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인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가 최근 "조기에 포경수술을 받은 아이들은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복용 탓에 자폐증 발병률이 높다"는 주장을 내놓으면서, 트럼프 대통령까지 나서 '타이레놀 논란'이 다시 불붙고 있다. Scientific American, CBS News, Washington Post, JAMA, WHO, EMA, AAP, ACOG에 따르면, 관련 연구와 국내외 전문가 분석을 종합하면 주장의 근거는 미약하며, 오히려 '허위 과학' 논란이 거세게 제기된다. 논란의 중심, 두 편의 연구 케네디 장관과 트럼프 대통령은 2013년 '환경 건강' 논문과 2015년 '영국 왕립의학회지' 논문을 근거로 포경수술과 자폐증 사이의 인과관계를 언급했다. 2013년 연구는 8개국 남아의 포경수술과 자폐증 발병을 비교했고, 2015년 덴마크 연구는 포경수술 받은 남아가 10년간 자폐증 위험이 46~62% 높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하지만, 두 연구 모두 인과성이 아닌 ‘상관관계’만을 다뤘으며, 타이레놀(아세트아미노펜) 복용과 자폐증 위험 연결고리에 대한 정보도 부족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주요 변수(부모 연령, 진단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10월 둘째 주 천문학 애호가들에게는 역사적인 한 주가 될 전망이다. 10월 5일 밤부터 6일 새벽까지 토성의 가장 큰 위성 타이탄이 토성의 구름 위로 그림자를 드리우는 ‘그림자 통과(Shadow Transit)’ 현상이 올해 최종으로 관측된다. 이 그림자 통과 현상은 토성의 자전축 기울기(약 27도)와 공전 주기(29.5년)에 따라 약 15년 주기로 일어나며, 올해 사건 이후에는 2038년 8월부터 다시 시작되어 2040년까지 다음 관측 기회가 없다. Astronomy.com, Astronomy Now, Space.com, Zwicky Transient Facility 공식 발표, Madison Astro, NASASpaceNews에 따르면, 이번 타이탄 그림자 통과는 10월 5일 오후 9시 25분(미국 동부시간 기준)부터 시작되어 10월 6일 오전 12시 26분에 그림자가 토성 원반에 나타난다. 그림자는 토성 북극 부근을 가로지르는 어두운 발자국 형태로 나타나며, 약 2시간 동안 이동하여 10월 6일 오전 2시 45분경 종료된다. 망원경으로 관측하려면 8인치(약 20cm) 이상의 구경에 200배 이상의 배율이 필요하다. 이 현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귀여운 캐릭터가 그려진 대형 쇼핑백 하나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원래 자주 통용되는 문장은 '나는 누구? 여긴 어디?'이지만, 이 병원 홍보문구는 '나는 누구? 여긴 허리!!'라는 재치있는 문구를 사용했다. 문구와 함께 등장한 이 키치한 이미지는 척추·관절 전문 병원인 나누리병원이 선보인 ‘SPINE MONSTER’ 홍보물이다. 단순한 유머를 넘어서 척추 건강에 관한 경각심을 일깨워주는 메시지성이 담겨 있다는 점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 쇼핑백은 서울시 '한강 뚜벅뚜벅 축제'에 나누리병원이 의료지원 봉사를 나가면서 행사 참가자들에게 나눠준 홍보물이다. SPINE MONSTER라는 캐릭터는 실제로 척추 횡단면의 구조에서 착안한 디자인으로, 후관절돌기, 척추체, 디스크, 신경 요소 등 척추의 주요 부위를 모티프로 창작됐다. 친근한 얼굴과 사랑스러운 포즈는 허리 건강에 대한 부담감을 줄여주는 동시에, 올바른 치료와 예방의 중요성을 자연스럽게 환기시킨다. 나누리병원 관계자는 “나누리병원은 어렵고 무거운 의료 정보를 쉽고 재밌게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며, “이번 캠페인을 통해 남녀노소 누구나 척추 건강의 중요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테슬라 일론 머스크 CEO가 인공지능(AI)과 로봇이 결국 모든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 단언하면서, 일은 “가게에서 사는 대신 직접 채소를 재배하는 것처럼” 선택 사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아마존 내부 문서 유출에 따른 것으로, 해당 문서에서는 아마존이 2033년까지 미국 내 약 60만명의 근로자를 로봇으로 대체하겠다는 계획을 담고 있어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The Federal, Morning Brew, Benzinga, News18,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에 따르면, 아마존은 2025년부터 2027년 사이에는 16만명 이상의 신규 채용을 회피할 수 있다고 보고하며, 창고 운영의 75%를 자동화해 배송 품목당 약 30센트(약 400원)의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한다. 