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6년 대한민국 우주항공청(우주청)의 예산이 1조1131억원으로 올해 대비 15% 증가하며, 본격적인 '1조원 시대'를 맞이한다. 이는 우주수송, 위성 통신·항법·관측, 우주탐사, 미래 항공기술, 민간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 전문 인재 양성 등 6대 핵심 분야에 집중 투자하는 전략으로, 정부가 국가 우주 강국 도약을 위한 명확한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예산 내용과 사업별 주요 투자 방향 우주수송: 내년 누리호 5차 발사 및 차세대 발사체 개발을 통해 기존 누리호 신뢰성을 보완하고, 장기적으로 저비용·고빈도의 우주수송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다만, 발사체 전체 체계 개발 사업비는 14.9% 감소한 2642억 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누리호 사업 예산 감소와 차세대 발사체 사업 계획 조정에 따른 결과다. 더불어, 궤도수송선 개발·실증을 위한 신규 R&D에 30억원이 배정됐다. 위성: 위성분야 예산은 전년 대비 11.6% 증가한 2362억원으로 중앙 초고해상도 10cm급 위성 핵심기술 개발(62억원), 2030년 발사 목표 6세대(6G) 저궤도 위성통신 개발(153억원) 등이 포함된다. 2029년 발사 예정인 한국형 위성항법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독일 화학 대기업 BASF가 2025년 8월 29일, 중국 베이징의 WELION(웰리온) 신에너지 기술사에 반고체(semi-solid-state) 배터리용 최초의 대량 생산 양극활물질(Cathode Active Material, CAM)을 공급하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 상용화에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었다. 이 프로젝트는 2024년 8월 착수 후 단 1년 만에 콘셉트에서 대량 생산 단계로 빠르게 전환하며, 전고체 배터리 산업의 상용화 시계추를 앞당기고 있다. BASF의 공식발표를 비롯해 Electrive Global, Chemxplore, Automotive World, metal.com, grandviewresearch.com의 보도와 자료에 따르면, 이번에 공급된 BASF의 양극활물질은 초고니켈 NCM(니켈·코발트·망간) 소재로, 독특한 복합 코팅 층을 적용해 양극재와 고체 전해질 간 계면 접촉 문제를 해결했다. 이 기술은 배터리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저항을 줄이고, 충·방전 사이클 성능과 수명까지 획기적으로 개선해 전기차용 배터리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크게 강화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프로젝트는 BASF와 중국 파트너인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독일이 러시아의 안보 위협과 나토(NATO) 방위 기준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2011년 이후 중단했던 군 복무 징병제 부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주 내각 승인을 앞둔 법안은 우선 자발적 입대를 촉진하되, 목표 인원 충원이 실패할 경우 의무 복무로 전환할 수 있는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 방침은 프리드리히 메르츠 총리가 "유럽에서 가장 강력한 재래식 군대"를 구축하겠다는 약속의 일환이다. 정치권 내 첨예한 입장차 DW(Deutsche Welle), Bloomberg, The Local, ifo Institute, Gallup, Gov for German Press, Japan Times 등의 보도에 따르면, 메르츠 총리가 이끄는 기독교민주연합(CDU)과 바이에른 기독사회연합(CSU)은 징병제 도입에 적극적이다. 반면, 집권 연합의 또 다른 축인 사회민주당(SPD)은 자발적 모집 원칙을 고수하나, 병력 부족 시 징병제를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유지한다. 보리스 피스토리우스 국방장관(SPD)은 자발적 복무를 공식 옹호하지만 "필요 시 징병제를 선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CDU 산하 토르스텐 프라이 의원은 "전략 수정 시점을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의 저명 작가 그레이디 헨드릭스(Grady Hendrix)와 제니퍼 로버슨(Jennifer Roberson)이 애플을 상대로 연방법원에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Reuters, NYT, Wired, LinkedIn, Engadget, 9to5Mac, Brusselstimes, The Verge등이 보도한 소장에 따르면, 애플은 Apple Intelligence에서 사용되는 OpenELM 대규모 언어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Books3 데이터셋을 활용했다. Books3는 19만6000여 권의 도서가 포함된 불법 복제본 데이터셋으로, Bibliotik 등 이른바 '섀도우 라이브러리'에서 수집된 것으로 드러났다. 