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엔비디아(Nvidia)의 젠슨 황 CEO가 오는 9월 15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영국 국빈 방문에 동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CNBC, 스카이뉴스 등 복수의 해외 매체 보도를 통해 확인됐다. 이번 방문에는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 세계 최대 헤지펀드 블랙스톤의 스티븐 슈워츠먼 CEO, 그리고 자산운용사 블랙록의 래리 핑크 CEO 등 미 주요 IT‧금융 기업 수장들이 대거 포함됐다. 애플의 팀 쿡 CEO 역시 참석이 예상된다. 젠슨 황 CEO는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급속도로 친밀한 관계를 구축하며, 엔비디아가 직면한 지정학적 리스크를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올 4월 미국 정부의 중국향 AI 반도체 H20 모델 수출 금지 조치 이후, 황 CEO는 트럼프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다수 차례 만나 협상을 진행했다. 그 결과, 엔비디아는 중국 매출의 약 15%를 미국 정부에 수수료로 납부하는 조건 하에 수출 재개 허가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엔비디아는 이 H20 칩이 1분기 기준 약 25억 달러(약 3조원) 상당의 매출 손실을 불러왔으며, 45억 달러어치 재고를 평가절하하는 등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또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JW생활건강은 뉴질랜드산 신발 탈취제 ‘그랜즈레미디’의 유사품이 온라인을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어 소비자 주의가 필요하다고 9일 밝혔다. 신발 탈취제 ‘그랜즈레미디’의 국내 공식 수입·총판사는 JW생활건강이 유일하다. 최근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되는 일부 저가 유사품은 뉴질랜드 본사 엔데버헬스컨슈머리미티드(Endeavour Health Consumer Limited) 확인 결과 가품으로 드러났으며, 실제 소비자 후기에서도 효과가 없거나 냄새 제거 기능이 미흡하다는 불만 사례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JW생활건강은 ‘그랜즈레미디’ 35g 제품을 판매해왔으며, 올해 6월부터는 50g 제품도 정식 판매를 시작했다. 그러나 최근 온라인에서는 정품을 사칭한 가품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소비자 혼란이 우려되고 있다. 이에 JW생활건강은 정품 식별을 위해 뉴질랜드 본사와 협력, 공식 홀로그램 스티커를 제품에 부착해 판매하고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정품과 가품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고, 유사품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그랜즈레미디’는 오리지널(무향), 페퍼민트, 오렌지 3종으로 구성된 분말형 신발 냄새 제거제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유럽은 2025년 9월 5일(현지시간) 독일 서부 율리히 연구센터에서 대륙 최초의 엑사스케일 슈퍼컴퓨터 ‘주피터(JUPITER)’를 공식 출범시켰다. 유럽연합 공식 보도자료, Forschungszentrum Jülich, 엔비디아 보도자료, Hessian.AI 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초당 1퀸틸리언(10의 18제곱) 이상의 연산을 수행하는 능력으로 유럽의 과학기술과 인공지능(AI) 연구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주피터는 2025년 6월 기준 세계에서 네 번째로 빠른 슈퍼컴퓨터로 기록되며, EU 집행위원회와 독일 정부가 공동으로 2억7300만 유로(약 5억8000만 달러)를 투입해 구축했다. EU가 절반의 자금을 지원하고 나머지 절반은 독일 연방정부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가 분담했다. 주피터는 약 2만4000개의 엔비디아(NVIDIA) ‘그레이스 호퍼’ 슈퍼칩을 탑재했으며, 약 3600㎡ 크기의 모듈형 데이터센터에 설치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AI 성능 기준으로는 90 엑사플롭스 이상을 제공하며, 세계 상위 5대 슈퍼컴퓨터 중에서도 에너지 효율성이 가장 뛰어나 와트당 60 기가플롭(gigaflops)을 기록했다. 