이는 연간 126억 달러(약 17조원)의 비용 절감 효과로 분석된다. 이미 아마존은 전 세계 100만대 이상의 로봇을 운영 중이며, 이는 자사 인력의 약 2/3 수준이다. 이에 대해 미국 상원의원 버니 샌더스는 강력히 비판하며 "빅테크 과두들이 당신의 일자리를 노리고 있다"고 경고했다. 샌더스는 아마존이 향후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최근 교촌치킨이 순살 메뉴 중량을 기존 700g에서 500g으로 약 28.6% 줄이고, 닭다리살에서 닭가슴살 혼합으로 원재료를 변경해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는 ‘슈링크플레이션’ 행태로 소비자 불신을 심화시키고 있다. 더 나아가 배달앱 주문 가격을 2000원 인상해 배달비와 이중 가격 정책으로 소비자 역차별 논란도 불거졌다. 이에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16일 “치킨 업계의 꼼수 가격 인상 행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관계 부처가 조속히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업계와 소비자들은 교촌의 꼼수와 몰염치한 행태에 대해 "교촌한다"며 우회적인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슈링크플레이션 논란과 치킨업계 현실 교촌치킨은 순살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줄였으나 가격은 2만3000원에서 유지하거나 배달앱 주문시 2만5000원으로 인상했다. 원재료를 저렴한 닭가슴살 혼합으로 변경하면서 제품의 질적 저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소비자에게 중량 및 원재료 변경 사실이 충분히 고지되지 않아 ‘기만적 가격 인상’이라는 비판이 거세다. 업계 내 다른 브랜드들도 배달비 인상과 가격 상승을 단행했으나 교촌의 경우 중량 축소와 배달가 인상이 겹쳐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오픈AI가 약 66억 달러 규모의 2차 주식 매각을 완료하며 기업 가치를 사상 최고인 5000억 달러(약 700조원)로 평가받았다. 이번 거래로 오픈AI는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약 4000억 달러)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스타트업으로 공식 등극했다. Bloomberg, CNBC, Reuters, Yahoo Finance, The Information에 따르면, 이 가치 상승은 지난해 소프트뱅크가 주도한 400억 달러 펀딩 라운드에서 3000억 달러였던 평가액에서 불과 7개월 만에 급등한 것이다. 이번 2차 매각에서는 오픈AI 현직 및 전직 직원들이 Thrive Capital, 소프트뱅크, Dragoneer Investment Group, 아부다비의 MGX, T. Rowe Price 등 대형 투자자들에게 지분을 매각했다. 다만, 회사가 승인한 100억 달러 규모 주식 매각 중 약 66억 달러가 거래되어 직원들의 장기 성장에 대한 높은 자신감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오픈AI는 2025년 상반기에만 약 43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6% 증가했고, 7억명에 달하는 주간 활성 사용자 수를 보유하는 등 시장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이달 초 역사적인 가격대에 도달하며 사상 최고가 행진을 이어갔으나, 이에 따른 공매도 거래가 크게 급증해 투자자들의 조정 기대감이 엿보인다. 지난 10월 2일 삼성전자는 4년 9개월 만에 처음으로 9만300원에 도달하며 공매도 거래액이 전일 대비 10배 이상 증가한 1417억원을 기록했다. 또한 10월 10일 9만4400원에 도달했을 때도 공매도는 951억원으로 9월 일평균인 337억원의 약 3배 수준에 달했다. SK하이닉스 역시 지난 10월 10일 사상 첫 40만원을 돌파하며 공매도 거래액이 1772억원에 육박, 평상시의 6배 수준에 이르는 등 유사한 상승세를 보였다. 미상환 공매도 잔고도 삼성전자는 10월 2일 2427억원, 10월 10일 2575억원으로 2024년 5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공매도 급증이 단기 조정을 염두에 둔 투자자 심리로 보이나, 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근본적 성장 기대는 여전하다는 분석이 주류다. 