해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이 감소한 가운데, 최근 6년간 배당금으로 160억원을 지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적인 유럽 명품 가구를 소개해 온 디사모빌리는 이탈리아의 폴리폼(Poliform), 모로소(Moroso), 프랑스의 리네로제(ligne Roset), 에르뽀(erpo), 치에레(cierre), 아티산(artisan), 독일의 보쎄(Bosse), 렌쯔(RENZ), 트레카(TRECA) 등을 선보이며 국내 수입 가구 업계의 정상급 회사로 자리잡았다. 디사모빌리의 주주구성과 지분율을 살펴보면 대표이사 최동열 45%, 강인순 18.5%, 최가영 20%, 최수영 15%, 최준서 0.5%, 최윤서 0.5%, 최민서 0.5% 등 총 100%지분을 가족들이 소유하고 있다. 강남구 논현동 플래그십 스토어에는 총 11개층 규모의 감각적이고 독창적인 하이엔드 브랜드의 차별화된 리빙 트렌드 제품들이 전시돼 있어 강남권 슈퍼리치들이 즐겨찾는 매장으로 유명해졌다. 디사모빌리는 1994년 4월 20일에 설립됐으며, 올해 법인설립 30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이종화 기자] 한성에프아이가 전개하고 있는 '테일러메이드어패럴'과 '레노마골프' '올포유' '오닐'을 진행하는 한성에프아이(대표 김영철)의 지난해 영업이익과 순이익이 70%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심각한 경영상황에서도 3년간 배당액은 120억원에 달했다. 2021년 40억원, 2022년 50억원, 2023년 30억원을 배당금으로 지급했다. 한성에프아이는 김영철 대표이사가 50%, 김영두 외 특수관계자가 50%를 보유한 사실상 가족기업이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성에프아이의 지난해 매출액은 전년(2379억원)보다 7% 감소한 2212억원으로 파악됐다. 매출이 소폭감소한데 반해 영업이익은 66%, 당기순이익은 65% 급감하는 성적표를 냈다. 특히 최근 4년간 영업이익, 순이익 등 질적지표가 이전에 비해 심각한 상황으로 떨어졌다. 2020년 368억원, 2021년 302억원, 2022년 141억원으로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다 결국 지난해는 한자릿수인 48억원으로 전년비 66% 떨어졌다. 당기순이익 역시 2020년 254억원, 2021년 205억원, 2022년 104억원을 기록했으나 지난해는 전년보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렉서스와 토요타가 지난해 한국시장에서 돌풍을 일으키며 탁월한 경영실적을 보여줬다. 지난해 1조3000억원에 육박하는 매출을 올리며 한국 진출 이후 사상 최대 실적을 이뤘다. 2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한국토요타자동차의 2023년 회계연도(2023년 4월~2024년 3월) 매출은 1조2645억원, 영업이익은 749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43.4%, 38.5%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한국 진출 이후 가장 높다. 순이익도 580억원으로 전년 대비 41.5% 늘어났다. 특히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498억원, 이익잉여금은 627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93.8%, 37% 증가했다. 2001년 렉서스코리아 출범 이후 23년 만에 세운 실적 신기록이다. 실제로 토요타·렉서스의 지난해 국내 판매량은 2만2056대로 전년 대비 59.2% 증가했다. 렉서스의 경우 지난해 국내에서 전년 대비 78.6% 급증한 1만3561대를 팔며 2019년(1만2241대) 이후 4년 만에 1만대 클럽 재진입했다. 토요타 라브4 하이브리드, 렉서스 ES300h 등 각 브랜드를 대표하는 하이브리드차의 선전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수입차 브랜드 중 국내 판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바이스프링 침대를 수입, 판매하는 법인은 인퍼니스(대표 곽성문)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 6-15 인피니 청담빌딩(서울 강남구 삼성로 777)이 본사다. 지분구조는 곽성문 대표 및 특수관계자가 100%를 보유중이다. 사실상 가족기업이다. 사내이사와 감사 역시 가족이다. 배당금으로 2022년 25억원, 지난해 22억원을 지급했다. 배당금 전액은 곽성문 대표와 특수관계자에게 모두 돌아갔다. 지난 2023년 매출은 149억원으로 전년(122억원) 대비 22% 증가했다. 지난해 영업이익 역시 전년 20억원보다 64% 급증한 33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업계 평균 대비 무려 443% 급증한 수치다. 2023년 당기순이익 또한 전년보다 303% 상승, 업계평균 대비 987% 상승한 49억원으로 파악됐다. 연도별 매출 추이를 살펴보면, 2019년 115억원, 2020년 94억원, 2021년 136억원, 2022년 122억원, 2023년 149억원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세다. 영업이익의 경우, 2021년은 최근 5년간 최고액인 45억원을 기록했다. 2019년 27억원, 2020년 19억원, 2022년 20억원, 2023년 33억원으로 파악됐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BTS(방탄소년단) rm, 홍라희 전 삼성미술관 리움관장의 공통점은? 정답은 바이스프링 침대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재벌들이 선호하는 라인은 '매그니피센스'로 가격은 1억2000만원~1억5000만원선으로 알려졌다. 두번째 퀴즈, 넷플릭스의 경쟁자는? 디즈니, CGV, 티빙, 쿠팡, 나이키, 에버랜드 등등 모두 맞는 말이다. 하지만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CEO는 지난 2019년 11월 6일(현지시간) 미국 맨해튼에서 열린 뉴욕타임스 딜북 콘퍼런스 연사로 나서 넷플릭스 경쟁상대로 '인간의 수면 시간'을 꼽았다. 