엔비디아는 주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강남구(구청장 조성명)가 2025년 7월 정기분 재산세 징수율 96.8%를 기록하며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1위를 차지했다. 총 징수액은 390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1억원 증가했으며, 서울시 평균 징수율(95.3%)보다 1.5%p 높은 수치다. 이번 성과는 강남구민의 높은 납세의식과 함께 구가 시행한 공감형 세무행정의 결과로 평가된다. 구는 납세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납부유예 ▲분할납부 ▲주택담보노후연금보증감면 등 다양한 납세편의 제도를 적극 홍보했다. 이로 인해 신청 건수가 전년 대비 30% 이상 증가했다. 주택분 과세표준 상한제가 2년 연속 적용되면서 경감분이 올해 이월·반영돼 재산세 인상률이 높아진다는 점을 주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는 25개 동 주민자치위원회와 통장협의회를 통해 안내문을 배포하고 설명회를 열어 공감세정을 실현했다. 아울러 납기내 징수율을 높이기 위해 스마트 알림 서비스를 적극 활용했다. 전자고지 오류 및 반송분에 대해 카카오톡 모바일 고지서 5621건을 3차례 발송했고, 납부기한 직전에는 미납자 4만7050명에게 알림톡을 전송해 납부를 독려했다. 이를 통해 납부 지연으로 인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미국 비자를 소지한 중국 국적자들의 기관 프로그램 참여를 전격 차단하는 조치를 2025년 9월 5일부로 시행했다. Bloomberg, South China Morning Post, The Independent에 따르면, 해당 연구자들은 NASA 데이터 시스템 접근이 금지됐고, 관련 회의에도 대면과 온라인 모두 참석할 수 없게 됐다. NASA는 물리적·사이버 보안을 강화했다며 이번 조치를 공식 확인했다. NASA의 보안 조치 배경 및 규모 NASA는 기존에 중국인 직접 고용을 제한했지만, 미국 비자를 가진 중국인들이 계약 연구원, 대학원생 등으로 연구에 참여해왔다. 이번 제한 조치는 중국의 급성장하는 우주 기술력, 그리고 미국 내 산업·군사 정보 유출 우려가 심화된 데 따른 것이다. NASA 대변인은 “우리 연구의 보안을 위해 모든 시설과 자료, 네트워크 접근을 통제했다”고 말했다. 우주 경쟁과 달 탐사 임무 미·중 양국은 2030년대 초까지 유인 달 탐사 임무를 추진 중인 가운데, 미국은 2027년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을 통해 달 착륙을 목표로 하고 있고, 중국은 2030년까지 ‘타이콩’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지구에서 가장 혹독한 사막 환경을 견디는 극한미생물인 남세균(시아노박테리아) 크로코시디오프시스(Chroococcidiopsis)가 인간의 화성 거주를 위한 산소 생산에서 혁신적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남세균은 대부분의 생명체가 죽을 수 있는 조건에서도 생존하며 필수적인 산소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Billi D. et al., Acta Astronautica, 나사 MOXIE 프로젝트, Surrey University, Microbiology Spectrum, Frontiers in Microbiology, ScienceAlert, Phys.org에 따르면, 로마 토르베르가타 대학교의 다니엘라 빌리를 포함한 과학자들은 흔히 '크루(chroo)'로 불리는 크로코시디오프시스(Chroococcidiopsis)가 우주의 진공, 화성과 유사한 대기 조건, 강력한 우주 방사선에도 견디며, 혹독한 환경속에서도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능력을 보유, 화성 식민지 구축의 핵심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밝혔다. 화성 대기의 이산화탄소와 토양만을 사용해 산소를 만드는 크로코시디오프시스는
지구는 끓고, 도시는 불길의 한가운데 서 있다. 우리는 거대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미궁 속에 갇혀 스스로를 옥죄고 있다. 지구 면적의 2%에 불과한 도시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70%를 뿜어낸다. 그중 건물은 에너지 관련 이산화탄소 배출의 절반을 차지한다. 이쯤 되면 도시는 환경 파괴의 주범이다. 절망적인 그림 속에서 희망의 씨앗을 발견했다. 부동산과 기술의 만남, 프롭테크다. 똑똑한 손길이 오래된 건물을 깨우고, 거대한 도시를 숨결로 채우는 마법 같은 이야기다. 탄소중립 도시는 막연한 꿈이 아니다. 프롭테크라는 지팡이가 있다면 눈앞의 현실이 된다. 숨 쉬지 않던 건물이 깨어나는 순간: 데이터 기반 에너지 혁명 콘크리트 숲을 이루는 건물들. 