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호텔신라가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DF1(향수·화장품·주류·담배) 권역의 운영 사업권을 반납하기로 결정하자 주가가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크게 상승했다. 2025년 9월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호텔신라 주가는 전일 대비 3.21% 상승한 5만4700원에 마감했으며, 장중 5만8400원까지 오르며 신고가 기록을 세웠다. 호텔신라는 2023년 10년 계약으로 인천공항 면세점 사업에 진출했지만, 중국 소비 침체와 소비 패턴 변화 등으로 큰 폭의 적자가 누적됐다. 특히 DF1 권역은 입찰 당시 DF3(패션·부티크) 권역보다 약 3배 높은 임대료가 책정되어 막대한 임대료 부담으로 지속적인 영업적자가 발생했다. 이에 임대료 조정을 요구했으나 인천공항공사와의 협상이 결렬됐고, 이에 따라 오는 2026년 3월 17일부로 사업권을 반납하기로 했다. 면세점 사업 철수에 따라 호텔신라는 약 1900억원 규모의 위약금을 부담해야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이 결정이 중장기 실적 개선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한다. 교보증권 장민지 연구원은 "DF1 권역 영업 중단에 따른 실적 개선 효과가 내년 2분기부터 반영되어 연간 400억원 이상의 영업손익 개선이 기대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CEO가 2025년 10월 4일(현지시간) 공개한 36초 분량의 영상에서 옵티머스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 지도자와 함께 쿵푸 동작을 연습하며 놀라운 균형 감각과 동적 움직임 능력을 선보였다. teslarati, Humanoids Daily, Humanoid Robotics Technology, Drive Tesla Canada, tandardbots.com, TrendForce에 따르면, 이번 시연에서 옵티머스는 원격 조종 없이 온보드 AI를 통해 실시간으로 반응해 블록, 킥, 전투 자세 등의 무술 동작을 자연스럽게 펼쳐 이전에 사람이 조작하던 초기 시연과 달리 독자적 학습 능력을 갖추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옵티머스는 인간 스파링 파트너로부터 밀려도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하고, 예측과 적응이 필요한 복합 동작을 수행해 AI 기반 제어와 센서 데이터 실시간 처리의 기술 진보를 드러냈다. 머스크는 X(구 트위터)에서 옵티머스를 ‘테슬라의 가장 중요한 제품 중 하나’로 평가하며, AI 소프트웨어 부사장 아쇼크 엘루스와미는 자동차 자율주행 AI와 옵티머스 로봇 AI 모델의 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테슬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월가의 권위 있는 증권사들이 일제히 테슬라(Tesla)의 AI 기조 전환과 미래 잠재력에 주목하며 투자 의견과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하고 있다. 베어드(Baird)는 테슬라가 제조업을 넘어 AI와 로보틱스 혁신 기업으로 전환하는 '피지컬 AI'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지난 19일(현지시간) 테슬라에 대한 등급을 기존 '중립'에서 '시장수익률 상회(Outperform)'로 높이고 목표주가도 320달러에서 548달러로 무려 71% 인상했다. Teslarati, Yahoo Finance, Investing.com, Barron's, MarketBeat에 따르면, 베어드의 벤 칼로(Ben Kallo) 애널리스트는 "최근 테슬라 주가가 8거래일 중 7일 오르며 약 20% 상승했고, 같은 기간 시가총액도 2300억달러가 늘어났다"면서, 단기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투자자 관심은 '미래 성장 동력'인 로보택시,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 에너지 저장 사업 등 혁신적 프로젝트로 옮겨가고 있다고 밝혔다. 베어드는 테슬라가 2035년까지 연 2000만대 차량 판매, 1000만대의 로보택시와 옵티머스 로봇 배치, 1000만건의 완전 자율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국내 무한리필 돼지갈비 프랜차이즈 명륜진사갈비를 운영하는 명륜당이 오너 일가가 실소유한 12개 대부업체를 통해 가맹점주들에게 총 822억원 규모의 대출금을 제공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25일 금융감독원 공시와 국회 더불어민주당 박상혁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이들 대부업체의 기말 대여금 합계는 명륜당 순자산(837억원)을 웃도는 규모이며, 대출금리는 연 10%대 중반에 달해 고금리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대부업체 지분 구조를 살펴보면, 명륜당 최대주주인 이종근 회장이 12개 대부업체 중 6곳의 지분을 100% 보유했고 3곳은 90% 이상을 소유했으며, 아내 유진숙 씨도 2개 대부업체 지분을 독점 보유하는 등 오너 일가가 대부업체를 사실상 장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륜당은 이들 대부업체를 특수관계자로 분류하고 있으며, 회사 자금을 이들에 빌려주고 다시 이들을 통해 가맹점주에게 대출 자금을 공급하는 구조를 운영하고 있다. 명륜당 측은 "가맹점주 대출은 창업 지원용으로 합법적 금융지원 장치"라고 주장하고 있으나, 대출금리가 최고 연 20% 법정 상한선에는 미치지 않으나 연 10%대 중반으로 높은 편이다. 특히 대출 상환 방식 중 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경영하는 테슬라(TSLA)의 주가가 9월 들어 약 30% 넘게 급등하자 월가 주요 증권사들이 기존 목표주가를 잇따라 상향 조정하고 있다. 9월 26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테슬라는 전일 대비 4.02% 상승한 440.40달러에 마감, 이달 들어 주가가 32% 상승하며 시가총액 1조4000억 달러를 회복했다. 이는 미국 기업 시총 순위에서 버크셔 해서웨이를 제치고 8위에 오른 수치다. 