작가들은 자신들의 책이 무단으로 AI 훈련에 사용됐고, 애플이 아무런 허락이나 금전적 보상, 저작자 표시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헨드릭스의 'My Best Friend's Exorcism', 로버슨의 'Sword-Bound' 등 대표 작품 역시 AI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것으로 판명됐다. 원고 측은 애플의 AI가 저작권 침해와 시장 가치를 희석했다는 점도 강조하며, 해당 소송을 집단 소송으로 확대해 수천명의 피해 작가를 대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상반기 한국의 출생아 수가 44년 만에 최대 증가율을 기록하며 저출생 극복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통계청이 8월 27일 발표한 '2025년 6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1~6월 누적 출생아 수는 12만6001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8721명) 증가했다. 이는 1981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6월 한 달 동안에도 1만9953명이 태어나 전년 동월 대비 9.4% 증가하며 12개월 연속 출생아 수 증가세를 이어갔다. 월별 출생아 수는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합계출산율 역시 6월 기준 0.76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0.06명 상승했다. 특히 30대 여성의 출산율 증가가 두드러졌는데 35~39세 여성의 출산율은 5.7명, 30~34세는 3.7명 증가했다. 반면 24세 이하 연령층은 출산율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출생통계에서는 혼외 출생아 비율이 5.8%로 역대 처음 5%를 넘어섰다. 법적 혼인 관계가 아닌 상태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는 1만3800명으로 4년 연속 증가세를 지속 중이다. 2017년 1.9%에 불과했던 혼외 출생 비율은 2018년 이후 꾸준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이 8월 26일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중성미자 검출기 장먼 지하 중성미자 관측소(JUNO, Jiangmen Underground Neutrino Observatory)를 공식 가동하며 중성미자 물리학 분야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고에너지물리연구소(Institute of High Energy Physics, IHEP)와 중국과학원이 주도한 이 프로젝트는 17개국 74개 기관에서 700명 이상의 국제 연구자가 참여한 글로벌 협력으로, 2만톤 규모의 액체 신틸레이터 검출기를 700미터 지하에 설치해 중성미자의 비밀을 풀기 위한 연구에 돌입했다. Chinese Academy of Sciences Headquarters, ScienceDaily, JUNO official website and reports, Interactions.org의 공식 발표와 SCMP, China Daily HK, EurekAlert의 보도에 따르면, JUNO는 35.4미터에 이르는 거대한 아크릴 구체 안에 투명하고 순도 높은 액체 신틸레이터를 가득 채워 놓았으며, 4만5000개 이상의 초고감도 광전자증배관이 미약한 빛의 섬광을 탐지한다. 이는 기존 검출기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넷플릭스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가 전 세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가운데 중국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서 불법 굿즈가 판매되고 있어 논란이다. 전 세계 고객을 대상으로 판매하는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에서 '케데헌'에 관한 티셔츠, 가방, 인형, 담요 등 다양한 불법 굿즈가 버젓이 판매되고 있다. 앞서 '오징어게임' 등이 세계인들에게 큰 인기를 끌 때도 중국 내에서의 불법 복제물 유통과 무단 시청 문제가 큰 논란이 됐었다. 특히 '오징어 게임' 시즌1이 공개된 이후 중국 대형 온라인 쇼핑몰에서 '짝퉁'(가짜) 굿즈를 판매하는 업자들은 그야말로 큰 특수를 누린 바 있다. 