이들이 온종일 내뿜는 열기는 거대한 용광로 같다. 냉난방과 조명에 막대한 에너지를 낭비하며 탄소를 쏟아내던 과거의 건물들은 '에너지 먹는 하마'다. 하지만 프롭테크는 여기에 기발한 해법을 제시한다. 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관리다. 건물 곳곳에 사물인터넷(IoT) 센서와 스마트 계량기가 실핏줄처럼 깔리고, 에너지 사용 데이터를 모아 '뇌' 역할을 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에 보낸다. 홍콩의 한 부동산 기업은 AI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파키스탄에서 15년마다 홍수와 가뭄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AI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공지능(AI) 기반의 이번 연구는 파키스탄이 약 15년마다 파괴적인 홍수와 극심한 가뭄을 겪을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아, 현재 수십 년 만에 최악의 몬순 홍수를 겪고 있는 파키스탄의 암울한 전망에 과학적 정밀성을 더했다는 분석이다. 인공지능이 밝힌 파키스탄의 파국적 주기 TechWireAsia, India Today, Wikipedia, Alkhidmat Foundation, Britannica, Nature에 따르면, 한국 포항공과대학교 감종훈 교수팀이 주도한 AI 기반 연구가 파키스탄의 복잡한 산악 지형과 협곡에서 기존 기후 예측의 한계를 극복하며, 약 15년마다 '초강력 홍수'와 '극심한 가뭄'이 인더스강 상류를 강타할 것으로 과학적으로 밝혀냈다. 주변 하천들은 이보다 더 잦은 약 11년 주기의 극단적 기후 재해를 겪을 전망이다. 실제 강 유량 데이터와 관측값을 AI가 분석해 기존 물리 기반 모델보다 예측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였다. 실제 재난이 예측을 입증 2025년 몬순 시즌, 파키스탄은 40년 만에 최악의 홍수를 겪으며 1000명 가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맥도날드는 ‘한국의 맛(Taste of Korea)’ 프로젝트의 광고 캠페인이 ‘2025 부산국제마케팅광고제(MAD STARS)’에서 6개 부문을 석권했다고 9월 1일 밝혔다. 부산국제마케팅광고제는 2008년 출범해 올해로 18회를 맞은 국내 유일의 마케팅·광고·디지털콘텐츠 국제 행사다. 매년 전 세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고 미래 산업의 방향성을 논의하는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맥도날드의 한국의 맛 프로젝트 광고 캠페인은 올해 해당 광고제에서 금상 1개, 은상 2개, 크리스탈상 3개 등 총 6개 부문을 수상하는 성과를 거뒀다. 먼저, 전략(Strategy Stars) 부문 내 ‘컬처 앤 콘텍스트(Culture & Context)’ 분야에서는 국산 농산물 소비 촉진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높은 평가를 받아 금상을 거머쥐었다. 또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Stars) 부문 내 ‘책임감 있는 소비와 생산(Responsi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분야와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Decent Work and Economic Gro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NASA가 2025년 8월 말 콜로라도 로키산맥 인근 고고도 육군 방위군 항공 훈련소에서 헬리콥터 기반의 달 착륙 비행 훈련 과정을 공식 인증하며, 2027년 중반으로 예정된 아르테미스 3호 임무의 성공적 달 착륙 준비에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 9월 12일(현지시간) NASA 공식 발표, space.com, aerospaceglobalnews, executivegov에 따르면, 이번 2주간의 인증 훈련에는 우주비행사 마크 밴데하이와 매튜 도미닉이 참여해 헬리콥터 조종과 착륙 훈련을 소화하며 코스의 완성도를 확인했다. 이 훈련은 NASA와 콜로라도 육군 방위군의 긴밀한 협업으로 개발되어, 아르테미스 임무의 달 착륙선 조종 최종훈련의 기반을 다졌다. 콜로라도 북부의 험준한 산악 지형은 달 남극의 착륙 환경을 정밀하게 재현한다. 해발 6500피트에서 1만4200피트 사이의 고고도 훈련은 공기 밀도 감소로 헬리콥터 동력 한계 상황을 만들어내, 달 착륙 시 우주비행사들이 체감할 에너지 관리 및 조종 어려움을 실제와 가깝게 체험하게 한다. NASA 우주비행사 더그 윌록은 "1만 피트 이상 고도에서 헬리콥터는 매우 제한된 동력으로 운항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