작년 12월 17일 기록한 역대 최고가 479.86달러 경신도 목전에 두고 있다. 주가 상승 배경으로는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대감, CEO 일론 머스크의 약 10억 달러 규모 대량 자사주 매입, 그리고 막대한 보상안과 이에 따른 머스크의 경영 집중 전망이 꼽힌다. 특히 머스크의 지분 확대 행보는 시장에서 회사의 미래 성장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신뢰 신호로 인식된다. 월가에서는 과거 전기차 판매 부진 등에 따른 비관론이 힘을 받으며 테슬라 주가가 애널리스트 목표가 밑에서 거래되는 일이 많았다. 팩트셋 집계에 따르면 지난 3개월간 주요 애널리스트 목표주는 평균 10% 상승했으나 여전히 342달러 선에 머물고 있다. '매수' 등급을 부여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또 한 번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의 판을 흔든다. Economic Times, GSM Arena, MK, Kbench, Counterpoint Research에 따르면 삼성의 첫 3단 폴더블폰 ‘갤럭시 Z 트라이폴드’는 한국 및 중국 내수 시장에 국한하지 않고, 아랍에미리트(UAE)와 미국 등 전략적 시장으로 출시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기존 갤럭시 Z 폴드 시리즈의 한정적 출시 기조를 깨고, 글로벌 하이엔드 시장에서의 입지 확보를 명확히 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특히 삼성은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갤럭시 Z 트라이폴드를 첫 공개할 예정이며, 출시 초기에 전 세계 5만대 한정 생산이라는 희소성 전략을 채택한다. 이는 기존 갤럭시 Z 폴드 7의 2025년 월간 생산량(26만대)에 비해 5분의 1에 불과한 수치로, 초프리미엄 시장을 겨냥한 ‘리미티드 런(Limited Run)’ 콘셉트가 뚜렷하다. 이 제품의 가장 큰 혁신은 바로 3개로 분할된 전지 시스템이다. 최근 KIPRIS(특허정보원)에 공개된 특허 자료에 따르면, 트라이폴드는 본체 각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LG화학이 2조원대 주가수익스와프(PRS, Price Return Swap) 계약을 단행하며 LG에너지솔루션 주가가 10% 가까이 급락, 10일 단 하루 만에 시가총액 9조원 이상이 증발했다. 이 사건은 단순한 지분 매도를 넘어 글로벌 법인세 규정 변화가 한국 대표 배터리 기업의 시장가치에 큰 악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업계와 투자자 심리에 깊은 파장을 남겼다. 단 하루에 9조원 증발…시장서 ‘지분 처분 악재’ 직격탄 10월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주가는 전거래일 대비 9.90% 급락하며 35만9500원에 마감했다. 직전 거래일 기준 시총 93조3660억원에서 84조1230억원으로 하루 만에 9조2430억원이 사라졌다. 불과 일주일 전 연저점 대비 48% 가까이 급등하며 40만원에 근접했던 주가는 장중 최대 11.65% 낙폭을 기록했다. 모기업 LG화학의 PRS 전략과 글로벌 법인세 규제 급락 배경에는 LG화학이 LG에너지솔루션 주식 575만주(지분율 2.46%)를 기초자산으로 국내 주요 증권사들과 PRS 계약을 체결, 약 2조원 규모 자금 조달에 나섰다는 점이 지목된다. PRS는 만기 조건에 따라 자회사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서울 강남구의 D 산후조리원이 2주 특실 요금 4020만원을 기록하며 국내 산후조리원 이용료 최고가를 경신했다. 전국 최저가는 전북 군산의 일반실 120만원, 전남 강진군 공공 산후조리원 특실이 154만원으로, 최고-최저 요금 격차가 무려 33.5배에 달했다. 산후조리원 가격, 지역 따라 천차만별 10일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국회의원(서울송파구병, 보건복지위)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일반실 기준으로 강남의 산후조리원 2곳(A·H)은 각 1700만원, 반면 전북 군산 M조리원은 120만원으로 조사됐다. 특실의 경우 강남 D 산후조리원 4020만원과 강진군 공공산후조리원 154만원이 극적인 대조를 이룬다. 상위 10곳 중 7곳이 강남에 몰려 있고, 나머지는 서울 용산·강서, 경기 성남시에 분포했다. 상위 10곳 평균 요금은 1260만원, 하위 10곳은 150.1만원으로 8.4배 차이가 났다. 럭셔리 산후조리원들은 배우 손예진(현빈)·이민정(이병헌)·한가인(연정훈)·고소영(장동건)·이보영(지성)·박신혜(최태준)등의 톱스타 부부들이 이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유명세를 탄 곳이다. 공공산후조리원, 저렴한 비용에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메타(Meta Platforms, Inc.)가 오는 9월 17일 ‘Meta Connect 2025’ 콘퍼런스에서 수년간 기대를 모았던 차세대 EMG(근전도) 기반 신경 손목밴드를 공식 공개한다. Dezeen, TechCrunch, XR Today, CNET, Open Data Science Conference, Blue Tech Wave Media에 따르면, 이 기기는 팔뚝 근육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포착해 미세한 손 동작으로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혁신적 인터페이스 기술이다. 메타는 이 손목밴드를 하이퍼노바(Hypernova)라는 코드명의 새로운 스마트 글라스와 함께 출시할 예정이며, 실제 제품명은 ‘ 메타 셀레스티(Meta Celeste)’가 유력하다. 이번 기술은 2019년 메타가 CTRL-labs를 약 5억~10억 달러에 인수하며 본격 연구를 시작했고, 최근 수많은 사용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정 없이도 다양한 사용자에게 적용 가능한 딥러닝 기반 모델로 완성됐다. Nature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손목 전체를 둘러싼 16개의 금 도금 전극이 초당 2000회 데이터를 샘플링하며, 손가락 집기, 두드리기, 엄지 스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