그는 "미치도록 보고 싶으면 밤을 새워서라도 영화를 보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이런 관점이라면 인간이 잠을 자야 제품의 진가와 본질을 알 수 있는 '침대업체'야 말로 넷플릭스의 강력한 경쟁자인 셈이다. ◆ 세계 3대 하이엔드 럭셔리 침대…'바이스프링·덕시아나·헤스텐스' 침대계의 '에르메스'라 불리는 명품 침대 TOP3는 바이스프링(VISPRING, 영국), 덕시아나(DUXIANA, 스웨덴), 헤스텐스(Hastens, 스웨덴)다. 물론 프리미엄급 침대로 국내 시장 1위 시몬스에 이어 템퍼, 씰리침대, 카르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본죽' '본비빔밥' '본도시락'을 운영하는 본아이에프(대표 김철호)가 연매출 4000억원과 영업이익 200억원을 돌파하며 성장세를 이어갔다. 가족이 지분 100%를 보유한 가족기업이 전년(2022년) 30억원에 이어 2023년에도 7% 증가한 33억원을 배당금으로 지급한 부분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주주 100% 모두가 가족 구성원이라 배당금 33억원은 김철호 회장 가족 5명에게 모두 돌아갔다. 지분구조는 김철호 회장 66.47%, 배우자 최복이 31.13%, 자녀 김지혜 0.8%, 김조은 0.8%, 김율민 0.8%를 보유중이다. 본아이에프 오너인 창업주 김철호 회장 부부와 자녀들은 지난 2014년 15억원, 2017년 13억원, 2021년 30억원, 2022년 30억원, 2023년 33억원을 배당금으로 수령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우수한 경영성과를 바탕으로 맺게 된 과실인 이익 잉여금을 주주에 돌려주는 것이 배당의 본래 목적"이라며 "비상장인 데다 김철호 회장 부부와 세 자녀가 주주로 구성된 가족회사가 고배당을 실시하는 것은 다소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고 지적했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본아이에프는 지난해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고급 레스토랑, 동네 중국집, 특급호텔·백화점 화장실 어디를 가도 우리의 눈에 확띄며, 자주 보이는 기업로고가 있다. 바로 생활방역, 위생환경 전문기업인 세스코(대표이사 전찬혁). 세스코의 기업성적표는 코로나19 전과 후로 나뉜다. 코로나19의 최대 수혜기업으로 평가받으며 방역소독, 상품판매등이 급성장했다. 종합 생활환경 위생기업으로 해충방제, 방역소독, 바이러스케어, 식품안전, 공기질안심관리, 환경위생 솔루션을 제공하는 사업을 하고 있다. 국내 1위 방역업체 세스코(CESCO)가 매출 실적을 또 다시 갈아치웠다. 코로나19 이후 수익성이 ‘퀀텀점프’한 이후 이익잉여금도 무려 3000억원을 돌파했다. 국내 1만여개 이상의 업체가 난립하는 방역시장에서 압도적인 시장점유율로 국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의 세스코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매출은 4236억원으로, 전년비 3988억원보다 6.2%늘었다. 반면 영업이익은 333억원으로 전년(374억원)보다 11.0%(41억원) 감소했다. 당기순이익 329억원으로 전년 301억원보다 증가했다. 영업외 수익 중 이자수익은 전년 27억원보다 211% 늘어난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최근 음주운전 뺑소니사고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김호중의 소속사가 상당한 부를 축적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김호중의 소속사 생각엔터테인먼트는 김호중의 지난해 활동에 힘입어 사세가 확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매출은 188억원으로 전년 256억원보다 26.6%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2022년 24억원에서 지난해 34억원으로 10억원 늘었다. 순이익은 14억원에서 33억원으로 두 배 넘게 증가했다. 지난해말 기준 116억원에 달하는 이익잉여금이 쌓였다. 2023년 기준으로 임직원 급여로 23억7000만원, 접대비로 16억3000만원, 광고선전비로 25억3000만원, 기부금은 0원이 사용됐다. 생각엔터는 지난 2018년 이광득 대표( SBS 공채 9기 개그맨)와 최재호 이사, 개그맨 정찬우가 3분의 1씩 출자하면서 출발했다. 이후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이광득 대표와 정찬우의 지분을 각각 5%씩 총 10% 인수하고, 지난해 SBS미디어넷이 최재호 이사의 지분 가운데 3.6%를 인수했다. 이에 최재호 이사는 29.7%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가 됐으며, 이광득 대표(28.4%), 개그맨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가수 임영웅(32)이 지난해에만 200억원 이상을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의 물고기뮤직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임영웅은 지난해 소속사 물고기뮤직으로부터 총 234억원 가량을 지급받았다.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임영웅이 물고기뮤직으로부터 받은 수입은 정산금(용역비) 약 193억원, 물고기뮤직이 아직 지급하지 않은 미지급 정산금 31억원, 임영웅 몫의 배당금 10억원을 합친 금액이다. 임영웅은 2022년 정산금과 배당금(7억5000만원 추정)을 합쳐 약 143억원을 받았다. 1년 만에 59%(87억원) 늘었다. 물고기뮤직 소속 가수는 임영웅이 유일하다. 물고기뮤직은 신정훈 대표 외 2인이 지분 50%, 임영웅이 지분 50%를 각각 갖고 있어 임영웅이 최대 주주다. 총직원 수는 5명이다. 물고기뮤직 기업가치도 크게 올랐다. 향후 미래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단순 순자산만 236억원으로 전년(171억원) 대비 38%가량 늘었다. 물고기뮤직의 지난해 매출액은 360억5600만원으로 2022년 356억9800억원과 비슷한 실적을 일궜다. 영업이익은 113억5900만원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매출은 공연과 음원·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