특히 SK하이닉스는 AI 가속기에 필수적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점하며, 내년 대량생산 준비가 진행 중인 HBM4 칩에 대한 기대가 크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핵심 리더십 팀을 재구성하며 조직의 평평한 구조를 강화하고 있다. 2025년 10월 현재, 내부 문서와 외부 보고서에 따르면 황은 직속 보고 인원을 이전 55명에서 36명으로 감축하는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추진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4조3700억 달러(약 5200조원) 규모의 시가총액을 유지하며 AI 칩 시장을 선도하는 엔비디아의 내부 운영 철학에 따른 전략적 결정으로 평가된다. 핵심 인물들, 변화하는 엔비디아의 핵심 축 이번 인력 재구성은 엔비디아 내부의 핵심 인사들과 직결되는 것으로, 인공지능(AI)과 고성능 컴퓨팅(HPC)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두드러진다. 특히,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와 HPC 부문을 담당하는 Ian Buck 부사장은 엔비디아의 CUDA 소프트웨어 설계자이자 중요한 기술 책임자로서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회사의 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CTO인 Michael Kagan과 수석 과학자 Bill Dally는 엔비디아의 첨단 기술 개발과 연구개발 혁신을 주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CFO Colette Kress, 운영 부문 전무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10월 7일(현지시간), NASA 우주비행사 돈 페티트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촬영한 영상이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영상 속에는 스페이스X의 초대형 위성군인 스타링크 위성 수십 대가 지구 오로라를 배경으로 정밀한 대형을 이루며 나란히 이동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이 위성들은 약 551km 상공, ISS보다 145km 높은 고도에서 운용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페티트는 이를 “궤도에서 본 최고의 스타링크 위성 ‘기차’ 목격”이라고 평했다. 그러나 이 경이로운 영상 이면에는 현재 우주와 대기 환경에 심각한 변화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위성 쇠퇴 현상이 존재한다. 하버드-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자 조나단 맥도웰은 2025년 기준 매일 한두 대의 스타링크 위성이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해 소각되고 있다고 경고한다. 2019~2020년 발사된 1세대 위성들이 수명 5년을 맞아 하나씩 퇴역하고 있는 것이다. 올 7월까지 472개의 위성이 소각됐으며, 이 숫자는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하루 수십 톤, 성층권으로 투입되는 금속 나노입자 스타링크 위성은 약 260kg 무게이며, 대기 재진입 때 약 30kg의 산화알루미늄(알루미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뉴욕증시가 또 한 번 AI 시대의 지각변동을 목격했다. 2025년 10월 28일(현지 시각), 인공지능 생태계의 핵심 기업 엔비디아(NVIDIA)는 전일 대비 4.98% 상승한 201.03달러에 마감하며 사상 최고가, 52주 신고가를 모두 경신했다. 장중 한때 203.15달러까지 치솟았고, 이에 따라 시가총액은 4조8850억달러로 급증해 5조달러 돌파를 눈앞에 두는 분수령을 맞았다. 블룸버그, 로이터, 가트너, IDC, Statista에 따르면, 엔비디아의 급등 원인은 AI 투자 확대 및 글로벌 기술기업과의 대규모 협업 발표에 따른 시장의 낙관론에 있다. 이날 워싱턴DC에서 열린 ‘GTC 개발자 콘퍼런스’에서 젠슨 황 CEO는 차세대 AI 칩 ‘블랙웰(Blackwell)’과 신모델 ‘루빈(Rubin)’을 내놓으며 “내년 전례 없는 매출 성장이 예상된다. 시장에서 제기되는 AI 거품론은 근거가 없다”고 강조했다. “AI 버블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미 다양한 AI 모델과 서비스가 현실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기꺼이 비용을 지불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추가로 밝혔다. 엔비디아는 우버(Uber), 팔