이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정말로 한심한 행위"라며 "불법 시청도 모자라 불법 굿즈까지 만들어 자신들의 수익 구조로 삼는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제는 그만해야 한다"며 "더이상 다른 나라의 콘텐츠를 '도둑질'하는 행위는 멈춰야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중국 누리꾼은 '케데헌'을 불법 시청한 후 중국 최대 리뷰 사이트 더우반에 지금까지 약 7000건의 리뷰를 남겼다. 이 중에는 "중국 문화를 표절했다"며 '케데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의 점유율이 8월 기준 38%로 떨어지며, 2017년 10월 모델 3 대량 생산 개시 이후 처음으로 40% 이하로 하락했다. CNBC, Cox Automotive, Cleantechnica, CBT News, Investors.com, Reuters, S&P Global에 따르면, 한때 80%를 넘던 점유율이 반토막 난 것은 경쟁사들의 공격적인 신모델 출시와 가격 인센티브 확대에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특히 7월에 미국 내 신규 EV 판매량이 전월 대비 24% 급증해 12만8268대를 기록했는데, 이는 9월 말 종료되는 연방 세액 공제(7500달러)와 할인 혜택 영향이 컸다. 테슬라는 매출이 7% 증가한 5만3816대를 판매했으나, 시장 성장률 14% 대비는 둔화됐다. 현대자동차, 폭스바겐, 혼다, 토요타 등이 신모델 출시 및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으로 전기차 판매량을 60%~120%까지 늘리면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폭스바겐의 경우, 7월에 무료 고속 충전 등 매력적 리스 조건을 무기로 전월 대비 판매량이 450% 이상 증가하는 등 경쟁이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테슬라의 점유율 하락은 저가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경기 용인특례시가 수도권과 전국을 잇는 8개 광역 고속도로 건설 사업을 본격 추진하면서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협력해 진행 중인 이번 사업은 고속도로 8건과 진출입 나들목(IC) 4건 신설 계획을 포함하며, 국책사업 2건과 민자사업 6건이 병행된다. 이를 통해 반도체산업단지 간 원활한 교통망을 구축하고 시민의 교통 편의를 크게 제고할 전망이다. 국책사업으로는 경부지하고속도로(용인 기흥~서울 양재, 26.1㎞)와 용인~과천 지하고속도로(총 30㎞ 중 21.1㎞ 지하화)가 대표적이다. 경부지하고속도로 사업은 이미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고, 현재 타당성 평가가 진행 중이며, 이 사업이 완성되면 기흥에서 양재까지 통행시간이 30분가량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민자사업에는 반도체고속도로(화성 양감~용인~안성 일죽, 45.3㎞), 용인~성남, 용인~충주, 제2용인~서울, 제2영동연결, 오산~용인 고속도로 등 6개 사업이 포함되며 총 연장은 174.5㎞에 달한다. 반도체고속도로의 경우 9월 중 민자적격성 조사가 완료될 예정이며, 나머지 사업들도 민자적격성 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실시협약 절차를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 5개 계열사 노동조합 통합체인 삼성그룹 초기업노동조합(이하 초기업노조)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게 성과급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공문을 보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그룹 초기업노조는 이날 '낡은 성과급 제도와 변함없는 회사'라는 제목의 공문을 이 회장과 전영현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장(부회장), 노태문 삼성전자 디바이스경험(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에게 전했다. 삼성그룹 초기업노조가 SK하이닉스가 합의한 ‘영업이익의 10% 성과급 지급’을 계기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게 성과급 제도 개선을 요구하는 공식 공문을 전달해 업계 이목이 쏠리고 있다. 지난 9월 1일 SK하이닉스 노사는 기본급의 최대 1000% 한도였던 ‘초과이익분배금(PS)’ 상한을 폐지하고, 연간 영업이익의 10% 전액을 초과이익성과급(OPI)으로 직원들에게 지급하는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 고정급도 6% 인상됐다. SK하이닉스는 2분기 영업이익 9조원을 돌파하는 등 AI칩 수요 호조를 배경으로, 연간 30조원대 영업익 달성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직원 3만명 기준, 개인당 최대 1억원 이상 성과급 지급이 예상된다. 반면 삼성전자는 현재 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